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天台의 一行三昧와 東山法門에 관한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2465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천태와 선종은 알려진 바와 달리 상호 서로 많은 교섭과 영향을 주고받았다. 좌선의 방법에서 보면, 󰡔天台小止觀󰡕이 선종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수행전통에서 보면, 선종의 선수행의 중심에 󰡔文殊所說經󰡕의 一行三昧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천태는 󰡔마하지관󰡕에서 일행삼매를 통하여 圓頓止觀을 뜻을 정립하고 있다. 그리고 4조 도신이 천태의 제자가 된 智鍇의 여산 大林精舍에서 10년 넘게 선 수행을 하다 기주 쌍봉산에서 東山法門을 열어 천태와 능가선문을 융회한 선풍을 전개한다. 그리고 도신은 자신의 선이 󰡔문수소설경󰡕의 일행삼매에 근거하고 있음을 말하고 있다. 이와 같이 천태와 선종의 사상적 교류의 접합점에 도신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도신의 일행삼매는 지의가 처음으로 依用한 󰡔문수소설경󰡕의 일행삼매의 단순한 좌선과 명상의 범위를 벗어나 󰡔대승기신론󰡕의 자성청정한 眞如一心의 설로 심화되었다. 이러한 도신의 일행삼매의 좌선은 제자 홍인의 守心, 守本眞心의 선사상으로 발전되었으며 더욱이 북종선에 이르러서는 화엄철학과 결합해 가면서 형이상학적인 一心의 탐구로 발전하게 되었다. 그리고 신회는 󰡔문수소설경󰡕의 일행삼매설을 일행삼매와는 전연 무관한 󰡔금강반야경󰡕으로 바꿔서 주장하고 있으며 반야바라밀이 일행삼매라고 설하고 있다.
      또한 󰡔문수소설경󰡕의 일행삼매는 지의의 󰡔마하지관󰡕을 비롯하여 중국불교의 많은 종파에서 특히 자기 종파의 실행행법의 근거로서 사용하였다. 특히 선종은 도신에 의해 동산법문이 개창되었다. 그리고 동산법문의 개창에 근간이 되는 일행삼매를 통해 천태와 선종의 상호영향과 접합점을 발견할 수 있다.
      번역하기

      천태와 선종은 알려진 바와 달리 상호 서로 많은 교섭과 영향을 주고받았다. 좌선의 방법에서 보면, 󰡔天台小止觀󰡕이 선종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수행전통에서 ...

