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과정 정도 및 아동간호시뮬레이션 기반 임상수행능력 =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blem Solving Process, and Simulation- Based Assessment of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in Pediatric Nurs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393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해결과정정도 및 시뮬레이션 기반 임상수행능력 평가 점수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데에 있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일 간호...

      목적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해결과정정도 및 시뮬레이션 기반 임상수행능력 평가 점수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데에 있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일 간호대학 3학년 학생 214명으로 대상자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해결과정 정도 및 시뮬레이션 기반 임상수행능력 평가 점수와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비판적 사고성향은 Yoon (2008)이 개발한 5점 척도의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문제해결과정 정도는 Lee 등(2008)가 개발한 5점 척도의 문제해결과정 측정도구, 시뮬레이션 기반 임상수행능력 평가는 연구자가 개발한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정도는 3.76 ±0.46 (점수범위 1-5점),문제해결과정 정도는 3.67±0.47 (점수범위 1-5점)으로 중간 이상의 점수를 보였다. 시뮬레이션 기반 임상수행능력 평가 점수는 비판적 사고성향이 평균점수(3.67점) 이상으로 높은 간호대학생에게서 유의하게높게 나타난 반면, 문제해결과정 정도와의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비판적 사고성향은 시뮬레이션 기반 임상수행능력평가의 하부 영역 중 간호사정 영역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기반 학습은 간호학생들의 비판적 사고성향이 기반이 되어야 하며 비판적 사고 성향정도는 복합적인 상황에서 대상자의 상태를 파악하는 간호사정에서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함양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시뮬레이션 기반 학습은 학습자의 이러한강점과 약점을 고려하여 시뮬레이션 평가 전 단계에서 충분한 학습의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질적으로 우수한 간호사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는 현 시점에 효과적인 대응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민규, "임상적 비판적 사고 수업설계 연구-간호교육에 필요한 비판적 사고 기술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317-341, 2013

      2 이명선,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실습교육이 간호학생의 간호수행능력과 문제해결 과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17 (17): 226-234, 2011

      3 김윤희, "시뮬레이션기반 심폐응급간호교육이 신규간호사의 지식, 임상수행능력 및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41 (41): 245-255, 2011

      4 이선옥, "시뮬레이션 교육의 간호학 적용" 한국간호교육학회 13 (13): 90-94, 2007

      5 이우숙, "성인의 문제해결과정 측정도구 개발" 기본간호학회 15 (15): 548-557, 2008

      6 이우숙, "산과 간호 영역에서의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의 효과 및 적절성" 한국간호과학회 41 (41): 433-443, 2011

      7 양선희, "교수학습방법에 따른 3개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수행능력" 한국간호교육학회 15 (15): 149-158, 2009

      8 허혜경, "간호학생을 위한 응급상황관리 시뮬레이션 실습 교과목 개발 및 적합성 평가" 한국간호교육학회 19 (19): 228-240, 2013

      9 양진주, "간호학생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과정 개발 및 평가" 성인간호학회 20 (20): 548-560, 2008

      10 신현숙, "간호대학생의 아동간호시뮬레이션 실습경험" 동서간호학연구소 16 (16): 147-155, 2010

      1 서민규, "임상적 비판적 사고 수업설계 연구-간호교육에 필요한 비판적 사고 기술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317-341, 2013

      2 이명선,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실습교육이 간호학생의 간호수행능력과 문제해결 과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17 (17): 226-234, 2011

      3 김윤희, "시뮬레이션기반 심폐응급간호교육이 신규간호사의 지식, 임상수행능력 및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41 (41): 245-255, 2011

      4 이선옥, "시뮬레이션 교육의 간호학 적용" 한국간호교육학회 13 (13): 90-94, 2007

      5 이우숙, "성인의 문제해결과정 측정도구 개발" 기본간호학회 15 (15): 548-557, 2008

      6 이우숙, "산과 간호 영역에서의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의 효과 및 적절성" 한국간호과학회 41 (41): 433-443, 2011

      7 양선희, "교수학습방법에 따른 3개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수행능력" 한국간호교육학회 15 (15): 149-158, 2009

      8 허혜경, "간호학생을 위한 응급상황관리 시뮬레이션 실습 교과목 개발 및 적합성 평가" 한국간호교육학회 19 (19): 228-240, 2013

      9 양진주, "간호학생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과정 개발 및 평가" 성인간호학회 20 (20): 548-560, 2008

      10 신현숙, "간호대학생의 아동간호시뮬레이션 실습경험" 동서간호학연구소 16 (16): 147-155, 2010

      11 정승교,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 및 임상수행능력 조사연구" 기본간호학회 18 (18): 71-78, 2011

      12 윤진,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에 관한 연구" 간호행정학회 14 (14): 159-166, 2008

      13 권인수,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 측정도구 개발" 한국간호과학회 36 (36): 950-958, 2006

      14 Martin, C, "Theory of critical thinking of nursing" 23 (23): 243-247, 2000

      15 Bowles, K, "The relationship of critical-thinking skills and the clinical judgement skills of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39 (39): 373-376, 2000

      16 Sullivan-Mann, J, "The effects of simulation on nurs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scores: A quantitative study" 9 (9): 111-116, 2009

      17 Hicks, F. D, "The effect of high-fidelity simulation on nursing students’ knowledge and performance: A Pilot Study" 40 : 1-27, 2009

      18 Facione, P. A, "Test manual: The California Critical Thinking Skills Test" The California Academic Press 1993

      19 고일선, "SimMan 시뮬레이션 학습 시나리오의 개발 및 학습 수행 평가 - 응급실 내원 천식 환자사례를 중심으로 -" 기본간호학회 17 (17): 371-381, 2010

      20 Hay, A. D, "Paracetamol and ibuprofen for the treatment of fever in children: The PITCH randomized controlled trial" 13 (13): 1-163, 2009

      21 Wilkinson, J. M, "Nursing process and critical thinking" Prentice Hall 2007

      22 Yoo, E. Y, "Medical simulation" 3 : 267-276, 2005

      23 Shepherd, C. K, "Investigating the use of simulation as a teaching strategy" 24 (24): 42-48, 2010

      24 Larew, C, "Innovation in clinical simulation : Application of Benner’s theory in an interactive patient care simulation" 27 (27): 16-21, 2006

      25 Hyland, J. R, "High-fidelity human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 A review of literature and guide for implementation" 4 (4): 14-21, 2009

      26 Kolb, S. E, "Evaluation: Is simulation the answer" 23 (23): 84-86, 1984

      27 Yoo, S. H,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nursing I-Understanding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changes in nursing education" 2 : 62-73, 2010

      28 Jeffries, P. R, "A framework for desig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on simulations used as teaching strategies in nursing" 26 : 96-103, 2005

      29 Bland, A. J, "A concept analysis of simulation as a learning strategy in the education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31 (31): 664-670, 2011

      30 Kim, M. S, "A Study For Developing Critical Thinking Test(II) : Construction of the Test" 1-146,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5-10-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아동간호학회 -> 한국아동간호학회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12-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12-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아동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KCI등재
      2010-08-2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아동간호학회지 -> 아동간호학회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7-01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아동간호학회 -> 아동간호학회
      영문명 : Korean Academic Society Of Child Health Nursing ->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Child Halth Nursing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4 1.04 1.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19 1.497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