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12가사의 애정가사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4219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identify the actualstate of transmitted affectionate Gasas based on the research of features of genre in twelve Gasas, and to examine how the affectionate Gasas from the 19th to the 20th Centuries were understood, th...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identify the actualstate of transmitted affectionate Gasas based on the research of features of genre in twelve Gasas, and to examine how the affectionate Gasas from the 19th to the 20th Centuries were understood, through the research of their refinement. The affectionate Gasas for this research are Chunmyeongok, Sangsabyeolgok, Hwanggyesa, Gilgunak, and Maehwaga. The reason why these five Gasas were chosenis that their theme is about affection, such as the sadness of a breakup, longing for the loved one, and so on. Also there is a reference of tone of Gasas fixed by the criteria of Sadaebu (Literati Class) in the old records, so that this can be a basis of comparison between these affectionate Gasas and other Gasas.
      Gachang Gasa naturally spread during the 18th and 19th Centuries, led by the Pungnyu Culture. Later it was expanded to the Yeohang-Sijeong Culture due to the change of the times, so that main class for the Gachang Gasa was shifted to the Jungin and Seomin classes. Later, the frames of the twelve Gasas were formed at the time (early 20th Century) when Jeongagyujihoe was founded and operating to hand down the musical culture of Pungnyu. These twelve Gasas have been transmitted until now, and there are differences in tones among the pieces of Gasa,although their grade was recognized as Jeongag by Sadaebu.
      The causes of the differences in tones of Chunmyeongok, Sangsabyeolgok, Hwanggyesa, Gilgunak, and Maehwaga can be found in the period of their existence, the texts in terms of literary aspects, and the musical structure in terms of musical aspects. In the literary aspect, the contents and structure of texts of five Gasas were identified as having insufficient contextual relationship. Therefore, different tones herein mean the different existences and musical differences, rather than the contents of texts. At the point of existence, Chunmyeongok and Sangsabyeolgok have been sung longer than Hwanggyesa, Gilgunak, and Maehwaga. Also they were sung by Yangban (the nobility) class, and their Gasas became lyrics after being sung. In the musical aspect, Chunmyeongok and Sangsabyeolgokwere affected by the fast rhythm of Sijo on the basis of traditionally transmitted musical pieces. Hwanggyesa, Gilgunak, and Maehwaga have different tones by having the rhythm of Minyo (folk songs) and vocalism of Japga.
      In other words, the differences of tone in transmitted affectionate Gasas were not because of the structures of literary texts, but because of the musical penetration of Japga at that times. Hwanggyesa, Gilgunak, and Maehwaga were influenced by Japga more than Chunmyeongok and Sangsabyeolgok. Due to that reason, the former were considered as less refined pieces. In the record of the 20th Century, only Maehwaga was recognized as a less refined piece. However, at the current point where the 12 Gasas are recognized and transmitted Jeongag,it is ambiguous to discuss the differences of refinement on the basis of the above reason.
      Whether affectionate Gasas are influenced by sung Gasa or Japga, all of them are transmitted refined Gasas called Jeongag. Also they were sung and transmitted in the sense of the preservation of Jeongag, by keeping the refinement of the upper class while they transmitted musical pieces of Jeongag. In the point of view of Sadaebu, affectionate Gasas were sung to exercise their exclusive authorities. Therefore the affectionate Gasas havebeen sung and granted to have relatively high value, separate from Japga ofthe Seomin Class in Sijeong Cul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12가사의 장르적 특성 연구를 바탕으로, 전창 애정가사의 실상을 파악하고, 이들의 품격 연구를 통해 19-20세기 애정가사의 소통 양상을 고찰하는 것이다. 본고의 연구대상...