      천태와 선종은 알려진 바와 달리 상호 서로 많은 교섭과 영향을 주고받았다. 좌선의 방법에서 보면, 󰡔天台小止觀󰡕이 선종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수행전통에서 보면, 선종의 선수행의 중심에 󰡔文殊所說經󰡕의 一行三昧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천태는 󰡔마하지관󰡕에서 일행삼매를 통하여 圓頓止觀을 뜻을 정립하고 있다. 그리고 4조 도신이 천태의 제자가 된 智鍇의 여산 大林精舍에서 10년 넘게 선 수행을 하다 기주 쌍봉산에서 東山法門을 열어 천태와 능가선문을 융회한 선풍을 전개한다. 그리고 도신은 자신의 선이 󰡔문수소설경󰡕의 일행삼매에 근거하고 있음을 말하고 있다. 이와 같이 천태와 선종의 사상적 교류의 접합점에 도신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도신의 일행삼매는 지의가 처음으로 依用한 󰡔문수소설경󰡕의 일행삼매의 단순한 좌선과 명상의 범위를 벗어나 󰡔대승기신론󰡕의 자성청정한 眞如一心의 설로 심화되었다. 이러한 도신의 일행삼매의 좌선은 제자 홍인의 守心, 守本眞心의 선사상으로 발전되었으며 더욱이 북종선에 이르러서는 화엄철학과 결합해 가면서 형이상학적인 一心의 탐구로 발전하게 되었다. 그리고 신회는 󰡔문수소설경󰡕의 일행삼매설을 일행삼매와는 전연 무관한 󰡔금강반야경󰡕으로 바꿔서 주장하고 있으며 반야바라밀이 일행삼매라고 설하고 있다.
      또한 󰡔문수소설경󰡕의 일행삼매는 지의의 󰡔마하지관󰡕을 비롯하여 중국불교의 많은 종파에서 특히 자기 종파의 실행행법의 근거로서 사용하였다. 특히 선종은 도신에 의해 동산법문이 개창되었다. 그리고 동산법문의 개창에 근간이 되는 일행삼매를 통해 천태와 선종의 상호영향과 접합점을 발견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eontae and Zen Buddhism, unlike the common notion, shared and exchanged frequent interplays and mutual effects. In consideration of a sitting figure, “Cheontae Sojigwan” has greater impact on Zen Buddhism. On the other hand, in consideration of traditional austerities, One Round Samadhi of “Munsu Soseolgyeong” resides in the center of Zen austerities.
      Cheontae has established the concept of Yuan-Tun Chih-Kuan through One Round Samadhi of “Maha Jikwan.”
      He practiced austerities for over a decade at Yeosan Daelim Jeongsa where the Buddhist Monk Dosin of Four-Band became Cheontae’s disciple. And then, he opened the Eastern Mountain Gateway Sutra at Mt. Ssangbong in Giju to establish Zen style that fuses Cheontae and Neungga Seonmun. Besdies, Dosin inoculates that his Zen is based on the One Round Samadhi of
      “Munsu Soseolgyeong.” It thus tells us that the connected part of Cheontae and Zen Buddhism’s ideological interplays is resided with Dosin.
      Dosin’s One Round Samadhi had been advanced to Jinyeo Ilsim which was inoculated as the original purity of one's self nature in “Mahayana-sraddhotpada –sastra,” beyond the scope of simple sitting figure and meditation of One Round Samadhi in “Munsu Soseolgyeong,” which the
      Buddhist Monk Jieui first quoted.
      The sitting figure of One Round Samadhi by Dosin had been developed to the Cultivation of Mind by his disciple Hongin and Zen of Subon Jinsim. Additionally, in Bukjongseon, it was further developed as the metaphysical exploration of One Mind with the combination of Avatamska philosophy. And the monk Sinhoe maintains his opinion by changing One Round Samadhi principle of “Munsu Soseolgyeong” into the “Diamond & Wisdom
      Sutra,” which has no connection whatsoever with One Round Samadhi. He even explains that Prajna-para-mita equals One Round Samadhi. One Round Samadhi of “Munsu Soseolgyeong” was used as the ground for practicing method of many Buddhist branches in China including Jieui’s “Maha Jikwan.” Zen Buddhism, in particular, saw the Eastern Mountain Gateway Sutra being launched by Dosin. We can thus find the mutual effects and connected point between Cheontae and Zen Buddhism through One Round Samadhi, the fundamental ground for establishing the Eastern Mountain Gateway Sutra.
      번역하기

      Cheontae and Zen Buddhism, unlike the common notion, shared and exchanged frequent interplays and mutual effects. In consideration of a sitting figure, “Cheontae Sojigwan” has greater impact on Zen Buddhism. On the other hand, in consideration of ...

