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모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이후 어머니들의 경험과 사후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 Experiences of mothers who participated in parent training programs and requests for follow-up progra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082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at exploring experiences of mothers who completed parent training programs and identifying their requests for follow-up programs. A total of 10 mothers including 7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EP and 3 mothers who completed the Respect-Parent, Respect-Child Program were selected as the participants. Individual as well as group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these 10 mothers.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mothers have changed their understanding of themselves and attitudes toward their children through parent training programs, and have improved their ability to apply parenting skills to their children. However, the mothers noticed that they needed continued support to internalize the positive effects of parent training programs because they experienced a decreased use of what they had learned in the program due to the passage of time and emotional changes. Accordingly, they wished to participate in a follow-up program that would incorporate their opinions and include coaching and individual counseling about parenting practices. In addition, the mothers wanted a follow up program that provides opportunities to understand themselves and heal, and to include fathers as co-caregiver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ollow-up programs should consist of contents and methods that support continuous application of what has already been learned through parent training programs.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at exploring experiences of mothers who completed parent training programs and identifying their requests for follow-up programs. A total of 10 mothers including 7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EP and 3 mothers who completed the R...

      This study aimed at exploring experiences of mothers who completed parent training programs and identifying their requests for follow-up programs. A total of 10 mothers including 7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EP and 3 mothers who completed the Respect-Parent, Respect-Child Program were selected as the participants. Individual as well as group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these 10 mothers.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mothers have changed their understanding of themselves and attitudes toward their children through parent training programs, and have improved their ability to apply parenting skills to their children. However, the mothers noticed that they needed continued support to internalize the positive effects of parent training programs because they experienced a decreased use of what they had learned in the program due to the passage of time and emotional changes. Accordingly, they wished to participate in a follow-up program that would incorporate their opinions and include coaching and individual counseling about parenting practices. In addition, the mothers wanted a follow up program that provides opportunities to understand themselves and heal, and to include fathers as co-caregiver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ollow-up programs should consist of contents and methods that support continuous application of what has already been learned through parent training program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들의 부모훈련 프로그램 참여 이후 경험과 사후 프로그 램에 관한 요구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부모훈련 프로그램인 STEP을 이수한 어머니 7명, 부모존경-자녀존중을 이수한 어머니 3명을 포함한 총 1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10명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개별면담과 집단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어머 니들은 부모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에 대한 이해와 자녀에 대한 태도가 변화하였고, 자녀에게 양육 기술을 적용하는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어머니들은 시간 경과 및 감정 기복에 따라 실천이 부족해지는 것을 경험하면서 긍정적인 효과를 내면화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따라서 어머니들의 의견이 반영되고, 부모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이후의 실천에 대한 코칭과 개별적인 상담의 기회가 있는 사후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희망하였다. 또한 어머니 자신에 대한 이해와 힐링을 돕고, 공동양육자로서의 아버지를 포함하는 사후 프로그램이 진행되기를 원하였 다. 이러한 결과는 사후 프로그램이 부모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이미 배운 내용을 삶에 지속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내용과 방법으로 구성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들의 부모훈련 프로그램 참여 이후 경험과 사후 프로그 램에 관한 요구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부모훈련 프로그램인 STEP을...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들의 부모훈련 프로그램 참여 이후 경험과 사후 프로그 램에 관한 요구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부모훈련 프로그램인 STEP을 이수한 어머니 7명, 부모존경-자녀존중을 이수한 어머니 3명을 포함한 총 1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10명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개별면담과 집단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어머 니들은 부모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에 대한 이해와 자녀에 대한 태도가 변화하였고, 자녀에게 양육 기술을 적용하는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어머니들은 시간 경과 및 감정 기복에 따라 실천이 부족해지는 것을 경험하면서 긍정적인 효과를 내면화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따라서 어머니들의 의견이 반영되고, 부모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이후의 실천에 대한 코칭과 개별적인 상담의 기회가 있는 사후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희망하였다. 또한 어머니 자신에 대한 이해와 힐링을 돕고, 공동양육자로서의 아버지를 포함하는 사후 프로그램이 진행되기를 원하였 다. 이러한 결과는 사후 프로그램이 부모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이미 배운 내용을 삶에 지속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내용과 방법으로 구성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민정, "학령 초기 자녀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부모존경-자녀존중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아동학회 36 (36): 35-57, 2015

      2 민선옥, "토론연극을 활용한 부모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3 박진옥, "체계적 영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Early Childhood STEP)이 양육스트레스와 유아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44 (44): 37-45, 2006

      4 도현심, "첫 부모역할 책" 지식채널 2012

      5 정미라, "참여적 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 실행을 통한연구자와 참여자의 교량 만들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773-804, 2018

      6 Patton, M. Q., "질적연구 및 평가방법론" 교육과학사 2017

      7 Glesne, C., "질적 연구자 되기" 아카데미프레스 2017

      8 Creswell, J. W.,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학지사 2017

      9 Bogdan, R., "질적 연구 방법론의 기초" 경문사 2015

      10 최인자, "적극적 부모역할훈련(APT) 집단 프로그램이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자녀 인간관계 및 모-자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1 김민정, "학령 초기 자녀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부모존경-자녀존중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아동학회 36 (36): 35-57, 2015

      2 민선옥, "토론연극을 활용한 부모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3 박진옥, "체계적 영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Early Childhood STEP)이 양육스트레스와 유아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44 (44): 37-45, 2006

