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문화’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인권교육 내용 분석 - 인권 감수성을 중심으로 - = The Content Analysis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the Society and Culture Curriculum and Textbooks - Focusing on the Sensitivity of Human Right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101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법 교육, 정치 교육에 편중되어 진행된 인권 교육적 논의를 확장하고 보완 하기 위해 인권 감수성 함양의 관점에서 ‘사회・문화’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분석하고 제언하는 것이 다. 이를 위해 ‘사회・문화’ 교육에서 인권이 가지는 의미를 파악하고, 인권교육에서 인권 감수성이 가 지는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인권 감수성 함양이라는 관점에서 2015 개정 사회・문화 교과서를 검토하기 위한 분석 기준을 마련하고 교과서 4종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및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4종 모두 다양한 사회적 범주의 사람들을 사회적 소수자 및 사회적 약자로 제시하고 있었고 비교적 골고루 언급하여 균형성을 갖추었다. 그러나 양심적 병역 거부자나 성 소수자 등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 없어 추가적으로 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 다. 둘째, 성 불평등 양상은 매우 다양하게 제시되는 반면, 빈곤 문제나 사회적 소수자의 문제는 다양 하게 제시되지 못하는 한계를 보였다. 또한 성 불평등의 사례를 여성이 경험하는 차별 양상에 한정하 여 제시하는 부분은 양성 평등적 관점에서 반드시 수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인권문제 상황을 인권적 시각에서 접근해볼 수 있는 직접적인 서술이 제시되어야 하고, 이를 넘어서 인권과 사회 통합 양자를 종합하는 차원에서 인권 문제를 해석하고 분석하는 내용이 필요하다. 셋째, 사회적 소수자, 성 불평등, 빈곤문제의 원인과 해결 방안은 구체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모두 개인적 차원과 함께 사회・제도적 차원에서 포괄적으로 제시되었다. 차별의 근원에 편견이나 고정관념이 존재하고, 차이가 결국 사회적 가치 배분의 차별을 정당화하는 기제로 작동함을 본문에 서술할 필요가 있다. 넷째, 사회적 소수자의 입장에서 생각해볼 수 있도록 다양한 방식의 내러티브적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사회적 소 수자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는 구체적인 질문을 직접 제시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다섯째, 문제 해결 과 관련된 자신의 역할을 사회적 관계 속에서 파악해보는 내용이 부족했지만 차별 양상을 알리고 개선 책을 찾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활동이 제시되었다. 여섯째, 학습자 수준에 적절한 사회 문제는 다수 제시되었지만 딜레마 상황을 포함하는 사회적 쟁점의 제시는 미흡했다. 가치 딜레마 상황이 부각될 수 있는 다양한 쟁점을 개발하고 교육 내용으로 포섭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기 위해 제시한 내용이 오히려 편견을 강화시킬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내용이나 구성 방식에 있어서 민감성을 갖추고 검토해야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법 교육, 정치 교육에 편중되어 진행된 인권 교육적 논의를 확장하고 보완 하기 위해 인권 감수성 함양의 관점에서 ‘사회・문화’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분석하고...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법 교육, 정치 교육에 편중되어 진행된 인권 교육적 논의를 확장하고 보완 하기 위해 인권 감수성 함양의 관점에서 ‘사회・문화’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분석하고 제언하는 것이 다. 이를 위해 ‘사회・문화’ 교육에서 인권이 가지는 의미를 파악하고, 인권교육에서 인권 감수성이 가 지는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인권 감수성 함양이라는 관점에서 2015 개정 사회・문화 교과서를 검토하기 위한 분석 기준을 마련하고 교과서 4종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및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4종 모두 다양한 사회적 범주의 사람들을 사회적 소수자 및 사회적 약자로 제시하고 있었고 비교적 골고루 언급하여 균형성을 갖추었다. 그러나 양심적 병역 거부자나 성 소수자 등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 없어 추가적으로 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 다. 둘째, 성 불평등 양상은 매우 다양하게 제시되는 반면, 빈곤 문제나 사회적 소수자의 문제는 다양 하게 제시되지 못하는 한계를 보였다. 또한 성 불평등의 사례를 여성이 경험하는 차별 양상에 한정하 여 제시하는 부분은 양성 평등적 관점에서 반드시 수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인권문제 상황을 인권적 시각에서 접근해볼 수 있는 직접적인 서술이 제시되어야 하고, 이를 넘어서 인권과 사회 통합 양자를 종합하는 차원에서 인권 문제를 해석하고 분석하는 내용이 필요하다. 셋째, 사회적 소수자, 성 불평등, 빈곤문제의 원인과 해결 방안은 구체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모두 개인적 차원과 함께 사회・제도적 차원에서 포괄적으로 제시되었다. 차별의 근원에 편견이나 고정관념이 존재하고, 차이가 결국 사회적 가치 배분의 차별을 정당화하는 기제로 작동함을 본문에 서술할 필요가 있다. 넷째, 사회적 소수자의 입장에서 생각해볼 수 있도록 다양한 방식의 내러티브적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사회적 소 수자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는 구체적인 질문을 직접 제시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다섯째, 문제 해결 과 관련된 자신의 역할을 사회적 관계 속에서 파악해보는 내용이 부족했지만 차별 양상을 알리고 개선 책을 찾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활동이 제시되었다. 여섯째, 학습자 수준에 적절한 사회 문제는 다수 제시되었지만 딜레마 상황을 포함하는 사회적 쟁점의 제시는 미흡했다. 가치 딜레마 상황이 부각될 수 있는 다양한 쟁점을 개발하고 교육 내용으로 포섭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기 위해 제시한 내용이 오히려 편견을 강화시킬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내용이나 구성 방식에 있어서 민감성을 갖추고 검토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설규주, "한국 시민사회의 성장과 학교 인권교육의 과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4 (44): 27-56, 2005