      Cheontae and Zen Buddhism, unlike the common notion, shared and exchanged frequent interplays and mutual effects. In consideration of a sitting figure, “Cheontae Sojigwan” has greater impact on Zen Buddhism. On the other hand, in consideration of traditional austerities, One Round Samadhi of “Munsu Soseolgyeong” resides in the center of Zen austerities.
      Cheontae has established the concept of Yuan-Tun Chih-Kuan through One Round Samadhi of “Maha Jikwan.”
      He practiced austerities for over a decade at Yeosan Daelim Jeongsa where the Buddhist Monk Dosin of Four-Band became Cheontae’s disciple. And then, he opened the Eastern Mountain Gateway Sutra at Mt. Ssangbong in Giju to establish Zen style that fuses Cheontae and Neungga Seonmun. Besdies, Dosin inoculates that his Zen is based on the One Round Samadhi of
      “Munsu Soseolgyeong.” It thus tells us that the connected part of Cheontae and Zen Buddhism’s ideological interplays is resided with Dosin.
      Dosin’s One Round Samadhi had been advanced to Jinyeo Ilsim which was inoculated as the original purity of one's self nature in “Mahayana-sraddhotpada –sastra,” beyond the scope of simple sitting figure and meditation of One Round Samadhi in “Munsu Soseolgyeong,” which the
      Buddhist Monk Jieui first quoted.
      The sitting figure of One Round Samadhi by Dosin had been developed to the Cultivation of Mind by his disciple Hongin and Zen of Subon Jinsim. Additionally, in Bukjongseon, it was further developed as the metaphysical exploration of One Mind with the combination of Avatamska philosophy. And the monk Sinhoe maintains his opinion by changing One Round Samadhi principle of “Munsu Soseolgyeong” into the “Diamond & Wisdom
      Sutra,” which has no connection whatsoever with One Round Samadhi. He even explains that Prajna-para-mita equals One Round Samadhi. One Round Samadhi of “Munsu Soseolgyeong” was used as the ground for practicing method of many Buddhist branches in China including Jieui’s “Maha Jikwan.” Zen Buddhism, in particular, saw the Eastern Mountain Gateway Sutra being launched by Dosin. We can thus find the mutual effects and connected point between Cheontae and Zen Buddhism through One Round Samadhi, the fundamental ground for establishing the Eastern Mountain Gateway Sutr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는 말
      • Ⅱ. 天台智顗의 三昧思想
      • 1. 전기와 후기의 삼매사상
      • 2. 사종삼매의 의의
      • Ⅲ. 일행삼매의 修行法
      • Ⅰ. 들어가는 말
      • Ⅱ. 天台智顗의 三昧思想
      • 1. 전기와 후기의 삼매사상
      • 2. 사종삼매의 의의
      • Ⅲ. 일행삼매의 修行法
      • 1. 일행삼매의 經典根據
      • 2. 일행삼매의 방법과 내용
      • Ⅳ. 일행삼매와 동산법문
      • Ⅴ. 나가는 말
      • 국문 요약문
      • 영문요약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자, "천태불교학" 불지사 2001

      2 이영자, "법화?천태사상연구" 동국대학교출판부 2002

      3 학담, "문수설반야경" 큰수레 2002

      4 "隨自意三昧(卍續藏 98)"

      5 "隋天台智者大師別傳(大正藏 50)"

      6 "續高僧傳(大正藏 50)"

      7 "禪源諸詮集都序(大正藏 48)"

      8 "止觀輔行傳弘決(大正藏 46)"

      9 "次第禪門(大正藏 46)"

      10 "楞伽師資記(大正藏 85)"

      1 이영자, "천태불교학" 불지사 2001

      2 이영자, "법화?천태사상연구" 동국대학교출판부 2002

      3 학담, "문수설반야경" 큰수레 2002

      4 "隨自意三昧(卍續藏 98)"

      5 "隋天台智者大師別傳(大正藏 50)"

      6 "續高僧傳(大正藏 50)"

      7 "禪源諸詮集都序(大正藏 48)"

      8 "止觀輔行傳弘決(大正藏 46)"

      9 "次第禪門(大正藏 46)"

      10 "楞伽師資記(大正藏 85)"

      11 "文殊師利所說摩訶般若波羅蜜經(大正藏 8)"

      12 "摩訶止觀(大正藏 46)"

      13 大野榮人, "天台止觀成立史の硏究" 法藏館 1994

      14 關口眞大, "天台止觀の硏究" 岩波書店 1969

      15 佐藤哲英, "天台大師における四種三昧の形成過程" 12 (12):

      16 "大智度論(大正藏 25)"

      17 "大品般若經(大正藏』 8)"

      18 "大乘起信論(大正藏 32)"

      19 鄭性本, "中國禪宗의 成立史硏究" 민족사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4-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韓國禪學(한국선학) -> 禪學(선학) KCI등재
      2016-02-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eon Studies -> The Korean Society for Seon Studies KCI등재
      2016-02-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eon Studies -> Journal of Seon Studies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6 1.14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