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광수의 민족개조론 재고 = A Review on Lee Kwang-su`s Project of Nation Reforma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lanning of Lee Kwang-su`s nation reformation was a long-term project which took place under a wide range of conditions. The idea first emerged during his second period of study abroad when he worked at the Joseon Academy. The idea then took on shape when he worked at the Shanghai Provisional Government and was introduced to Dosan`s Heongsadan ideal. After returning home, the idea was reestablished under the stimulus of the Chondogyo cultural movement. The idea was finally made into blue print through the novel “The story of hoesang”. But existing research has only given attention to “The essay of nation reformation”( 1922). Therefore, this article gives attention to the conditions Lee Kwang-su`s project of nation reformation that were present from its inception to established form, to the prospects which he emphasized concerning nation reformation, and to his strategic writing. This article shows that Lee Kwang-su`s long term attention for the nation problem was for the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t, universal ethical-national community against the West and Japan`s orientalized information of the Joeson nation.
      번역하기

      The planning of Lee Kwang-su`s nation reformation was a long-term project which took place under a wide range of conditions. The idea first emerged during his second period of study abroad when he worked at the Joseon Academy. The idea then took on sh...

      The planning of Lee Kwang-su`s nation reformation was a long-term project which took place under a wide range of conditions. The idea first emerged during his second period of study abroad when he worked at the Joseon Academy. The idea then took on shape when he worked at the Shanghai Provisional Government and was introduced to Dosan`s Heongsadan ideal. After returning home, the idea was reestablished under the stimulus of the Chondogyo cultural movement. The idea was finally made into blue print through the novel “The story of hoesang”. But existing research has only given attention to “The essay of nation reformation”( 1922). Therefore, this article gives attention to the conditions Lee Kwang-su`s project of nation reformation that were present from its inception to established form, to the prospects which he emphasized concerning nation reformation, and to his strategic writing. This article shows that Lee Kwang-su`s long term attention for the nation problem was for the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t, universal ethical-national community against the West and Japan`s orientalized information of the Joeson n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사편찬위원회, "한국독립운동사 5" 410-, 1969

      2 박찬승, "한국근대정치사상사연구" 역사비평사 294-298, 1992

      3 임경석, "한국 사회주의의 기원, In 제14장 ‘사회주의운동의 지각변동’" 역사비평사 546-563, 2003

      4 전상숙, "파리강화회의와 약소민족의 독립문제" 한국근현대사학회 (50) : 7-36, 2009

      5 이광수a, "춘원의 광복론: 독립신문" 단국대학교출판부 56-, 1919

      6 박은경, "춘원 이광수의「민족개조론」과 1920년대 식민지 조선"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3

      7 최주한, "중학시절과 오산시절 전후의 이광수" 5 : 294-299, 2012

      8 구인모, "조선연구의 발산과 수렴의 교차점으로서 민족성 연구" 38 : 2010

      9 최남선, "조선상식문답" 기파랑 218-, 2011

      10 최주한, "제국의 근대와 식민지, 그리고 이광수 -제2차 유학시절 이광수의 사상적 궤적을 중심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6 (36): 421-446, 2008

      1 국사편찬위원회, "한국독립운동사 5" 410-, 1969

      2 박찬승, "한국근대정치사상사연구" 역사비평사 294-298, 1992

      3 임경석, "한국 사회주의의 기원, In 제14장 ‘사회주의운동의 지각변동’" 역사비평사 546-563, 2003

      4 전상숙, "파리강화회의와 약소민족의 독립문제" 한국근현대사학회 (50) : 7-36, 2009

      5 이광수a, "춘원의 광복론: 독립신문" 단국대학교출판부 56-, 1919

      6 박은경, "춘원 이광수의「민족개조론」과 1920년대 식민지 조선"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3

      7 최주한, "중학시절과 오산시절 전후의 이광수" 5 : 294-299, 2012

      8 구인모, "조선연구의 발산과 수렴의 교차점으로서 민족성 연구" 38 : 2010

      9 최남선, "조선상식문답" 기파랑 218-, 2011

      10 최주한, "제국의 근대와 식민지, 그리고 이광수 -제2차 유학시절 이광수의 사상적 궤적을 중심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6 (36): 421-446, 2008

