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존 듀이 미학적 관점에서 젤트너의 음악 변증법적 접근: 헤겔과 베토벤을 중심으로 = Zeltner's Musical Dialectic Approach from John Dewey's Aesthetic Perspective: Focused on Hegel and Beethov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474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Music Media and Meaning" of John Dewey’s Aesthetic Philosophy, Zeltner, an aesthetic John Dewey, emphasizes the understanding and meaning of music not as a logical subject of music, but as a predicative pattern of objects and events. This predicative pattern results from the interaction of environment and organisms with dynamic structures of objects or events that are perceived audibly. Hegel dialectics appears as a continuity of confrontation and contradiction in the context of the times, which implies a change in generation as experience itself, not just repetition. This dialectic is reflected in the philosophical thinking and spirit of the times of Beethoven's music and develops into freedom for new music. In particular, Zeltner suggests that the connection from Scherzo to the last movement, such as Beethoven's symphonies Hero, Destiny, and String Quartet, strongly reflects this dialectic characteristic. As such, from Dewey's aesthetic point of view, the dialectical meaning of Zeltner's music is summarized as the 'music experience itself' that occurs anew in the context of the music itself and the context. In the end, John Dewey aesthetic Zeltner establishes the meaning of music not as an indicator, absolute, logical, propositional, or abstract meaning, but as a dialectic that emerges as a new and strengthened meaning in the process of direct encounter with music. This view not only expands the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but also provides a foundation for thinking trans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new music education and culture in response to the changes and demands of the times.
      번역하기

      In "Music Media and Meaning" of John Dewey’s Aesthetic Philosophy, Zeltner, an aesthetic John Dewey, emphasizes the understanding and meaning of music not as a logical subject of music, but as a predicative pattern of objects and events. This predic...

      In "Music Media and Meaning" of John Dewey’s Aesthetic Philosophy, Zeltner, an aesthetic John Dewey, emphasizes the understanding and meaning of music not as a logical subject of music, but as a predicative pattern of objects and events. This predicative pattern results from the interaction of environment and organisms with dynamic structures of objects or events that are perceived audibly. Hegel dialectics appears as a continuity of confrontation and contradiction in the context of the times, which implies a change in generation as experience itself, not just repetition. This dialectic is reflected in the philosophical thinking and spirit of the times of Beethoven's music and develops into freedom for new music. In particular, Zeltner suggests that the connection from Scherzo to the last movement, such as Beethoven's symphonies Hero, Destiny, and String Quartet, strongly reflects this dialectic characteristic. As such, from Dewey's aesthetic point of view, the dialectical meaning of Zeltner's music is summarized as the 'music experience itself' that occurs anew in the context of the music itself and the context. In the end, John Dewey aesthetic Zeltner establishes the meaning of music not as an indicator, absolute, logical, propositional, or abstract meaning, but as a dialectic that emerges as a new and strengthened meaning in the process of direct encounter with music. This view not only expands the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but also provides a foundation for thinking trans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new music education and culture in response to the changes and demands of the tim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존 듀이 미학자 젤트너는 󰡔존 듀이 미학󰡕의 “음악 매체와 의미”에서 음악의 이해와 의미를음악의 논리적 주제(logical subject)로서가 아니라 어떤 대상과 사건의 역동적인 특성이라는 서술적 형태(predicative pattern)로 다잡는다. 이 서술적 형태는 청각적으로 지각되는 대상들이나사건들의 역동적인 구조들은 환경과 유기체의 상호작용으로부터 발생한다. 헤겔 변증법은 시대의 상황적 맥락 가운데 대립과 모순의 연속성으로 나타나는데, 이것은 단순한 반복이 아니라 경험 그 자체로서의 생성이라는 변화를 내포한다. 이 변증법은 베토벤 음악의 철학적 사유와 시대 정신으로 반영되어 새로운 음악을 향한 자유로 발전한다. 특히, 젤트너는 베토벤의교향곡 「영웅」, 「운명」과 현악 4중주 등의 스케르초에서 마지막 악장까지의 연결구는 이런변증법적 특징이 강하게 반영된 것으로 제안한다. 그런 만큼, 듀이의 미학적 관점에서 젤트너의 음악의 변증법적 의미는 음악 자체와 상황적 맥락에서 새롭게 일어나는 ‘음악 경험 그 자체’로 정리된다. 결국, 존 듀이 미학자 젤트너는 음악의 의미를 지시적, 절대적, 논리적, 명제적, 추상적 의미로서가 아니라, 음악과의 직접적인 만남의 과정에서 새롭고 강화된 의미로 출현하는 변증법적으로 다잡는다. 이런 견해는 음악교육철학의 확장뿐 아니라, 시대적 흐름의변화와 요구에 부응하는 새로운 음악교육과 문화 발전을 위한 사고전환의 초석을 제공한다.
      번역하기