      본 연구의 목적은 12가사의 장르적 특성 연구를 바탕으로, 전창 애정가사의 실상을 파악하고, 이들의 품격 연구를 통해 19-20세기 애정가사의 소통 양상을 고찰하는 것이다. 본고의 연구대상인 ‘애정가사’는 <춘면곡>, <상사별곡>, <황계사>, <길군악>, <매화사>이다. 이 다섯 작품을 연구의 대상으로 정한 것은 이들이 ‘이별의 슬픔, 임에 대한 그리움’ 등의 ‘애정’을 주제로 했기 때문인데, 이로 인해 옛 기록에는 사대부들의 비평기준에 따라 정해진 격조에 대한 언급이 남아있어 다른 작품군과 비교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가창 가사는 18세기-19세기에 연행됨으로써 자연스럽게 확산 진행되었는데, 사대부의 풍류방문화권에서 주도되다가, 시대의 변화로 여항-시정문화권으로 확대되며, 가창 가사의 주도권 역시 중인층, 서민층으로 넘어간다. 이 후, 풍류방의 음악문화를 전승하려고 설립된 ‘정악유지회’가 활동하는 시기(20세기 초)에 12곡의 틀이 형성되는데, 이것이 오늘날의 전창 12가사이다. 이들 작품은 사대부들에 의해 ‘정악’으로 품격이 인정되었지만, 작품 내에서는 격조의 차이가 있었다.
      격조 차이가 나는 원인은 <춘면곡>, <상사별곡>, <황계사>, <길군악>, <매화사>의 존재양상과 문학적인 면에서 살펴본 사설의 양상, 음악적인 면에서 본 악곡구조의 양상에서 찾을 수 있다. 문학적인 면에서 살펴본 사설의 내용과 짜임에서는 다섯 곡 모두 사설의 문맥적 유기성이 미약함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 말하는 격조란 사설의 내용보다는 존재 양상의 차이, 음악적 차이를 말하는 것이다. 존재 양상 면에서 살펴보면 <춘면곡>, <상사별곡>은 <황계사>, <길군악>, <매화사>보다 오랫동안 존재하여 가창되어 왔으며, 양반층에서부터 가창되어 온 가사라는 점, 그리고 歌辭가 가창화 되어 歌詞로 불린다는 점에서 다르며, 음악적인 면에서는 <춘면곡>, <상사별곡>은 전통적으로 내려오던 악곡에 時調의 빠른 리듬이 흡수된 곡이고, <황계사>, <길군악>, <매화사>는 민요적 리듬, 잡가 창법이 많이 흡수된 가사라는 점에서 격조의 차이를 둔 것이다.
      즉, 전창 애정가사의 격조의 차이는 문학적 사설의 짜임에서 오는 것이라기보다 시대의 잡가적 음악의 침투로 인한 것으로, <춘면곡>, <상사별곡>에 비해, <황계사>, <길군악>, <매화사>의 작품이 잡가의 음악적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래서 19세기 기록에는 후자의 작품을 격이 낮은 것으로 보며, 20세기의 기록에서는 <매화사>만을 격이 낮은 작품으로 보았다. 그러나 이는 12가사가 ‘정악’으로 인정되어 전해지는 현 시점에서 위와 같은 이유로 품격의 차를 논하는 것은 불분명한 점이 있다.
      애정가사는 歌辭의 영향으로 형성된 작품이든 잡가적 영향을 받은 작품이든 간에 모두 ‘정악’으로 전해오는 품격이 높은 가사로, 정악의 성악곡을 전수하면서 상층의 격조를 보전하려는 정악 보존 의식에서 가창 전수된 것이며, 사대부층의 입장에서 볼 때는 독점적 권위의 발휘로 인해 가창된 것이다. 그래서 19-20세기 전창 애정가사는 향유층에 의해 시정문화권의 서민층 문화인 잡가와 구분되어 상대적으로 높은 가치를 부여받아 가창되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1
      • 1. 문제제기 = 1
      • 2. 연구범위 및 방법 = 3
      • 3. 연구사 검토 = 4
      • Ⅱ. 애정가사와 12歌詞 = 9
      • Ⅰ. 서 론 = 1
      • 1. 문제제기 = 1
      • 2. 연구범위 및 방법 = 3
      • 3. 연구사 검토 = 4
      • Ⅱ. 애정가사와 12歌詞 = 9
      • 1. 애정가사의 존재 양상 = 9
      • 2. 12가사의 성립 = 12
      • 3. 12가사의 성격 = 17
      • 4. 12가사의 품격 문제 = 20
      • Ⅲ. 전창 애정가사의 작품 분석 = 23
      • 1. 춘면곡 = 23
      • 2. 상사별곡 = 35
      • 3. 황계사 = 42
      • 4. 길군악 = 47
      • 5. 매화사 = 52
      • 6. 분석 결과 = 57
      • Ⅳ. 애정가사의 품격 = 60
      • Ⅴ. 결 론 = 63
      • 참고문헌 = 66
      • 영문초록 = 69
      • 국문초록 = 7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