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각장애노인의 노후준비 영향 요인 = Visually Impaired People Aged 60 or More and Examined the Factors that Affect Preparations for Senior Yea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346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sing the eighth Panel Survey of the Employment of Disabled People(2015), this study targeted 234 visually impaired people aged 60 or more and examined the factors that affect preparations for senior years. Only 19.2%(45 people) of the respondents said they were preparing for senior years. The result of cross analyzing the visually impaired by gender showed that the male elderly had higher ratio of preparation for senior years, employment, education, and having a spouse. On the other hand, they had higher ratio of having chronic diseases, and needing other’s assistance in their daily life while their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was lower than that of the female elderly. Their health status was similar to that of the female elderly, but such difference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As for religion, elderly women showed higher ratio for having a religion. As for the factors affecting preparations for senior years, factors tha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were ‘education’, ‘whether one is economically active’, and ‘the level of needing assistance in daily life’. Based on th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First, based on the result related to economic activities, those who have a job are better prepared for senior years, there should be sustainability for jobs such as masseurs and acupuncturists, which were at the center of controversy. Second, based on the result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education, the higher the ratio of preparing well for senior years, the visually impaired should at least have the education level of graduates of high school for the blind or higher. This is partly the reason why the accessibility to Iryoeducation through high school course is high. Third, based on the result that showed that the lower the necessity for assistance in daily life, the better people were for preparing for senior years, there should be ways to actively utilize the activity assistance system, which is the official provider of assistance for those with severe visual impairment.
      번역하기

      Using the eighth Panel Survey of the Employment of Disabled People(2015), this study targeted 234 visually impaired people aged 60 or more and examined the factors that affect preparations for senior years. Only 19.2%(45 people) of the respondents sai...

      Using the eighth Panel Survey of the Employment of Disabled People(2015), this study targeted 234 visually impaired people aged 60 or more and examined the factors that affect preparations for senior years. Only 19.2%(45 people) of the respondents said they were preparing for senior years. The result of cross analyzing the visually impaired by gender showed that the male elderly had higher ratio of preparation for senior years, employment, education, and having a spouse. On the other hand, they had higher ratio of having chronic diseases, and needing other’s assistance in their daily life while their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was lower than that of the female elderly. Their health status was similar to that of the female elderly, but such difference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As for religion, elderly women showed higher ratio for having a religion. As for the factors affecting preparations for senior years, factors tha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were ‘education’, ‘whether one is economically active’, and ‘the level of needing assistance in daily life’. Based on th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First, based on the result related to economic activities, those who have a job are better prepared for senior years, there should be sustainability for jobs such as masseurs and acupuncturists, which were at the center of controversy. Second, based on the result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education, the higher the ratio of preparing well for senior years, the visually impaired should at least have the education level of graduates of high school for the blind or higher. This is partly the reason why the accessibility to Iryoeducation through high school course is high. Third, based on the result that showed that the lower the necessity for assistance in daily life, the better people were for preparing for senior years, there should be ways to actively utilize the activity assistance system, which is the official provider of assistance for those with severe visual impair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혜련, "중장년층의 라이프스타일과 여가활동참여가 노후준비도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2 김백수, "중년층의 사회적 노후준비 결정요인분석: 성차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1 (21): 411-425, 2010

      3 조추용,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인복지학회 (43) : 135-156, 2009

      4 배문조, "중년기 성인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9 (29): 1107-1122, 2009

      5 김윤정, "중년기 부부의 결혼만족도가 노후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24) : 197-213, 2004

      6 양순미, "중년기 농촌여성의 노후준비와 관련변인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0 (20): 141-149, 2002

      7 안기선, "중고령 취업자의 노후생활계획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에 대한 연구 : 한국노동패널 4차년도와 11차년도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서대학교 대학원 2011

      8 박창제, "중 · 고령자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회 60 (60): 275-297, 2008

      9 민준영, "제8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 한국장애인공단 고용개발원 2015

      10 오혜경, "장애인의 삶에 대한 만족도 결정요인" 한국장애인재활협회 14 (14): 151-173, 2010

      1 최혜련, "중장년층의 라이프스타일과 여가활동참여가 노후준비도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2 김백수, "중년층의 사회적 노후준비 결정요인분석: 성차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1 (21): 411-425, 2010

      3 조추용,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인복지학회 (43) : 135-156, 2009

      4 배문조, "중년기 성인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9 (29): 1107-1122, 2009

      5 김윤정, "중년기 부부의 결혼만족도가 노후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24) : 197-213, 2004

      6 양순미, "중년기 농촌여성의 노후준비와 관련변인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0 (20): 141-149, 2002

      7 안기선, "중고령 취업자의 노후생활계획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에 대한 연구 : 한국노동패널 4차년도와 11차년도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서대학교 대학원 2011

      8 박창제, "중 · 고령자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회 60 (60): 275-297, 2008

      9 민준영, "제8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 한국장애인공단 고용개발원 2015

      10 오혜경, "장애인의 삶에 대한 만족도 결정요인" 한국장애인재활협회 14 (14): 151-173, 2010

      11 조정아, "장애인의 경제적 노후준비 실태와 결정요인" 255-275, 2010

      12 김미옥, "장애노인의 특성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21 : 73-97, 2003

      13 김동배, "장애노인의 장애특성이 차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여가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0 (40): 63-86, 2009

      14 김고은, "장애노인의 이중차별경험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 : 역할수행의 매개효과" 한국노인복지학회 (59) : 257-280, 2013

      15 이중섭, "장애노인의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등록장애인을 중심으로 -" 한국노인복지학회 (47) : 187-211, 2010

      16 이상원, "요보호 ADL장애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재가서비스 조절효과" 5 (5): 103-119, 2008

      17 김성희, "여성장애인의 역할 수행 능력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9

      18 이준상, "시각장애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8 (28): 211-228, 2012

      19 박수경, "시각장애노인의 사회통합 실태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 : 5-34, 2005

      20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 현안분석과 정책과제 2015. 장애인구의 고령화: 실태및 시사점" 2016

      21 이신영, "도시거주 노인의 경제적 노후준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8 (28): 205-224, 2009

      22 김동배, "노인의 과거 노후 준비정도와 준비유형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노인복지학회 (58) : 325-352, 2012

      23 박혜전, "노령 장애인의 취업욕구에 관한 연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0 (50): 83-110, 2007

      24 박혜전, "노령 장애인의 취업 및 재취업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8 (8): 169-195, 2007

      25 박혜전, "노령 장애인의 직업재활 욕구와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13 (13): 101-127, 2003

      26 송미영, "남녀 장애노인의 일상생활만족도 비교분석" 한국노년학회 31 (31): 143-155, 2011

      27 이경준, "국내 장애노인 관련 연구의 동향분석- 1995년~2013년 국내학술지 연구를 중심으로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18 (18): 1-30, 2014

      28 이승신, "고령자의 노후준비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 한국소비문화학회 15 (15): 43-61, 2012

      29 박주영, "고령여성장애인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노후준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30 Alma, M. A., "Determinants of social participation of visually impared older adults" 21 : 87-97, 2012

      31 김성희, "2014년 장애인 실태조사" 보건사회연구원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4-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 & Rehabilitation Of Visually Impaired ->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 Rehabilit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시각장애연구회 ->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 0.648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