      4 도현심, "첫 부모역할 책" 지식채널 2012

      5 정미라, "참여적 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 실행을 통한연구자와 참여자의 교량 만들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773-804, 2018

      6 Patton, M. Q., "질적연구 및 평가방법론" 교육과학사 2017

      7 Glesne, C., "질적 연구자 되기" 아카데미프레스 2017

      8 Creswell, J. W.,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학지사 2017

      9 Bogdan, R., "질적 연구 방법론의 기초" 경문사 2015

      10 최인자, "적극적 부모역할훈련(APT) 집단 프로그램이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자녀 인간관계 및 모-자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11 장성단, "자기이해 중심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12 김은설, "육아지원기관 부모교육⋅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009

      13 임미희, "유치원의 P.E.T 부모훈련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의사소통 증진에 미치는 효과"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4 이영애, "유아기 자녀의 부모를 위한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삼육대학교 대학원 2010

      15 이은화, "유아기 자녀를 위한 총체적 부모교육 프로그램" 창지사 2007

      16 김수지, "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를 대상으로 한 맞벌이 부모교육 프로그램 참가경험에 대한 질적 접근" 한국웰니스학회 13 (13): 141-154, 2018

      17 송승민,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부모존경-자녀존중 부모교육 참가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한국보육지원학회 10 (10): 133-158, 2014

      18 배지희,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아버지 참여에 대한 아버지들의 경험과 기대"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271-294, 2016

      19 김희진,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부모교육과 지원" 파란마음 2007

      20 배지희,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부모교육 및 참여에 대한 부모들의 경험과 기대"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277-302, 2011

      21 김성숙, "유아가 인식하는 ‘좋은 부모’의 의미" 열린부모교육학회 9 (9): 101-120, 2017

      22 원지원, "오르프 기법을 이용한 그룹음악치료가 워킹맘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4 (14): 115-135, 2018

      23 배지희, "영유아기 자녀양육 및 교육 지원에 대한 전업주부의 요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4 (14): 225-254, 2007

      24 이윤진, "영유아기 부모교육 참여 실태 및 내실화 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017

      25 장혜진, "영유아 행복을 위한 부모역량 제고 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013

      26 권미경, "영유아 부모 양육역량 강화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7

      27 정미라,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경험하는양육지원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163-189, 2013

      28 김혜숙, "영·유아 아버지의 부모역할 실제와 유형에 대한 근거이론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8 (38): 367-390, 2018

      29 정선미, "여가활동과 함께한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0 이연승, "아버지의 육아참여에 대한 인식, 실태 그리고 어려움" 한국유아교육학회 37 (37): 811-829, 2017

      31 이방실, "아버지의 공감능력, 어머니 문지기역할, 부부갈등과 아버지의 양육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1 (21): 437-457, 2017

      32 권혜진, "아버지교육 참여자 경험을 통해 살펴본 아버지교육의 의미" 한국보육지원학회 9 (9): 461-488, 2013

      33 도현심, "아동문제행동 예방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부모존경-자녀존중 부모교육을 기초로" 한국아동학회 34 (34): 151-177, 2013

      34 김경철,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유아부모교육의 방향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37 (37): 741-758, 2017

      35 유진희, "부모효율성훈련이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학회 10 (10): 51-66, 2018

      36 최해옥, "부모교육프로그램 이수자의 전환적 배움" 한국미래교육학회 5 (5): 43-59, 2015

      37 권이정, "부모교육에 대한 부모와 기관장의 인식 비교" 한국교원대학교 263-282, 2017

      38 도현심, "부모교육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 방안" 한국보육진흥원 2014

      39 이재림,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메타분석 : 국내 학술지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31 (31): 27-47, 2013

      40 김길숙, "부모교육 프로그램 내용분석 및 활용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6

      41 정옥분, "부모교육" 학지사 2014

      42 김민정, "만 5세 사랑반의 부모참여 활성화를 위한 실행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43 박상희, "독서치료적 접근에 의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부모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14 (14): 29-59, 2007

      44 이경우, "당신도 유능한 부모가 될 수 있다" 창지사 2006

      45 유인숙, "그림책을 활용한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7 (17): 21-44, 2016

      46 조성연,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내 유치원 어머니 대상의 STEP프로그램 효과 검증" 2 (2): 41-59, 2010

      47 문주형, "교류분석에 기초한 집단상담식 유아부모교육 운영과정과 경험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48 이선희, "걸음마기 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부모존경-자녀존중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아동학회 37 (37): 95-109, 2016

      49 신현수, "STEP을 활용한 부모교육이 부모 효능감과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50 김원주, "STEP 부모훈련이 부모의 양육태도 및 자녀들에게 미치는 영향 : 학부모와 유아 자녀를 대상으로"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51 박현숙,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촉진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52 원지현,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53 최덕선,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행동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54 김상희,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모-자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5

      55 오영순,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들의 자아존중감 및 어머니-자녀 간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7 (17): 75-98, 2013

      56 원강희,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와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57 윤미경,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 이수자의 양육효능감 연구" 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2015

      58 문향화, "PET 부모교육프로그램이 영아기 어머니의 자아존중감과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59 이명순, "P.E.T.부모교육프로그램이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부모의 양육태도 및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9

      60 진이진, "APT 부모교육을 병행한 집단미술치료가 부모의 양육태도 및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18 (18): 309-324, 2011

      61 김영숙, "APT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와 추수 프로그램 개발 방향에 관한 질적연구" 한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62 왕경수, "AP Now 부모코칭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부모-자녀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16 (16): 71-93,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1 1.61 1.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3 1.7 1.654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