      11 최주한, "제2차 유학시절의 이광수" 4 : 96-108, 2011

      12 허수, "제1차 세계대전 종전 후 개조론의 확산과 한국 지식인" 한국근현대사학회 (50) : 37-54, 2009

      13 이광수, "재외 조선인에 대한 긴급책, In 齋藤實文書 書簡, 분류번호, 2166" 일본국회도서관 소장 1921

      14 임종국, "일제하의 사상탄압" 평화출판사 261-262, 1985

      15 이지원, "일제하 민족문화 인식의 전개와 민족문화운동 : 민족주의 계열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16 M. 로빈슨, "일제하 문화적 민족주의" 나남 107-124, 1990

      17 강동진, "일제의 한국침략정책사" 한길사 379-399, 1980

      18 최혜주, "일제강점기 조선연구회의 활동과 조선인식" 한국민족운동사학회 42 : 468-513, 2005

      19 정운현, "일제 ‘문화정치’의 조력자 - 언론인 진학문, In 나는 황국신민이 로소이다― 새로 밝혀 다시 쓴 친일인물사" 개마고원 202-204, 1997

      20 최주한, "일본유학생작가연구" 소명출판 83-84, 2011

      21 최주한, "일본유학생작가연구" 소명출판 167-168, 2011

      22 김윤식, "이광수와 그의 시대 1, 2" 솔 735-737, 1999

      23 와다 토모미, "이광수 소설과 증산교의 관련 양상" 2006

      24 김원모, "영마루의 구름" 단국대출판부 88-111, 2009

      25 주요한, "안도산전서(증보판)" 흥사단출판부 609-611, 1999

      26 권보드래, "식민지 지식인의 ‘민족’과 ‘인류’: 3·1운동 전후 나혜석과 김기진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28 (28): 311-332, 2005

      27 구인모, "식민지 조선인을 논하다" 동국대학교출판부 153-154, 2010

      28 최기영, "상해판 독립신문의 발간과 운영, In 식민지시기 민족지성과 문화운동" 한울아카데미 214-220, 2003

      29 양태진, "민족종교의 모태 정감록" 예나루 26-37, 2013

      30 홍기돈, "민족개조론의 자치제 기획과 허생전" 2013 : 63-64, 2013

      31 최주한, "민족개조론과 相愛의 윤리학" 인문과학연구소 (30) : 295-336, 2011

      32 송욱, "민족개조론-정치적 배신의 도덕적 위장 , In 문학평전" 일조각 313-, 1969

      33 차승기, "문학 속의 파시즘" 삼인 104-107, 2001

      34 독립운동사 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자료집 12" 1287-, 1977

      35 조선총독부 경무국, "도산안창호자료집 I" 국회도서관 1997

      36 임사사료편찬회, "대한민국 임시정부 자료집: 한일관계사료집" 국사편 찬위원회 1919

      37 김현주b, "논쟁의 정치와 민족개조론의 글쓰기, In 역사와 현실 No.57" 2005

      38 김택호, "개화기의 국가주의와 1920년대 민족개조론의 관계 연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13) : 269-287, 2003

      39 金廣植, "高橋亨の 朝鮮の物語集における朝鮮人論に關する硏究" 東京 學藝大學大學院綜合學校敎育硏究科 24 : 19-, 2011

      40 朝鮮人槪況, "第3編 第1章 ‘內地在住 朝鮮人의 情況’" 학지광

      41 오영섭, "朝鮮光文會 硏究" 한국사학사학회 (3) : 79-140, 2001

      42 高橋亨, "朝鮮人, In 日本社會學院年報" 日本社會學院事務所 1917

      43 최주한, "改造論과 근대적 개인-1920년대 초반 <開闢>지를 중심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2 (32): 307-326, 2004

      44 최수일, "『개벽』연구" 소명출판 361-414, 2008

      45 김철수, "19세기 민족종교의 형성과 ‘남조선 사상’" 동양사회사상학회 (22) : 5-46, 2010

      46 김형국, "1920년대 초 민족개조론 검토" 19 :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Seoul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Humanities -> Institute of Humani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15-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Journal of Humanites -> Journal of Humani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62 1.317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