      존 듀이 미학자 젤트너는 󰡔존 듀이 미학󰡕의 “음악 매체와 의미”에서 음악의 이해와 의미를음악의 논리적 주제(logical subject)로서가 아니라 어떤 대상과 사건의 역동적인 특성이라는 서�...

      존 듀이 미학자 젤트너는 󰡔존 듀이 미학󰡕의 “음악 매체와 의미”에서 음악의 이해와 의미를음악의 논리적 주제(logical subject)로서가 아니라 어떤 대상과 사건의 역동적인 특성이라는 서술적 형태(predicative pattern)로 다잡는다. 이 서술적 형태는 청각적으로 지각되는 대상들이나사건들의 역동적인 구조들은 환경과 유기체의 상호작용으로부터 발생한다. 헤겔 변증법은 시대의 상황적 맥락 가운데 대립과 모순의 연속성으로 나타나는데, 이것은 단순한 반복이 아니라 경험 그 자체로서의 생성이라는 변화를 내포한다. 이 변증법은 베토벤 음악의 철학적 사유와 시대 정신으로 반영되어 새로운 음악을 향한 자유로 발전한다. 특히, 젤트너는 베토벤의교향곡 「영웅」, 「운명」과 현악 4중주 등의 스케르초에서 마지막 악장까지의 연결구는 이런변증법적 특징이 강하게 반영된 것으로 제안한다. 그런 만큼, 듀이의 미학적 관점에서 젤트너의 음악의 변증법적 의미는 음악 자체와 상황적 맥락에서 새롭게 일어나는 ‘음악 경험 그 자체’로 정리된다. 결국, 존 듀이 미학자 젤트너는 음악의 의미를 지시적, 절대적, 논리적, 명제적, 추상적 의미로서가 아니라, 음악과의 직접적인 만남의 과정에서 새롭고 강화된 의미로 출현하는 변증법적으로 다잡는다. 이런 견해는 음악교육철학의 확장뿐 아니라, 시대적 흐름의변화와 요구에 부응하는 새로운 음악교육과 문화 발전을 위한 사고전환의 초석을 제공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단석, "칸트와 헤겔" 사회문화연구소 출판사 2001

      2 서용순, "청소년을 위한 서양철학사" 두리미디어 2006

      3 Magee, B, "철학의 역사" (주)시공사 2002

      4 정순복, "존 듀이의 예술사상과 일상적 삶의 예술화" 한국미학회 (31) : 117-169, 2001

      5 정순복, "존 듀이 프래그머티즘 미학에서 ‘하나의 경험’의 의미론적 함의" 37 : 113-152, 2004

      6 김기수, "존 듀이 미학적 관점에서의 음악 의미와 접근" 민족음악학회 32 (32): 147-170, 2006

      7 Zeltner, P. M, "존 듀이 미학 입문" 예전사 1996

      8 김기수, "존 듀이 미적 경험의 음악 교육적 함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9 민경훈, "음악교육학 총론" 학지사 2017

