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미술을 볼 때, 팝아트 이후 미술의 경향은 이전의 특권층을 위한 미술에서 벗어나 대중을 주제로 그들의 삶과 사회를 반영하면서 그들과의 소통을 위한 미술활동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9318205
청원군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학위논문(석사)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2004. 2
2004
한국어
374.6 판사항(4)
759.973 판사항(19)
충청북도
xiii, 93p. : 삽도 ; 26cm.
참고문헌: p. 68-7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대 미술을 볼 때, 팝아트 이후 미술의 경향은 이전의 특권층을 위한 미술에서 벗어나 대중을 주제로 그들의 삶과 사회를 반영하면서 그들과의 소통을 위한 미술활동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
현대 미술을 볼 때, 팝아트 이후 미술의 경향은 이전의 특권층을 위한 미술에서 벗어나 대중을 주제로 그들의 삶과 사회를 반영하면서 그들과의 소통을 위한 미술활동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그러나 작가들의 의도와는 달리, 대중은 미술의 주제가 그들의 이야기임에도 불구하고 또다른 소외감을 느끼게 되었고, 이로 인해 대중과의 소통의 거리는 더 멀어지고 있음이 주지의 사실이다. 이 즈음에서 진정한 대중과의 소통을 꾀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표현한 대표적인 팝아트 작가로 클래스 올덴버그를 들 수 있다. 그의 1960년 초부터 2002년 최근까지의 작품 분석을 통해 그의 의도 즉, 대중과의 의사소통과 이를 위한 여러 다양한 방법을 알아보고, 이로 인해 조소 영역을 확장시킨 현대 조각에서의 그의 작품의 의의를 파악하며, 그의 영향을 받은 작가들까지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대중과 소원해진 현대미술의 새로운 대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본 논문 Ⅱ장에서는 클래스 올덴버그의 작품의 배경을 조사했다. 우선 현대 미국 미술의 전반적인 흐름과 그 특징을 알아보았다. 이전의 미술이 특권층을 위한 미술이었다면, 현대 미국 미술은 교육을 받은 다수의 대중을 위한 공공미술의 대두와 젊은 미술가들의 전위적인 미술의 특징이 두들어진다. 이러한 미국 미술의 전반적인 특징을 알아본 후, 본격적으로 올덴버그 작품에서 보여지는 여러 미술경향들을 좀 더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그의 전반적인 미술의 정신을 반영한 팝아트와 해프닝, 소프트 조각, 환경 미술 등으로 대표되는 현대 미술 경향의 개념과 특징, 대표 작가들을 알아본 뒤, 올덴버그 작품과의 유사점,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Ⅲ장에서는 올덴버그의 작품시기를 1960년대 해프닝, 소프트 조각시기, 1970년대 이후부터 2002년 최근까지 전개되고 있는 확대된 오브제시기로 전체를 세 시기로 구분하여 그의 작품을 전개하였다. 1960년대 전반의 해프닝 작업은 크게 <거리(The Street)>과 <레이 건 연극(Ray Gun Theater)>로 나눌 수 있다. <거리>는 미국의 실제 거리에서 펼쳐진 작품으로, 도시인의 이상과 폭력을 실제적으로 묘사하기 위해 맨하탄 남쪽의 빈민가에서 찾아낸 오래된 마분지, 즈크천, 로우프 등을 재료로 이용하였다. 환경미술 작품 <거리>를 배경으로 1960년 첫 해프닝인 <도시의 스냅 사진>이 공연되었다. 1960년 후반에 그의 스튜디오에서 <상점>을 선보였고, 그곳에서 <레이 건 연극>이라는 해프닝을 공연했다. 이 작품에서는 미국의 역사와 미국인의 의식을 표현하였다. 1960년대 초의 해프닝 작업에서 보여주었던 오브제 작품의 다양한 시도는 이후 1960년대 후반의 소프트 조각으로 이어진다. 천, 비닐, 고무, 솜 등으로 만들어진 부드러운 조각 작품은 중력에 따라 움직이기도 하고 전시마다 다른 형태를 보여주었다. 소재 역시 일상용품을 작품화하여, 그의 작품 소재는 <거리>, <상점> 등 해프닝시기에서 시작해 소프트 조각시기 그리고 후의 확대된 오브제시기에 이르기까지 일관된 연관성을 띠고 있다. 그의 친근한 소재에서 이전의 조각 작품과 다른 유동적인 재료의 사용은 감상자들로 하여금 또다른 낯선 경험을 제공하였다. 1970년대부터 시작된 확대된 오브제 작업은 그의 이전의 작품과 동일한 연장선에서 재료와 크기, 장소성 등을 고려하여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올덴버그의 확대된 오브제 작품은 건축적 규모에 친근한 소재와 함께 작품이 놓여지는 장소성을 고려하여 일반대중이 공감할 수 있는 대규모 환경 조각의 성공적 사례를 우리에게 보여준다.
Ⅳ장에서는 현대 조각사에 올덴버그 작품의 의의를 팝아트에서 대중과의 소통, 조각 영역의 확장, 그리고 다른 작가들에게 미친 영향 등으로 구분하여 그의 작품의 의의와 현대 조각의 새로운 대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우선, 그는 이전의 전통조각의 소재로부터 자유로워져 일상의 오브제를 확대하여 장소성을 고려한 환경조각 작품을 제시함으로써 공공조각으로써의 역할을 충실히 소화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소재뿐만 아닌, 새로운 재료의 시도를 통하여 이전의 견고했던 조각의 재료에서 벗어나 조각에 우연성, 살아있는 듯한 촉감 등을 보여주어 조각의 영역을 확장시켰다. 이와 함께 그의 다양한 시도들은 동시대 작가들에게도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건축적 규모에서는 리차드 세라, 장소성의 측면에서는 대지 미술 작가들, 부드러운 조각은 리차드 가드윈 등을 들 수 있다.
올덴버그는 소재, 재료, 크기, 장소 등의 끊임없는 실험적 시도를 통해 대중을 위한 미술과 환경미술을 이해하는 절대적 가치를 현대의 작가들에게 보여줌으로써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fter the Pop Art, the trend of modern art has shifted its spotlight from the privileged class to the life and society of the public. In other words, art is playing a part of communication with the general public. However, despite many artist's intent...
After the Pop Art, the trend of modern art has shifted its spotlight from the privileged class to the life and society of the public. In other words, art is playing a part of communication with the general public. However, despite many artist's intentions, the public felt another gap between them and art, making it difficult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sides.
Nevertheless, there is a pop artist who has expressed the need of understanding of the public to art effectively. He is Claes Oldenburg. By studying this artist's works from the early 1960s to recent 2002, we will learn about his methods of expressing himself. Moreover, we'll also be looking at the significance of his works in modern sculpture, and those who were greatly influenced by him. With these in mind, I also plan to find an alternative plan to bring the public and art close.
In the second chapter of this thesis, there is a research on the background of Claes Oldenburg's works. I researched on the sequence of the trends of American art, and then researched more thoroughly on the trends that show in Oldenburg's works. From this chapter, one will be able to learn about the basics and characteristics of modern art-Pop Art and Happening, Soft Sculpture, Environment Art, etc-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trend and Oldenburg's art.
The third chapter is an analysis of the artist's works. In this chapter, I analyzed Oldenburg's works by dividing them to Happening in the 1960s, Soft Sculpture, and the Object that have been expanding from 1970s till now.
With the basis of the third chapter, the fourth chapter goes on to show the significance of modern sculpture and Oldenburg, moreover finding an alternative plan by presenting three sides : the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in Pop Art, the expansion of the field of sculpture and the influence other artists received.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