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례 의식들 중에서 虞祭를 공부하고 분석하기 위한 이유가 있다. 傳統 喪葬禮 의식 절차 중에서 虞祭에 초점을 맞춘 것은 虞祭를 지내고 脫喪하는 경우가 많고, 대부분 제대로 그 의미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909231
2013
Korean
152.21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51-75(25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장례 의식들 중에서 虞祭를 공부하고 분석하기 위한 이유가 있다. 傳統 喪葬禮 의식 절차 중에서 虞祭에 초점을 맞춘 것은 虞祭를 지내고 脫喪하는 경우가 많고, 대부분 제대로 그 의미를 ...
장례 의식들 중에서 虞祭를 공부하고 분석하기 위한 이유가 있다. 傳統 喪葬禮 의식 절차 중에서 虞祭에 초점을 맞춘 것은 虞祭를 지내고 脫喪하는 경우가 많고, 대부분 제대로 그 의미를 모른 채, 虞祭를 지내고 있다. 故人을 위로하고 위안하는 측면에서 虞祭를 지내고 脫喪을 하는 것이 바람직 하고, 최소한 虞祭의 의미에 대해서 알고는 있어야겠다는 것이다. 故人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해 지 내는 虞祭를 吉事의 개념으로 치른다면 凶事의 개념으로 치렀던 虞祭를 전통적으로 메와 갱을 진 설하는 방법을 바꾸어 吉事의 槪念으로, 柔日과 剛日의 개념을 잘 헤아려 喪葬禮를 치러야 할 것이 다. 三日葬을 치름에 있어서는 장사 당일이 剛日에 해당함에도, 葬禮를 지내고 初虞祭를 지내게 됨으 로써 問題點이 發生하기 때문이다. 禮에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고인에 대해 정성을 담은 禮를 표현함과 동시에 故人과 산 사람 모두에게 좋은 改善 方案이 없을까 하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옛날에는 喪葬禮의 儀式을 치름에 있어 主가 되고 中心이 되었던 故人의 확고하던 위 치가 언제인가부터인지는 산 자의 입장에서 모든 것이 決定되고 있어 진정으로 위문과 편안함을 줄 수 있는 적절한 방법과 성실한 마음으로 虞祭를 행함으로써 유족들을 평화롭게 만들 것으로 기 대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is a reason for studying and analyzing Wuje among many funeral rites. It is the researcher's opinion that our ancestor has treated pains of the dead, bereaved families and friends by concluding funeral rites with the concept of happy events thr...
There is a reason for studying and analyzing Wuje among many funeral rites. It is the researcher's opinion that our ancestor has treated pains of the dead, bereaved families and friends by concluding funeral rites with the concept of happy events through eliciting concepts of tragic events and happy events from funeral rites that can be normally considered tragic events. In fact, bereaved families are experiencing simple funeral rites because of burial on the third day after death these days. Even 30 years ago, our society had formal and ceremonious funeral rites based on Confucian tradition. As a result, intended to elicit the concept of happy events from Wuje and sublimate funeral rites, tragic events, as happy events although Wuje is a funeral rite that belongs to tragic events. In fact, the traditional viewpoint considered from the whole period of mourning to Wuje and Jolgok tragic events, while Damje to Gilje were considered happy events. Originally Wuje is a memorial service to comfort and console the spirit of the dead person. Wuje includes Chowuje that is held on the day of a funeral ceremony, Jaewuje that is held secondly and Samwuje that is held last. In the current study, strongly insists that Wuje should be held by sublimating as the concept of happy events, not tragic events, in general cases of finishing mourning after Wuje. Especially, considering that funeral rites are artificial ceremonies made by human beings for more convenient and organized life, insisting on one opinion ·will not be desirable. The researcher sincerely hopes to console and comfort the lonely spirit of the dead and make the bereaved family peaceful by having Wuje with appropriate manners and sincere min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양승희, "한국인의 상례의식에 관한 연구" 은평향토사학회 (3) : 2006
2 이도희, "한국 전통상장례 중 몇 가지 의례절차의 상징성" 2 (2): 2004
3 최현택, "통속가례" 2001
4 朱熹, "주자가례" 예문서원 1999
5 남민이, "우리 나라 수의와 그 착의법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1999
6 권오순, "예기" 흥신문화사 1984
7 이원찬, "상제 제례 사전" 진영문화사 1999
8 남민이, "상장의례학" 시그마프레스 2002
9 김창선, "상례와 제례" 자유문고 2007
10 陶庵 李縡, "국역사례편람" 명문당
1 양승희, "한국인의 상례의식에 관한 연구" 은평향토사학회 (3) : 2006
2 이도희, "한국 전통상장례 중 몇 가지 의례절차의 상징성" 2 (2): 2004
3 최현택, "통속가례" 2001
4 朱熹, "주자가례" 예문서원 1999
5 남민이, "우리 나라 수의와 그 착의법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1999
6 권오순, "예기" 흥신문화사 1984
7 이원찬, "상제 제례 사전" 진영문화사 1999
8 남민이, "상장의례학" 시그마프레스 2002
9 김창선, "상례와 제례" 자유문고 2007
10 陶庵 李縡, "국역사례편람" 명문당
11 전응남, "喪葬禮의 이해와 해설" 동창도서출판사 2006
12 李哲寧, "喪葬禮의 精釋" 효사랑 2006
13 경북대학교 평생교육원, "喪祭禮" 2003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5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2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1 | 0.61 | 0.4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3 | 0.62 | 0.699 | 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