      2 박상준, "초등 사회과 인권교육 내용의 구성 원리와 개발 방향"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3 (3): 49-64, 2010

      3 구정화, "초등 사회과 ‘인권’ 내용 단원의 교육과정 시기별 변화 분석" 한국법교육학회 11 (11): 1-34, 2016

      4 허수미, "인권적 문화 형성을 위한 인권교육 방향 설정"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7 (47): 153-181, 2008

      5 문용린, "인권 감수성 지표 개발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2002

      6 구정화, "유엔아동권리협약을 고려한 학교 인권교육의 방향"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8 (48): 1-12, 2009

      7 교육부, "사회과 교육과정. 고시 제2015-74호 [별책7]"

      8 교육과학기술부, "사회과 교육과정. 고시 제2011-361호 [별책7]"

      9 박가나, "사회과 교과서 인권 관련 단원에 나타난 사회적 약자 내용 분석 - 2007, 2009 개정 교육과정 중‧고등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한국법교육학회 12 (12): 29-72, 2017

      10 구정화, "교사를 위한 학교 인권교육의 이해" 국가인권위원회 2004

      1 설규주, "한국 시민사회의 성장과 학교 인권교육의 과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4 (44): 27-56, 2005

      2 박상준, "초등 사회과 인권교육 내용의 구성 원리와 개발 방향"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3 (3): 49-64, 2010

      3 구정화, "초등 사회과 ‘인권’ 내용 단원의 교육과정 시기별 변화 분석" 한국법교육학회 11 (11): 1-34, 2016

      4 허수미, "인권적 문화 형성을 위한 인권교육 방향 설정"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7 (47): 153-181, 2008

      5 문용린, "인권 감수성 지표 개발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2002

      6 구정화, "유엔아동권리협약을 고려한 학교 인권교육의 방향"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8 (48): 1-12, 2009

      7 교육부, "사회과 교육과정. 고시 제2015-74호 [별책7]"

      8 교육과학기술부, "사회과 교육과정. 고시 제2011-361호 [별책7]"

      9 박가나, "사회과 교과서 인권 관련 단원에 나타난 사회적 약자 내용 분석 - 2007, 2009 개정 교육과정 중‧고등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한국법교육학회 12 (12): 29-72, 2017

      10 구정화, "교사를 위한 학교 인권교육의 이해" 국가인권위원회 2004

      11 Smith, A., "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 Clarendon Press 1976

      12 Hoffman, M. L., "Morality, Moral Development, and Moral Behavior" Wiley 283-302, 1984

      13 Brabeck, M. M., "Human Rights as a Moral Issue : Lessons for moral educators from human rights work" 29 (29): 167-182, 2000

      14 Osler, A., "Human Rights Education, Postcolonial Scholarship, and Action for Social Justice" 43 (43): 244-274, 2015

      15 Hoffman, M. L., "Handbook of Emotions" The Guilford Press 440-455, 2008

      16 Hoffman, M. L., "Empathy and its develop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47-80, 1987

      17 Verducci, S., "Developing Moral Sensitivity" Routledge 95-112, 2015

      18 Rest, J. R., "Advanced in research and theory" Praeger 1986

      19 온정덕,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개정 내용"

      20 서범석, "(고등학교)사회·문화" 지학사 2018

      21 손영찬, "(고등학교)사회·문화" 미래엔 2018

      22 신형민, "(고등학교)사회·문화" 비상교육 2018

      23 구정화, "(고등학교)사회·문화" 천재교육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6 1.07 1.505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