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실직스트레스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udy of Job Loss Stress Sca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6341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실직자들이 경험하는 실직스트레스를 신뢰성 있고 타당도 있게 측정할 수 있는 실직스트레스척도를 개발하는데 있다. 실직스트레스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문항 개발, 예비조사, 본조사, 척도 검증의 절차에 따라 진행되었다.
      문항 개발 단계에서 구성개념을 파악하기 위해 개방형 설문조사를 총 50명에게 실시하였다. 개방형 설문조사에서 수집한 자료의 내용타당도 검증과 안면타당도 검증을 통해 예비 112문항을 확정하였다. 예비조사는 총 350명에게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자에 포함되지 않거나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하고 총 345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예비조사에서 수집된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 7요인 46문항으로 요인구조를 확정하였다. 최종 문항을 확정하기 위한 본조사는 총 350명에게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자로 적합하지 않거나 불성실한 응답이 없어 총 350명의 자료를 모두 사용하였다. 본조사에서 수집된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직스트레스척도는 4요인 20문항으로 구성되었고, 하위요인과 문항을 심리적 스트레스 7문항, 재정적 스트레스 5문항, 신체화 5문항, 관계적 스트레스 3문항으로 최종 확정되었다. 개발된 실직스트레스척도의 수렴타당도 검증을 실시한 결과 미취업청년 취업스트레스척도와의 상관계수는 .756으로 나타났다. 준거타당도 검증을 실시한 결과 대학생 취업스트레스척도와의 상관계수는 .714이며, 일반정신건강척도와의 상관계수는 .550으로 나타났다. 내적합치도 계수는 전체 .937로 나타났으며 검사-재검사를 통한 상관계수는 .810으로 나타나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실직스트레스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가 확보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실직스트레스척도를 개발함으로써 실직자가 경험하는 실직스트레스를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되었으며 실직자의 실직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정책개발과 실직자 지원 프로그램 개발, 학술연구 등에서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실직자들이 경험하는 실직스트레스를 신뢰성 있고 타당도 있게 측정할 수 있는 실직스트레스척도를 개발하는데 있다. 실직스트레스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문항 개발, 예비...

      본 연구의 목적은 실직자들이 경험하는 실직스트레스를 신뢰성 있고 타당도 있게 측정할 수 있는 실직스트레스척도를 개발하는데 있다. 실직스트레스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문항 개발, 예비조사, 본조사, 척도 검증의 절차에 따라 진행되었다.
      문항 개발 단계에서 구성개념을 파악하기 위해 개방형 설문조사를 총 50명에게 실시하였다. 개방형 설문조사에서 수집한 자료의 내용타당도 검증과 안면타당도 검증을 통해 예비 112문항을 확정하였다. 예비조사는 총 350명에게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자에 포함되지 않거나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하고 총 345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예비조사에서 수집된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 7요인 46문항으로 요인구조를 확정하였다. 최종 문항을 확정하기 위한 본조사는 총 350명에게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자로 적합하지 않거나 불성실한 응답이 없어 총 350명의 자료를 모두 사용하였다. 본조사에서 수집된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직스트레스척도는 4요인 20문항으로 구성되었고, 하위요인과 문항을 심리적 스트레스 7문항, 재정적 스트레스 5문항, 신체화 5문항, 관계적 스트레스 3문항으로 최종 확정되었다. 개발된 실직스트레스척도의 수렴타당도 검증을 실시한 결과 미취업청년 취업스트레스척도와의 상관계수는 .756으로 나타났다. 준거타당도 검증을 실시한 결과 대학생 취업스트레스척도와의 상관계수는 .714이며, 일반정신건강척도와의 상관계수는 .550으로 나타났다. 내적합치도 계수는 전체 .937로 나타났으며 검사-재검사를 통한 상관계수는 .810으로 나타나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실직스트레스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가 확보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실직스트레스척도를 개발함으로써 실직자가 경험하는 실직스트레스를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되었으며 실직자의 실직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정책개발과 실직자 지원 프로그램 개발, 학술연구 등에서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job loss stress scale that can reliably and validly measure the job loss stress experienced by unemployed individuals. To develop the job loss stress scale, the following procedures were followed: item development, preliminary survey, main survey, and scale validation.
      In the item development stage, an open-ended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a total of 50 people to identify the constructs. A preliminary 112 items were finalized through content validation and face validation of the data collected from the open-ended survey. The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350 respondents, and we used data from 345 respondents after excluding those who were not included in the study or were unfaithful. The data collected in the preliminary survey was subjected to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tent validation to confirm the factor structure with 7 factors and 46 questions. The main survey to finalize the final questions was conducted on a total of 350 people, and all 350 people's data were used because there were no ineligible or non-responses.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was subjected to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ntent validity. As a result, the job loss stress scale consisted of 4 factors and 20 items, and the subfactors were finalized as 7 items of psychological stress, 5 items of financial stress, 5 items of somatization, and 3 items of relational stress. The convergent validity test of the developed job loss stress scale showed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756 with the unemployed youth employment stress scale. The criterion validation of the developed job loss stress scale showed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714 with the College Student Employment Stress Scale and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550 with the General Mental Health Scale. Th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was .937 overall,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through test-retest was .810, confirm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job loss stress scale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by developing a job loss stress scale, it is possible to directly measure the job loss stress experienced by the unemployed, and it can be used as a basis for policy development, develop a jobless assistance program, and academic research to reduce the job loss stress of the job los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job loss stress scale that can reliably and validly measure the job loss stress experienced by unemployed individuals. To develop the job loss stress scale, the following procedures were followed: item develo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job loss stress scale that can reliably and validly measure the job loss stress experienced by unemployed individuals. To develop the job loss stress scale, the following procedures were followed: item development, preliminary survey, main survey, and scale validation.
      In the item development stage, an open-ended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a total of 50 people to identify the constructs. A preliminary 112 items were finalized through content validation and face validation of the data collected from the open-ended survey. The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350 respondents, and we used data from 345 respondents after excluding those who were not included in the study or were unfaithful. The data collected in the preliminary survey was subjected to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tent validation to confirm the factor structure with 7 factors and 46 questions. The main survey to finalize the final questions was conducted on a total of 350 people, and all 350 people's data were used because there were no ineligible or non-responses.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was subjected to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ntent validity. As a result, the job loss stress scale consisted of 4 factors and 20 items, and the subfactors were finalized as 7 items of psychological stress, 5 items of financial stress, 5 items of somatization, and 3 items of relational stress. The convergent validity test of the developed job loss stress scale showed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756 with the unemployed youth employment stress scale. The criterion validation of the developed job loss stress scale showed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714 with the College Student Employment Stress Scale and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550 with the General Mental Health Scale. Th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was .937 overall,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through test-retest was .810, confirm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job loss stress scale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by developing a job loss stress scale, it is possible to directly measure the job loss stress experienced by the unemployed, and it can be used as a basis for policy development, develop a jobless assistance program, and academic research to reduce the job loss stress of the job los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