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온택트 시대, 시공간을 공유하고 확장하는 영상 - 거리예술 < LOOP STOP: BROKEN BRIDGE >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104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거리예술 <LOOP STOP: BROKEN BRIDGE>를 바탕으로 시공간을 초월한 협업과 소통을 위한 영상 기법 및 제 작 과정, 의도에 주목하였다. 본 작품은 한국과 프랑스 창작자들의 협업이며, 2020년 10월 17일과 18일, 한국은 한강의 노들 섬에서 한국 시간 20시에 프랑스는 리옹에 위치한 콤플렉스 카파르나움 스튜디오에서 프랑스 시간 13시에 동시에 발표되었 다. 이러한 작품 형태의 배경에는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시대를 배제 할 수 없다. 온라인 기반의 제작이 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창작자들은 어떻게 교류하고 제작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했다. 연구자는 이와 같은 상황에서 작품을 제작하면서 영 상이 가진 시간성과 공간성의 교류 및 공유의 역할에 대해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연구목적은 온택트 시대의 온라 인 기반의 제작사례 및 영상 기법의 효율적 활용에 대한 모색이다. 연구방법은 거리예술 <LOOP STOP: BROKEN BRIDGE>를 중심으로 제작과정과 기술적 성과들을 기록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본론은 2장 ‘작품의 개요 및 구성’과 3장 ‘<LOOP STOP: BROKEN BRIDGE>에서 사용된 시공간의 공유와 확장을 위한 영상기법’을 소개하였다. 3장의 각 기법은 ‘라이브 스트리밍’, ‘프로젝션’, ‘다면’, ‘중첩’을 주요 사례로 구분하였다. ‘V-link를 활용한 라이브 스트리밍’은 ‘상호작용’, ‘고 정식과 이동식 프로젝션의 혼용 및 관객의 이동’은 ‘움직임’, ‘화상회의 시스템을 이용한 다면’은 ‘경계선, 퍼즐, 몽타주’, ‘라이 브 스트리밍과 프로젝션을 이용한 중첩’은 ‘동시성’의 개념으로 시공간을 공유하고 확장하였다는 연구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 가 뉴노멀 시대에 영상을 활용한 창작에 관한 참고자료로서 역할하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거리예술 <LOOP STOP: BROKEN BRIDGE>를 바탕으로 시공간을 초월한 협업과 소통을 위한 영상 기법 및 제 작 과정, 의도에 주목하였다. 본 작품은 한국과 프랑스 창작자들의 협업이며, ...

