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코나투스 건강학 : 스피노자 윤리학과 생물의학의 통접(統接) = Conatus Medicine: Conjunction of Spinoza’s Ethics and Biomedicin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395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의학의 과제는 사람의 생명을 살리는 것이다. 하지만 그 과제를 수행하는 방식과 그것을 떠받치는 사유의 양식은 시대와 문화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고대에는 실천적 지혜(phronesis)가 강조되었지만 근대 이후에는 추상화된 개념과 언어를 중심으로 한 사유(cogito)가 중심이 된다. 코기토의 의학은 엄청난 성과를 이루어냈지만 질병 그 자체에 초점을 맞추게 되면서 질병을 앓는 사람의 일상적 삶과는 유리된 지식체계로 발전했다는 비판에 직면해 있기도 하다. 이 논문은 의학 본연의 과제인 ‘생명살림’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사유 양식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그것은 모든 생명에 내재된 본질적 지향인 존재보전의 노력 즉 코나투스(conatus)이다. 먼저 코나투스의 개념을 제시한 스피노자의 내재적 자연관을 살펴본다. 그리고 스피노자의 자연 특히 코나투스와 의학 본연의 과제인 생명살림의 긴밀한 관련성을 논증할 것이다. 현대의학의 철학적 토대이며 코기토 의학의 출발점이기도 한 심신이원론의 대안으로 제시된 심신평행론이 생명살림이라는 의학의 과제를 수행하고 질병을 경험하는 환자의 삶을 설명하고 개선하는 데 적합함을 주장할 것이다. 3장에서는 진화, 면역, 인지 등의 분야에서 쏟아지고 있는 현대과학의 연구성과들을 스피노자의 자연 특히 코나투스의 개념으로 포괄해서 설명할 수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4장에서는 이런 과학적 성과들을 동아시아의 전통사상 및 스피노자의 자연과 묶어 하나의 흐름으로 읽어낼 것이다. 그리하여 형신감응의 우주론, 관계의 존재론, 감성 인식론, 기쁨의 윤리학을 제안한다. 첨단과학과 통접(統接)된 스피노자의 자연은 의학 본연의 과제인 생명살림을 수행하는 데 있어 아주 유용한 방향타가 될 것이다. 이것은 코기토를 중심으로 한 생물의학을 보완하는데 그치지 않고 점차 그것을 대체해 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스스로의 몸을 살아내는 동시에 다른 몸을 살리는 몸살이와 몸살림의 의학 또는 코나투스의 건강학이다.
      번역하기

      의학의 과제는 사람의 생명을 살리는 것이다. 하지만 그 과제를 수행하는 방식과 그것을 떠받치는 사유의 양식은 시대와 문화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고대에는 실천적 지혜(phronesis)가 강...

      의학의 과제는 사람의 생명을 살리는 것이다. 하지만 그 과제를 수행하는 방식과 그것을 떠받치는 사유의 양식은 시대와 문화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고대에는 실천적 지혜(phronesis)가 강조되었지만 근대 이후에는 추상화된 개념과 언어를 중심으로 한 사유(cogito)가 중심이 된다. 코기토의 의학은 엄청난 성과를 이루어냈지만 질병 그 자체에 초점을 맞추게 되면서 질병을 앓는 사람의 일상적 삶과는 유리된 지식체계로 발전했다는 비판에 직면해 있기도 하다. 이 논문은 의학 본연의 과제인 ‘생명살림’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사유 양식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그것은 모든 생명에 내재된 본질적 지향인 존재보전의 노력 즉 코나투스(conatus)이다. 먼저 코나투스의 개념을 제시한 스피노자의 내재적 자연관을 살펴본다. 그리고 스피노자의 자연 특히 코나투스와 의학 본연의 과제인 생명살림의 긴밀한 관련성을 논증할 것이다. 현대의학의 철학적 토대이며 코기토 의학의 출발점이기도 한 심신이원론의 대안으로 제시된 심신평행론이 생명살림이라는 의학의 과제를 수행하고 질병을 경험하는 환자의 삶을 설명하고 개선하는 데 적합함을 주장할 것이다. 3장에서는 진화, 면역, 인지 등의 분야에서 쏟아지고 있는 현대과학의 연구성과들을 스피노자의 자연 특히 코나투스의 개념으로 포괄해서 설명할 수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4장에서는 이런 과학적 성과들을 동아시아의 전통사상 및 스피노자의 자연과 묶어 하나의 흐름으로 읽어낼 것이다. 그리하여 형신감응의 우주론, 관계의 존재론, 감성 인식론, 기쁨의 윤리학을 제안한다. 첨단과학과 통접(統接)된 스피노자의 자연은 의학 본연의 과제인 생명살림을 수행하는 데 있어 아주 유용한 방향타가 될 것이다. 이것은 코기토를 중심으로 한 생물의학을 보완하는데 그치지 않고 점차 그것을 대체해 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스스로의 몸을 살아내는 동시에 다른 몸을 살리는 몸살이와 몸살림의 의학 또는 코나투스의 건강학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신익, "질병서사와 치유에 관한 생명-사회-인문학 가설" 한국의철학회 20 : 35-63, 2015

