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영화 사운드트랙은 사운드의 대표적 세 가지 요소인 음악, 대사, 음향의 경계가 허물어지면서 이들 사이의 경계가 모호 해지고 있다. 전자기술의 발달로 녹음이 가능해지고 소리를 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910489
2021
Korean
사운드 ; 사운드트랙 ; 노이즈 ; 침묵 ; 구체음악 ; 언더 더 스킨 ; Sound ; Soundtrack ; Noise ; Silence ; Musique concrète ; Under the skin
KCI등재
학술저널
57-69(13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영화 사운드트랙은 사운드의 대표적 세 가지 요소인 음악, 대사, 음향의 경계가 허물어지면서 이들 사이의 경계가 모호 해지고 있다. 전자기술의 발달로 녹음이 가능해지고 소리를 포...
최근 영화 사운드트랙은 사운드의 대표적 세 가지 요소인 음악, 대사, 음향의 경계가 허물어지면서 이들 사이의 경계가 모호 해지고 있다. 전자기술의 발달로 녹음이 가능해지고 소리를 포착하는 것이 가능해지면서 노이즈를 인지할 수 있게 되었다. 이 후 노이즈를 거부하고 제거하려는 노력은 현대 영화의 사운드 트랙에서는 오히려 노이즈를 적극 사용하는 방향으로 진화하였 다. 노이즈를 음악의 새로운 재료로 사용하게 되면서 조금 더 유연하고 풍부한 영화 사운드의 세계가 열리게 되었다. 본 논문 은 영화 <언더 더 스킨>에 나타나는 노이즈의 활용을 중심으로 사운드 경계 허물기의 양상을 살펴본다. 특별히 이에 따른 노 이즈의 ‘서사적 활용’에 주목한다. 먼저 배경 연구로 루이지 루솔로, 존 케이지, 피에르 셰페르로 이어지는 미래주의자들의 노 이즈 사운드의 사적 개괄과 미학적인 관점에서 다루어진 노이즈의 의미에 대해 개괄한다. 그리고 현대영화 사운드에서 적용 되는 노이즈의 미적 양상을 논증하기 위해 영화 <언더 더 스킨>의 사운드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이미지와의 관계를 고찰한 다. 본고는 이상의 논의를 통하여 영화 사운드라는 분야에서 소리의 객체로서 ‘노이즈’가 지니는 확장된 미학적 의미를 조명 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noteworthy that the boundaries of music, dialogue, and sound, which are the three major elements of sound, are becoming blurred, and that the boundaries are becoming blurred in recent movie soundtracks. Advances in electronic technology have mad...
It is noteworthy that the boundaries of music, dialogue, and sound, which are the three major elements of sound, are becoming blurred, and that the boundaries are becoming blurred in recent movie soundtracks. Advances in electronic technology have made recording possible and also allowing sound to be captured. As a result, noise became recognizable. Since then, the soundtrack of modern movies, which tried to reject and remove noise, has evolved in the direction of actively using noise. The use of noise as a new material for music opened up a world of more flexible and rich film sound.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 of breaking down the sound boundary, focusing on the use of noise in the movie <Under the Skin>. In particular, the analysis will be focused on the 'narrative use' of noise in the film. As a background study, I will outline the private overview of noise music and noise sound of the futurists leading to Luigi Russolo, John Cage, and Pierre Schaeffer, and the meaning of noise treated from an aesthetic point of view. In addition, in order to demonstrate the aesthetic aspect of noise applied in the sound of modern movies, the sound of the movie <Under the Skin> is specifically analyzed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image is considered.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this paper tries to newly illuminate the aesthetic meaning of 'noise' as a sound object in the field of movie soun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유현주, "축음기와 실재의 소리 - 프리드리히 A. 키틀러의 이론을 중심으로 -" 한국미학예술학회 44 : 111-132, 2015
2 Kittler, F., "축음기, 영화, 타자기" 문학과 지성사 2019
3 Chion, M., "오디오-비전" 한나래 2004
4 Chion, M., "영화의 목소리" 동문선 2005
5 이경분, "영화음악작곡가 한스 아이슬러" 13 (13): 253-277, 2001
6 한상준, "영화음악의 이해" 한나래 2000
7 이동환, "영화 사운드디자인의 내러티브 기능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3 (13): 626-637, 2013
8 이경분, "아도르노, 아이슬러 그리고 "영화를 위한 작곡"" 한국서양음악학회 (7) : 27-47, 2004
9 이윤영, "사유 속의 영화" 문학과지성사 2001
10 김경희, "사운드아트에 나타난 소음의 미학 - 크리스찬 마클레이의 예술을 중심으로 -" 한국헤세학회 (28) : 273-290, 2012
1 유현주, "축음기와 실재의 소리 - 프리드리히 A. 키틀러의 이론을 중심으로 -" 한국미학예술학회 44 : 111-132, 2015
2 Kittler, F., "축음기, 영화, 타자기" 문학과 지성사 2019
3 Chion, M., "오디오-비전" 한나래 2004
4 Chion, M., "영화의 목소리" 동문선 2005
5 이경분, "영화음악작곡가 한스 아이슬러" 13 (13): 253-277, 2001
6 한상준, "영화음악의 이해" 한나래 2000
7 이동환, "영화 사운드디자인의 내러티브 기능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3 (13): 626-637, 2013
8 이경분, "아도르노, 아이슬러 그리고 "영화를 위한 작곡"" 한국서양음악학회 (7) : 27-47, 2004
9 이윤영, "사유 속의 영화" 문학과지성사 2001
10 김경희, "사운드아트에 나타난 소음의 미학 - 크리스찬 마클레이의 예술을 중심으로 -" 한국헤세학회 (28) : 273-290, 2012
11 김진호, "매혹의 음색" 갈무리 2014
12 Hough, J., "The palgrave handbook of sound design and music in screen media: Integrated soundtracks" Palgrave Macmillan 378-379, 2016
13 Pitchfork, "The 50 best movie scores of all time [웹진]"
14 Cavalcanti, A., "Film sound: Theory and practice" Columbia University 98-111, 1985
15 Doane, M., "Cinematic apparatus" Palgrave Macmillan 49-, 1980
데이터미학과 인공지능: 초중고등학교 및 문화예술 교강사를 위한 기술융합 문화예술교육과정 개발 연구 - 시범교육프로그램 개발과정을 중심으로
영화관의 브랜드이미지가 관람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ㆍ상황적 가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온택트 시대, 시공간을 공유하고 확장하는 영상 - 거리예술 < LOOP STOP: BROKEN BRIDGE >를 중심으로
게임엔진을 활용한 3D 애니메이션 제작 파이프라인 고찰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0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 Society Of Image Art And Media -> The Korean Society Of Media & Arts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5 | 0.35 | 0.3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3 | 0.32 | 0.515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