      이 논문은 거리예술 <LOOP STOP: BROKEN BRIDGE>를 바탕으로 시공간을 초월한 협업과 소통을 위한 영상 기법 및 제 작 과정, 의도에 주목하였다. 본 작품은 한국과 프랑스 창작자들의 협업이며, 2020년 10월 17일과 18일, 한국은 한강의 노들 섬에서 한국 시간 20시에 프랑스는 리옹에 위치한 콤플렉스 카파르나움 스튜디오에서 프랑스 시간 13시에 동시에 발표되었 다. 이러한 작품 형태의 배경에는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시대를 배제 할 수 없다. 온라인 기반의 제작이 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창작자들은 어떻게 교류하고 제작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했다. 연구자는 이와 같은 상황에서 작품을 제작하면서 영 상이 가진 시간성과 공간성의 교류 및 공유의 역할에 대해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연구목적은 온택트 시대의 온라 인 기반의 제작사례 및 영상 기법의 효율적 활용에 대한 모색이다. 연구방법은 거리예술 <LOOP STOP: BROKEN BRIDGE>를 중심으로 제작과정과 기술적 성과들을 기록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본론은 2장 ‘작품의 개요 및 구성’과 3장 ‘<LOOP STOP: BROKEN BRIDGE>에서 사용된 시공간의 공유와 확장을 위한 영상기법’을 소개하였다. 3장의 각 기법은 ‘라이브 스트리밍’, ‘프로젝션’, ‘다면’, ‘중첩’을 주요 사례로 구분하였다. ‘V-link를 활용한 라이브 스트리밍’은 ‘상호작용’, ‘고 정식과 이동식 프로젝션의 혼용 및 관객의 이동’은 ‘움직임’, ‘화상회의 시스템을 이용한 다면’은 ‘경계선, 퍼즐, 몽타주’, ‘라이 브 스트리밍과 프로젝션을 이용한 중첩’은 ‘동시성’의 개념으로 시공간을 공유하고 확장하였다는 연구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 가 뉴노멀 시대에 영상을 활용한 창작에 관한 참고자료로서 역할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focuses on video techniques, production processes, and intentions to collaborate and communicate that transcend time and space based on the street art <LOOP STOP: BROKEN BRIDGE>. This work was done in collaboration between Korean and French creators. On October 17 and 18 of 2020, on Nodeul Island in the Han River, Korea, at 20:00 Korean time, and at the Komplex Kapharnaum Studio located in Lyon, at 13:00 France time, both teams worked simultaneously. The explanation for the form of these works and their creation is the pandemic caused by COVID-19. In a situation where online-based production was inevitable, the creators had to think about how to interact and how to produce the work. It was judged that it was necessary for the researcher to discuss the role of the exchanging and sharing of the temporality and spatiality of video while producing works in such a context of the tim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arch for online-based production cases in the ontact era and to search for efficient uses of imaging techniques. The research method is to be conducted in a way that records the production processes and technical achievements, focusing on the street art <LOOP STOP: BROKEN BRIDGE>. The main body is the second chapter, entitled 'Outline and composition of the work', along with the third chapter, 'Imaging techniques for sharing and expanding the time-space used in <LOOP STOP: BROKEN BRIDGE>'. In the third chapter, 'live streaming', 'projection', 'multiscreen' and 'superimposing' are the main video production techniques studied and classified depending on the case. The research result pertaining to the sharing and expanding of space and time with 'live streaming using V-link' is the concept of 'interaction'; that for 'a mix of fixed and mobile projection and the movement of the audience' is the concept of 'movement'; those for 'multiscreen using a video conferencing system' are the concepts of 'borderline, puzzle, and montage'; and that for 'superimposition using live streaming and projection' is the concept of 'simultaneity'.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here will serve as reference materials for those involved in creation techniques using moving images in the new normal.
      번역하기

      This paper focuses on video techniques, production processes, and intentions to collaborate and communicate that transcend time and space based on the street art <LOOP STOP: BROKEN BRIDGE>. This work was done in collaboration between Korean and ...

      This paper focuses on video techniques, production processes, and intentions to collaborate and communicate that transcend time and space based on the street art <LOOP STOP: BROKEN BRIDGE>. This work was done in collaboration between Korean and French creators. On October 17 and 18 of 2020, on Nodeul Island in the Han River, Korea, at 20:00 Korean time, and at the Komplex Kapharnaum Studio located in Lyon, at 13:00 France time, both teams worked simultaneously. The explanation for the form of these works and their creation is the pandemic caused by COVID-19. In a situation where online-based production was inevitable, the creators had to think about how to interact and how to produce the work. It was judged that it was necessary for the researcher to discuss the role of the exchanging and sharing of the temporality and spatiality of video while producing works in such a context of the tim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arch for online-based production cases in the ontact era and to search for efficient uses of imaging techniques. The research method is to be conducted in a way that records the production processes and technical achievements, focusing on the street art <LOOP STOP: BROKEN BRIDGE>. The main body is the second chapter, entitled 'Outline and composition of the work', along with the third chapter, 'Imaging techniques for sharing and expanding the time-space used in <LOOP STOP: BROKEN BRIDGE>'. In the third chapter, 'live streaming', 'projection', 'multiscreen' and 'superimposing' are the main video production techniques studied and classified depending on the case. The research result pertaining to the sharing and expanding of space and time with 'live streaming using V-link' is the concept of 'interaction'; that for 'a mix of fixed and mobile projection and the movement of the audience' is the concept of 'movement'; those for 'multiscreen using a video conferencing system' are the concepts of 'borderline, puzzle, and montage'; and that for 'superimposition using live streaming and projection' is the concept of 'simultaneity'.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here will serve as reference materials for those involved in creation techniques using moving images in the new norma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국문초록
      • 1. 서론
      • 1.1. 연구배경 및 목적
      • 1.2. 연구방법
      • Abstract
      • 국문초록
      • 1. 서론
      • 1.1. 연구배경 및 목적
      • 1.2. 연구방법
      • 2. 작품의 개요 및 구성
      • 3. 에서 사용된 시공간의 공유와 확장을 위한 영상기법
      • 3.1. V-link를 활용한 ‘라이브 스트리밍’
      • 3.2. 고정식과 이동식 ‘프로젝션’의 혼용 및 관객의 이동
      • 3.3. 화상회의 시스템을 이용한 ‘다면’
      • 3.4. 라이브 스트리밍과 프로젝션을 이용한 ‘중첩’
      • 4.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우진, "화면 분할의 미학과 의미 - 극영화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2 (12): 154-165, 2012