      10 이홍수, "음악교육의 현대적 접근" 세광음악출판사 1990

      1 한단석, "칸트와 헤겔" 사회문화연구소 출판사 2001

      2 서용순, "청소년을 위한 서양철학사" 두리미디어 2006

      3 Magee, B, "철학의 역사" (주)시공사 2002

      4 정순복, "존 듀이의 예술사상과 일상적 삶의 예술화" 한국미학회 (31) : 117-169, 2001

      5 정순복, "존 듀이 프래그머티즘 미학에서 ‘하나의 경험’의 의미론적 함의" 37 : 113-152, 2004

      6 김기수, "존 듀이 미학적 관점에서의 음악 의미와 접근" 민족음악학회 32 (32): 147-170, 2006

      7 Zeltner, P. M, "존 듀이 미학 입문" 예전사 1996

      8 김기수, "존 듀이 미적 경험의 음악 교육적 함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9 민경훈, "음악교육학 총론" 학지사 2017

      10 이홍수, "음악교육의 현대적 접근" 세광음악출판사 1990

      11 권덕원, "음악교육의 기초" 교육과학사 2014

      12 김기수, "음악교육에서 존 듀이 철학은 가치가 있는가" 한국음악교육학회 2019

      13 Cyril, Morana, "예술철학: 플라톤에서 들뢰즈까지" 미술문화 2013

      14 중앙일보, "안데르센상 이수지 기사"

      15 Elliott, D. J, "실천주의 음악교육 철학" 교육과학사 2021

      16 최진경, "실천적 음악교육의 교육 목적 변화에 내재된 의미 탐색-데이빗 엘리엇(D. Elliott)의 Music Matters 2를 중심으로-" 미래음악교육학회 5 (5): 181-209, 2020

      17 소판수평, "서양철학사" 동환출판사 1990

      18 허영한, "서양음악사 본문Ⅱ" 심설당 2016

      19 권덕원, "베넷 리머의 경험중심 음악교육철학의 이해와 적용" 미래음악교육학회 3 (3): 51-76, 2018

      20 Dewey, J, "민주주의와 교육" 교육과학사 2007

      21 김기수, "리머의 음악교육철학에 내재된 듀이의 예술 철학적 견해" 민족음악학회 (37) : 327-352, 2009

      22 최은식, "경험중심 음악교육철학과 실천주의 음악교육철학의 비판적 조망" 미래음악교육학회 6 (6): 95-115, 2021

      23 Dewey, J, "경험으로서의 예술" 책세상 2002

      24 Dewey, J, "경험으로서의 예술" 교육과학사 2016

      25 Dewey, J, "The child and the curriculum"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02

      26 Shusterman, R, "Pragmatist aesthetics: Living beauty, rethinking ar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27 Elliott, D. J, "Music matters; A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28 Elliott, D. J, "Music matters; A new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29 Dewey, J, "Logic: The theory of inquiry" Henry Holt and Company 1938

      30 Dewey, J, "Knowing and the known" Beacon Press 1949

      31 Dewey, J, "John Dewey; The Later Works, 1925-1953. Vol. 1: 1925"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2008

      32 Dewey, J, "John Dewey: The Middle Works, 1899-1924: Volume 9: 1916"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2008

      33 Zeltner, P. M, "John Dewey's aesthetic philosophy" B. R. Grüner Publishing Company 1975

      34 Bernstein, Richard J, "John Dewey on experience, Nature and freedom" Bobbs-Merrill 1960

      35 Bernstein, Richard J, "John Dewey" Ridgeview Company 1966

      36 Dewey, J, "Human nature and conduct: An introduction to social psychology" The Modern Library 1922

      37 Dewey, J, "Freedom and culture" G. P. Putman's Sons 1939

      38 Dewey, J, "Art as experience" G. P. Putman's Sons 1934

      39 Dewey, J, "Aesthetic experience as a primary phase and an artistic development" 9 : 56-58, 1950

      40 Reimer, B, "A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Prentice-Hall, Inc 197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10-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Future Music Education -> The Journal of Future Music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