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은주, "한국 대학생 진로준비유형검사의 개발" 한국상담심리학회 22 (22): 733-752, 2010
2 김향수, "취업스트레스 척도개발과 취업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 : 초기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3 조성심, "체험활동중심 진로교육 집단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분석" 한국진로교육학회 23 (23): 47-64, 2010
4 정민, "진로장애와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 진로정체감과 자아강도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5 (5): 213-227, 2008
5 이동혁, "진로의사결정에서의 진로장벽의 역할:예측변인 또는 조절변인" 한국상담학회 12 (12): 59-80, 2011
6 탁진국, "직업결정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1 (1): 167-180, 2001
7 국선희, "여대생의 진로준비에 대한 의식 및 그 영향에 관한 연구" 11 : 71-91, 2006
8 엄태영, "빈곤청소년의 진로결정수준에 대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분석"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7 (17): 69-85, 2009
9 김정아, "비서학 전공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취업준비행동,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비서학회 23 (23): 141-164, 2014
10 오은주,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1 (21): 31-58, 2014
1 김은주, "한국 대학생 진로준비유형검사의 개발" 한국상담심리학회 22 (22): 733-752, 2010
2 김향수, "취업스트레스 척도개발과 취업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 : 초기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3 조성심, "체험활동중심 진로교육 집단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분석" 한국진로교육학회 23 (23): 47-64, 2010
4 정민, "진로장애와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 진로정체감과 자아강도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5 (5): 213-227, 2008
5 이동혁, "진로의사결정에서의 진로장벽의 역할:예측변인 또는 조절변인" 한국상담학회 12 (12): 59-80, 2011
6 탁진국, "직업결정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1 (1): 167-180, 2001
7 국선희, "여대생의 진로준비에 대한 의식 및 그 영향에 관한 연구" 11 : 71-91, 2006
8 엄태영, "빈곤청소년의 진로결정수준에 대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분석"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7 (17): 69-85, 2009
9 김정아, "비서학 전공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취업준비행동,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비서학회 23 (23): 141-164, 2014
10 오은주,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1 (21): 31-58, 2014
11 유계숙, "대학생의 학업․취업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학업 스트레스로 인한 소진 및 취업 스트레스 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한국상담학회 14 (14): 3849-3869, 2013
12 김명옥,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취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9 (19): 69-90, 2012
13 박선희,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스트레스대처방식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2009
14 김형균,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의 성별, 학년별 관계분석" 전주대학교 2003
15 손은령,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이차원적 유형과 학습행동과의 관계" 한국진로교육학회 23 (23): 1-20, 2010
16 김봉환,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9 (9): 311-333, 1997
17 박예영,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구직효능감의 역할" 한국직업교육학회 33 (33): 85-101, 2014
18 고은영,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따른 군집유형과 진로장애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9 (9): 417-442, 2012
19 정은이, "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 및 생활 스트레스가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방법학회 19 (19): 143-162, 2007
20 강희순, "대학생의 성별, 학년, 진로의식이 진로개발 준비도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9 (9): 83-104, 2010
21 장형석,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원천과 대처전략" 30 : 101-115, 2000
22 김영경, "대학 신입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1191-1210, 2008
23 이은진, "다재다능한 대학생을 위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24 임지영, "공대생들의 진로발달의 이차원적 유형화에 따른 셀프리더십과 자기효능감" 한국공학교육학회 12 (12): 13-20, 2009
25 이기학,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심리적 변인들과의 관계 : 자아존중감, 직업가치, 내외통제성을 중심으로"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7
26 황선미, "고등학생과 진로적응훈련 중인 중퇴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 진로장애 및 진로결정의 관계모형 검증" 한국상담학회 8 (8): 229-245, 2007
27 백경화, "경호학전공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전공만족도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 29 (29): 115-137, 2011
28 金鳳煥, "大學生의 進路決定水準과 進路準備行動의 發達 및 二次元的 類型化" 서울대학교 1997
29 Patterson, C. H.,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1985
30 Yap, A., "The Appraisal Rebound Effect : Cognitive Appraisals on the Rebound" 35 (35): 1208-1219, 2009
31 Gibbons, C., "Stress, positive psychology and the National Student Survey" 18 (18): 22-30, 2012
32 Segerstrom, S. C., "Stress, energy, and immunity" 16 : 326-330, 2007
33 Lazarus, R. 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1984
34 Hair, J. F., "Reading and understanding more multivariate statistic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47-205, 2000
35 Starica, E. C., "Predictors for career indecision in adolescence" 33 : 168-172, 2012
36 Wanberg, C. R., "Individuals without jobs : An empirical study of job-seeking behavior and reemployment" 81 : 76-87, 1996
37 Luzzo, D. A.,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occupational barriers and career development" 22 (22): 239-248, 1996
38 Betz, N. E., "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 influence career exploration and decidedness" 46 : 179-189, 1997
39 Riggio, R. E., "Effects of prior training and verbal errors on students’ performance in job interviews" 24 : 10-16, 1987
40 Tak, J. K., "Development of the Korean Career Indecision Inventory" 11 : 328-345, 2003
41 Larson, M. L., "Application of the coping with career indecision instrument with adolescents" 6 : 163-179, 1998
42 Wanberg, C. R., "A typology of career decision status : Validity extension of the vocational decision status model" 39 : 71-80, 1992
43 Hackett, G., "A Self-efficacy approach to th career cevelopment of woman" 18 (18): 326-339, 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