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신경숙, "하순일 편집 '가곡원류'의 성립" 한국시조학회 (26) : 125-150, 2007
2 김흥규, "컴퓨터에 의한 古時調 데이터베이스 구성과 활용" 동아인문학회 (3) : 1992
3 김흥규, "색인어 정보 연산에 의한 고시조 데이터베이스의 분석적 연구" 한국시가학회 3 : 1998
4 김흥규, "고시조대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5 신경숙, "고시조 문헌 해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6 김흥규, "고시조 데이터베이스의 계량적 분석과 시조사의 지형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2
7 권순회, "歌曲과 時調의 접점: 신발굴 가집 『歌詞』의 특성과 계보" 국문학회 (23) : 119-142, 2011
8 김흥규, "朝鮮 後期 辭說時調의 詩的 關心 推移에 관한 計量的 分析" 一志社 73 : 1993
9 김흥규, "古時調 內容素의 분포 분석과 시조사적 고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1-277, 2006
10 이상원, "『청구영언』(가람본)의 성격과 계보학적 위상"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9 : 159-194, 2010
1 신경숙, "하순일 편집 '가곡원류'의 성립" 한국시조학회 (26) : 125-150, 2007
2 김흥규, "컴퓨터에 의한 古時調 데이터베이스 구성과 활용" 동아인문학회 (3) : 1992
3 김흥규, "색인어 정보 연산에 의한 고시조 데이터베이스의 분석적 연구" 한국시가학회 3 : 1998
4 김흥규, "고시조대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5 신경숙, "고시조 문헌 해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6 김흥규, "고시조 데이터베이스의 계량적 분석과 시조사의 지형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2
7 권순회, "歌曲과 時調의 접점: 신발굴 가집 『歌詞』의 특성과 계보" 국문학회 (23) : 119-142, 2011
8 김흥규, "朝鮮 後期 辭說時調의 詩的 關心 推移에 관한 計量的 分析" 一志社 73 : 1993
9 김흥규, "古時調 內容素의 분포 분석과 시조사적 고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1-277, 2006
10 이상원, "『청구영언』(가람본)의 성격과 계보학적 위상"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9 : 159-194, 2010
11 이상원, "『남훈태평가』의 필사본 유통 양상" 한국시가학회 27 : 185-220, 2009
12 이상원, "『개호잡록(開湖雜錄)』에 대하여" 인문학연구원 (40) : 217-262, 2010
13 이상원, "『가조별람』의 문헌적 특성과 시가와의 관계" 한민족어문학회 (54) : 5-38, 2009
14 신경숙, "『가곡원류』 편찬 연대 재고" 한민족어문학회 (54) : 71-100, 2009
15 권순회, "『海東歌譜』(전북대 소장)의 性格" 한국시조학회 (28) : 229-261, 2008
16 권순회, "『時調音律』의 편제와 가곡의 특성" 한국언어문학회 66 (66): 111-125, 2008
17 권순회, "『古今歌曲』의 원본 발굴과 轉寫 경로" 우리어문학회 (34) : 129-160, 2009
18 권순회, "19세기 전반 가곡 가집『詩歌曲』의 특성과 계보" 한국시가학회 29 : 157-179, 2010
19 신경숙, "19세기 말 가집『聲樂元祖 歌曲』의 성격" 한국시가학회 29 : 209-234,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