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20주간의 주 1회 비대면 저항성 운동이 40-50대 중년남성의 신체구성, 근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스포츠의·과학전공 유 광 희 지도교수 이 정 아 본 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20주간의 주 1회 비대면 저항성 운동이 40-50대 중년남성의 신체구성, 근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스포츠의·과학전공 유 광 희 지도교수 이 정 아 본 연...
국문초록
20주간의 주 1회 비대면 저항성 운동이
40-50대 중년남성의 신체구성, 근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스포츠의·과학전공
유 광 희
지도교수 이 정 아
본 연구의 목적은 20주간의 주 1회 비대면 저항성 운동이 40-50대 중년 남성의 신
체구성, 근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S시에 거주하는 40-50대 중년 남성으로 최근 3개월 내에 체계적인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없고, 각종 질환이 없어 운동 검사 및 저항성 운동 처치에 참여하는
데 문제가 없으며, 특별한 식이요법을 하지 않는 자 총 30명이 본 연구의 대상자로
참여하였으며, 운동 집단 15명 통제집단 15명으로 무선할당(Randomized Controlled
Trial) 하였다. 운동집단의 대상자는 20주간, 주1회, 회당 준비운동 5분, 저항성 운동
35분, 정리운동 5분, 총 45분의 운동과정이 녹화된 영상을 보고 따라하는 방식인 비
대면 저항성 운동을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의 대상자는 평소의 생활습관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모든 결과는 SPSS PC+for Windows(version
25.0)를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두 집단에서 얻은 종속변인의 기술통계량을 제시하
기 위하여 평균(mean)과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SD)를 산출하였다. 두 집단
간, 그리고 두 시기 간 평균 차이를 동시에 분석하기 위하여 반복이원변량분석
(repeated 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집단의 주효과, 시기의 주효과, 또는 집
단과 시기의 상호작용이 유의한 경우 각 집단 내 두 시기 간의 차이는 종속 t-검증
(paired t-test)으로, 그리고 각 시기 내 두 집단 간의 차이는 독립 t-검증
(independent t-test)으로 분석 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의 유의수준(α)은 .05로 설정하
였다. 20주간 주 1회 비대면 저항성 운동 처치 후 신체구성의 변화는 운동집단의
체중, BMI, 체지방량, 체지방률, 그리고 허리둘레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근력의 변
화는 운동집단의 우악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삶의 질의 변화는 운동집단의 신
체적 건강영역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주 1회 비대면
저항성 운동이 40-50대 중년 남성의 신체구성, 근력 및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