      2 최해숙, "주희와 스피노자의 내재관" 23 : 379-406, 1999

      3 Varela, F, "윤리적 노하우" 도서출판 갈무리 2009

      4 홍영미, "스피노자의 코나투스 이론" 철학연구회 (73) : 21-42, 2006

      5 Damasio, A, "스피노자의 뇌" 사이언스북스 2007

      6 한면희, "스피노자와 생태철학의 함의" 한국환경철학회 (8) : 29-56, 2009

      7 안종수, "스피노자와 儒學" 새한철학회 2 (2): 171-192, 2006

      8 이지영, "스피노자에서 개체의 실존 역량과 공동체"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9 이영의, "스피노자 정서 이론의 치료적 함의" 국제언어인문학회 16 (16): 137-164, 2014

      10 Coen, E, "세포에서 문명까지" 청아출판사 2015

      1 강신익, "질병서사와 치유에 관한 생명-사회-인문학 가설" 한국의철학회 20 : 35-63, 2015

      2 최해숙, "주희와 스피노자의 내재관" 23 : 379-406, 1999

      3 Varela, F, "윤리적 노하우" 도서출판 갈무리 2009

      4 홍영미, "스피노자의 코나투스 이론" 철학연구회 (73) : 21-42, 2006

      5 Damasio, A, "스피노자의 뇌" 사이언스북스 2007

      6 한면희, "스피노자와 생태철학의 함의" 한국환경철학회 (8) : 29-56, 2009

      7 안종수, "스피노자와 儒學" 새한철학회 2 (2): 171-192, 2006

      8 이지영, "스피노자에서 개체의 실존 역량과 공동체"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9 이영의, "스피노자 정서 이론의 치료적 함의" 국제언어인문학회 16 (16): 137-164, 2014

      10 Coen, E, "세포에서 문명까지" 청아출판사 2015

      11 시미즈 히로시, "생명과 장소: 창조하는 생명의 원리" 그린비 2010

      12 Lakoff, G., "몸의 철학: 신체화된 마음의 서구사상에 대한 도전" 박이정 2002

      13 여인석, "몸의 윤리학-스피노자와 이제마에 있어 몸의 윤리적의미에 관한 고찰" 7 (7): 178-198, 1997

      14 김희정, "몸의 논리로 본 인간의 역사에 관한 시론(試論)" 3 : 55-75, 2007

      15 Harrington, A, "마음은 몸으로 말을 한다" 살림 2009

      16 윤수종, "들뢰즈가따리 용어해설" (31) : 2007

      17 이진경, "노마디즘 1" 휴머니스트 2005

      18 Massumi, B, "가상계-운동, 정동, 감각의 아쌍블라쥬" 갈무리 2011

      19 Drucker, P, "anagement Challenges for the 21st Century" Routledge 2012

      20 Wim Dekkers, "Viewing a Person Through the Body: The Relevance of Philosophical Anthropology to Medical Education" 한국의학교육학회 21 (21): 335-346, 2009

      21 Eichmann, K, "The Network Collective: Rise and Fall of a Scientific Paradigm" Birkhauser 2009

      22 Tauber, A. I, "The Immune Self: Theory of Metaph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23 Chernyak, L, "The Idea of Immunity:Metchnikoff’s Metaphysics and Science" 23 (23): 187-249, 1990

      24 Masetti, M, "The Ethics of Joy in the Hospital Context" MMD Editora 2012

      25 Schleifer, R, "The Chief Concern of Medicine:The Integration of the Medical Humanities and Narrative Knowledge into Medical Practice"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7-, 2013

      26 Ravven, H. M, "Spinozistic approaches to evolutionary naturalism" 22 (22): 70-74, 2003

      27 Walker, S. T, "Spinoza, Styron, and the Ethics of Healing" 11 : 153-160, 2014

      28 Cohen, M. H, "Spinoza dn de Geneeskunde (S. and medicine)" Thesis University of Amsterdam 1920

      29 Thomson, E, "Mind in Life: Biology, Phenomenology, and the Sciences of Mind"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2007

      30 Barglow, R, "Medicine at the Millennium: Still Caught between Descartes and Spinoza" 17 (17): 28-, 2002

      31 Bleakley, A, "Medical Humanities and Medical Education: How the Medical Humanities can shape Better Doctors, Routledge"

      32 Kang, S. I, "Jumping Together : A Way from Sociobiology to Bio-Socio-Humanities" 51 : 176-190, 2016

      33 Heynick, F, "Jews and Medicine: An Epic Saga" Ktav Pub Inc 2002

      34 Esposito, R, "Immunitas: The Protection and Negation of Life" Polity Press 2002

      35 Unschuld, P. U, "Huang Di nei jing su wen: Nature, Knowledge, Imagery in an Ancient Chinese Medical Tex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88-, 2003

      36 Shouse, E, "Feeling, Emotion, Affect" 8 (8): 2005

      37 Huhnerfield, J, "Die Stellung Spinozas und Hobbes zur Medizin, insbesondere zur Physiologie ihrer Zeir" 23 : 113-134, 1939

      38 Aron, W, "Baruch Spinoza and Medicine" 2 : 255-282, 1963

      39 Meymandi, A, "Baruch Spinoza : The Philosopher’s Philosopher" 7 (7): 47-50, 2010

      40 Nadler, S, "Baruch Spinoza : Teretic, Lens Grinder" 118 : 1425-1427, 2000

      41 Navarrete, F, "Alien Alliances: Becoming-Subject in Spinoza" Kingston University London 2015

      42 Beeckman, T, "(Dis)intangling Darwin, Cross-disciplinary Reflections on theMan and His Legacy"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8-,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7 0.27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46 1.001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