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수급대상 범위를 확대할 경우 직면하게 되는 재정안정화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는 대안모델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논문은 대안모델을 제시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수급대상 범위를 확대할 경우 직면하게 되는 재정안정화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는 대안모델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논문은 대안모델을 제시하...
본 논문은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수급대상 범위를 확대할 경우 직면하게 되는 재정안정화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는 대안모델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논문은 대안모델을 제시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것의 효용성까지도 검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족요양 보조력의 원천을 고려한 대안모델(M0)을 제시하고 그것의 중장기적 성과 및 재정추계를 보건복지부의 1안(M1)·2안(M2)과 비교함으로써, 각 모델들이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성과와 재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분석을 행함에 있어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대상 범위를 M0·M1의 경우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10%로 가정했고, M2의 경우 3.6%로 가정했다. 추계결과에 의하면, 보험료 발전추이를 고려했을 경우 M0는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중장기적 재정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유리한 것으로 판별되었다. 이는 M0가 납부의무자의 보험료 부담을 덜어주는 재정방식을 취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대안모델(M0)은 기본적으로 가족요양 보조력의 원천-인구노령화에 의해 감소추세를 보이는-을 고려함으로써 성과 및 재정의 차별화를 꾀하는 모델이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대안모델(M0)은 보건복지부 1안(M1)에 비해 요양비용 및 재정부담 완화 효과가 큰 것으로 판별되었다. 즉 대안모델(M0)은 장기적으로 볼 때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안정적 운영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대안모델(M0)은 잠재적 수급자들에게 본인부담금과 보험료납부를 의무화하지 않기 때문에, 요양대상자는 물론 가족의 재정 부담을 크게 경감시켜줄 것으로 예상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통계청, "한국통계연감 2005" 2006
2 통계청, "한국의 인구"
3 통계청, "한국의 사회지표 2005" 2005
4 통계청, "출생자녀수별, 동거자녀수별 15세 이상 기혼여성인구 2000, 2005"
5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출산력 및 가족보건실태의 변화양상과 대응방안에관한 연구" 2001
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실태조사" 2000
7 통계청, "장래인구 특별추계 결과"
8 통계청, "장래 가구추계 2000-2020" 2002
9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장기입소노인시설 보건의료서비스 제공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1999
10 통계청, "사회통계조사보고서 2005" 2005
1 통계청, "한국통계연감 2005" 2006
2 통계청, "한국의 인구"
3 통계청, "한국의 사회지표 2005" 2005
4 통계청, "출생자녀수별, 동거자녀수별 15세 이상 기혼여성인구 2000, 2005"
5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출산력 및 가족보건실태의 변화양상과 대응방안에관한 연구" 2001
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실태조사" 2000
7 통계청, "장래인구 특별추계 결과"
8 통계청, "장래 가구추계 2000-2020" 2002
9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장기입소노인시설 보건의료서비스 제공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1999
10 통계청, "사회통계조사보고서 2005" 2005
11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백서 2005" 2006
12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백서 2004" 2005
13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백서 2003" 2004
14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보험법령집" 2008
15 보건복지부, "노인장기요양보험 인프라 확충 안내"
1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노인요양보험제도 도입방안 연구" 2001
17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노인수발보험제도 시범사업 평가연구(1차)" 2006
18 보건복지부, "노인복지시설현황 2007" 2007
19 보건복지부, "노인복지시설현황 2006" 2006
20 보건복지부, "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2007"
2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노인 장기요양보호 욕구실태조사 및 정책방안" 2001
22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건강보험 통계연보 2005"
23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건강보험 통계연보 2004"
24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건강보험 통계연보 2003"
25 보건복지부, "공적노인요양보장체계 개발연구 I" 2004
26 보건복지부, "공적노인요양보장체게 개발연구 II" 2004
27 통계청, "고령자통계 2007"
28 통계청, "고령자통계 2005"
29 Rothgang, H., "Ziele und Wirkungen der Pflegeversicherung: Eine ökonomische Analyse" Campus 1997
30 Busch, G., "Wie reformbedürftig ist der Sozialstaat Österreich?"
31 BMAS, "Statistisches Taschenbuch 2006. Arbeits- und Sozialstatistik"
32 Dieck, M., "Sozialpolitische Diskussion rund um die Sicherung bei Pflegebedürftigkeit in Westdeutschland" 43-70, 1992
33 Sachverständigenrat, "Pflegeversicherung im Jahr 2004: Der Reformdruck wächst (Ziffern 340 bis 341)" 255-266, 2004
34 Leichsenring, K., "Möglichkeiten und Kosten einer Vereinheitlichung öffentlicher Transferzahlungen an pflegebedürftige Menschen in Österreich" 1988
35 Doralt, W., "Kodex des österreichischen Rechts Sozial-versicherung" Linde 2005
36 Streissler, A., "Geriatrische Langzeitpflege – Situation und Entwicklungsperspektiven" Kammer für Arbeiter und Angestellte Wien 2004
37 Häcker, J., "Dokumentation von Hilfswerk Fachenquete 2006, Pflege" Österreichisches Hilfswerk 2006
38 Marschitz, W., "Dokumentation von Hilfswerk Fachenquete 2006, Pflege" Österreichisches Hilfswerk 2006
39 Skuban, R., "Die Pflegeversicherung: Eine kritische Betrachtung" Deutscher Universitätsverlag 2000
40 Schneider, U., "Die Kosten der Pflege in Österreich – Ausgabenstrukturen und Finanzierung" Institut für Sozialpolitik an der Wirtschaftsuniversität Wien 2006
41 Statistisches Bundesamt, "Bericht: Pflegestatistik 2005 - Pflege im Rahmen der Pflegeversicherung – Deutschlandergebnisse" DESTATIS 2007
42 BMSK, "Bericht des Arbeitskreises für Pflegevorsorge 2005" 2007
43 통계청, "5세 연령계급 및 성별 추계인구 2000-2050"
44 국민건강보험공단, "2013 노인장기요양보험통계연보"
45 국민건강보험공단, "2000년도, 2005년도 출생자녀수별, 동거자녀수별 15세 이상 기혼여성인구"
46 Gruber, G., "10 Jahre Pflegevorsorge - Rückblick und Standort- bestimmung" (5) : 209-215, 2003
한국의 지속가능한 노후소득보장정책 수립을 위한 탐색적 연구
텍스트를 활용한 쓰기 교육 방안 모색을 위한 사전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