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른스트는 프로이트의 학설에 영향을 받아 인간내면의 무의식 세계를 조형적으로 표출하고자 정신분석학에 기초를 둔 자동기술법적 제 화법을 다양하게 창안하여 독창적인 작품세계를 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4106178
서울 :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94
학위논문(석사) --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학과 , 1995. 2
1994
한국어
653.205 판사항(4)
서울
ii, 100p. : 삽도 ; 26cm .
참고문헌: p. 88-10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에른스트는 프로이트의 학설에 영향을 받아 인간내면의 무의식 세계를 조형적으로 표출하고자 정신분석학에 기초를 둔 자동기술법적 제 화법을 다양하게 창안하여 독창적인 작품세계를 구...
에른스트는 프로이트의 학설에 영향을 받아 인간내면의 무의식 세계를 조형적으로 표출하고자 정신분석학에 기초를 둔 자동기술법적 제 화법을 다양하게 창안하여 독창적인 작품세계를 구축해 나갔던 초현실주의의 대표적인 화가였다.
에른스트의 예술세계는 초현실주의 운동의 중심축과 같은 역할을 했다. 초현실주의 운동이 처음에는 시인이 중심이된 문학운동에서 출발하였으나 정작 초현실주의 예술세계가 구체적이면서도 강렬하게 살아났던 것은 미술분야에서였다. 그 미술분야의 핵심적인 화가가 바로 에른스트였던 것이다.
그는 인간내면의 무의식 세계를 독특한 주제와 다양한 기법적 효과로 작품화 했으며, 특히 그 성장과정에서 체험한 환각적 체험은 보는것에 대한 보다 폭넓은 환상적 자유를 마음껏 누리게 하여 갖가지 기법을 자연스럽게 도입하게 되었다.
그의 작품세계에는 항시 삶과 환상적 체험이 결부되는 것이 다른 작가와 구별되는 점인데, 환상적 바탕이 되는 체험으로 새와 인간을 혼동하는 감각 세계와의 접촉, 숲속에서의 즐거움과 공포가 뒤섞인 감정과 누이의 죽음을 체험한 허무는 에른스트의 작품속에 큰 비중을 차지했다.
에른스트 작품에서 보이는 환상적 이미지는 그의 출생의 신비와 더불어 성장 과정에서 겪게되는 여러가지 체험들에 의해 일어나는 우연의 법칙아래 새로운 이미지 표현을 추구하고 꼴라류, 프로타쥬, 그라타쥬, 데칼코마니등과 같은 기법을 사용하여 현대 회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것은 작품제작에 있어 금기시되어 왔던 화가 자신의 무의도적 계기에 대한 관심을 더욱 깊게 하였다. 뿐만 아니라 관념을 해방시키기 위한 생경한 오브제의 도입과 제시는 사물에 대한 습관적인 관점을 배제하였음과 동시에 사물에 대한 무한한 상상력을 표출하였으며, 사물에 대한 새로운 발견과 창조의 행위까지도 미술개념에 넣어야 한다는 문제점까지 제시하였다.
단순히 묘사해서 그린다는 개념도 자연의 재현적인 의미보다는 비현실적인 이미지의 상상적인 결합에서 오는 새로운 세계의 표현으로 꿈꾸듯이 자유롭게 그린다는 의미로 전환하게 되어 인간의 상상에 자유를 주어야한다는 초현실주의의 선언을 실제적으로 뒷받침하였다
에른스트의 예술이 보여준 그 깊고 다양한 정신과 표현의 세계는 당시에 상당한 충격과 신선한 자극을 주었다.
그러한 신선한 충격과 자극은 에른스트 작품에서 볼 수 있는 현실적 질서감각을 뒤바꾸는 모순적인 상황 조성과 환상적 표현을 통한 신비적 분위기의 환기등으로 이루어졌던 것 임은 물론이다. 에른스트는 시대를 앞서간 진정한 아방가르드 정신의 선구자였던 것이다.
그의 예술세계가 남긴 심오한 정신과 신선한 화법은 아직까지도 많은 작가들에게 끊임없는 창작의 샘이 되어 주고 있는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