      2 신동진, "프로젝션 매핑 영상미디어를 통한 실내공간의 장소성 연출에 관한 융합디자인 연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37 (37): 169-183, 2019

      3 백선혜, "포스트코로나 시대, 비대면 공연예술의 전망과 과제" 307 : 1-30, 2020

      4 김가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 ‘라이브 스트리밍(live streaming)’ 무용공연의 시청현황과 개선방안" 한국체육학회 59 (59): 309-321, 2020

      5 Lauer, D., "조형의 원리" 예경 2002

      6 이경미, "인터미디어 시노그래피공간, 라이브니스, 현존에 대한 담론의 재구성" 한국드라마학회 (47) : 133-173, 2015

      7 백민제, "온택트(Ontact) 시대, 공연예술 산업의 온라인 플랫폼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연기예술학회 22 (22): 59-71, 2021

      8 최종한, "실험영화 시간구조의 미학과 이데올로기" 한국영상학회 13 (13): 27-40, 2015

      9 Arnheim, R., "시각적 사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4

      10 Arnheim, R., "미술과 시지각" 미진사 2000

      1 장우진, "화면 분할의 미학과 의미 - 극영화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2 (12): 154-165, 2012

      2 신동진, "프로젝션 매핑 영상미디어를 통한 실내공간의 장소성 연출에 관한 융합디자인 연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37 (37): 169-183, 2019

      3 백선혜, "포스트코로나 시대, 비대면 공연예술의 전망과 과제" 307 : 1-30, 2020

      4 김가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 ‘라이브 스트리밍(live streaming)’ 무용공연의 시청현황과 개선방안" 한국체육학회 59 (59): 309-321, 2020

      5 Lauer, D., "조형의 원리" 예경 2002

      6 이경미, "인터미디어 시노그래피공간, 라이브니스, 현존에 대한 담론의 재구성" 한국드라마학회 (47) : 133-173, 2015

      7 백민제, "온택트(Ontact) 시대, 공연예술 산업의 온라인 플랫폼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연기예술학회 22 (22): 59-71, 2021

      8 최종한, "실험영화 시간구조의 미학과 이데올로기" 한국영상학회 13 (13): 27-40, 2015

      9 Arnheim, R., "시각적 사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4

      10 Arnheim, R., "미술과 시지각" 미진사 2000

      11 손우경, "무용작품에 있어서의 영상-거리무용극 “저곳”을 중심으로" 한국영상학회 12 (12): 95-106, 2014

      12 김홍군, "노만 맥라렌 작품에 있어서 시각적 장치에 관한 연구" 7 (7): 218-227, 2008

      13 박동준, "거리예술축제의 미학적 해부 -프랑스 거리예술과 거리예술페스티벌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1 : 147-178, 2012

      14 이수진, "개인화된 영상 - Searching의 이미지 기억과 라이브 스트리밍" 한국기호학회 59 : 181-205, 2019

      15 Komplex Kapharnaum, "Loop stop: Broken bridge [Web Log Post]"

      16 서울문화재단, "2020<잘 생겼다! 서울> 장소특정형 거리예술 작품제작 기록집"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Society Of Image Art And Media -> The Korean Society Of Media & Art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2 0.515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