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기성 단독주택지의 국지가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단독주택지의 국지가로 유형별로 가로환경을 비교·분석하고, 이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바닥, 담장 및 벽면, 가로시설물, 주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기성 단독주택지의 국지가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단독주택지의 국지가로 유형별로 가로환경을 비교·분석하고, 이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바닥, 담장 및 벽면, 가로시설물, 주차...
본 연구는 기성 단독주택지의 국지가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단독주택지의 국지가로 유형별로 가로환경을 비교·분석하고, 이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바닥, 담장 및 벽면, 가로시설물, 주차공간, 자연적요소)들 간의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국지가로의 유형은 격자형·T자형·링형으로 구분하였다. 격자형의 경우에는 기존 단독주택지의 대부분이 이에 해당함으로 세부적으로 2켜형, 4켜형, 다가구 주택형, 담장 허물기 및 거주자 우선 주차제형 등 6가지 유형을 구분하여 비교·분석하였는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링형의 대상지가 T자형, 격자형의 대상지에 비하여 모든 부문에서 가로환경의 질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T자형 대상지가 격자형의 대상지 보다는 가로환경의 질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격자형의 대상지 중에서는 2켜형의 대상지가 4켜형의 대상지보다 가로환경의 질이 높게 평가되었으며, 다가구형의 대상지가 가장 가로 환경의 질이 열악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담장 허물기 및 거주자 우선주차제를 시행하는 지역에서는 주차공간에 관한 평가는 높게 분석되었으나 담장 허물기를 통한 노력은 높게 평가되지 못해 일부 거주민들만 참여하는 담장 허물기는 오히려 가로환경의 쾌적성을 떨어뜨릴 수도 있다고 사료되었다.
셋째, 가로환경을 구성하고 있는 물리적 요소들 간의 상관분석 결과 단독주택지 가로환경을 구성하고 있는 물리적 구성요소 중 주차공간의 경우 모든 요소들과의 뚜렷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거주자 우선주차 및 화분을 통한 주차유도 방식을 본 연구의 대상지에 시뮬레이션 해본 결과 현재의 대상지 가로환경에 주차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로공간이 보유하고 있는 자동차의 수보다 현저히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하여 볼때 단독주택의 경우 가로환경의 개선 및 계획시 주차공간에 대한 계획이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부분으로 사료되었으며, 특히 주차공간은 자연적 요소와는 강력한 양적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어 기성 시가지의 친환경적인 주거환경 정비를 위해서는 주차공간이 확보 되어야 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시뮬레이션 결과 현재의 기성 단독주택지에서 주차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으므로 거주민 공영주차장의 설치, 지역 학교의 운동장 야간 개방 등이 계획적으로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improve the local street environment of the existing detached housing this research compared and analyzed the street environment of each local street of detached housing and conducted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factors (floor, fenc...
In order to improve the local street environment of the existing detached housing this research compared and analyzed the street environment of each local street of detached housing and conducted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factors (floor, fence and walls, street facilities, parking lot and natural factors) that compose it.
The Grid type, the T-cross type and the Ring type were analyzed as the types of local streets and in the case of the Grid type 2-layer type, 4-layer type, multi-family house type, fence-breaking type and residential parking permit program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detail because most existing detached housing came under this.
First, the subject of the Ring type had the highest quality of street environment in all areas when compared with the subjects of the T-cross type and the lattice type and the subject of the T-cross type had a higher quality of street environment than the subject of the Grid type.
Second, among the subjects of the Grid type the subject of the 2-layer type had higher quality of street environment than the subject of the 4-layer type, and the subject of multi-family house type had the worst quality of street environment. In the region where fence-breaking type and residential parking permit program were implemented, the parking lots were highly evaluated but the efforts through the fence-breaking was not highly evaluated and thus it is thought that the fence-breaking that only a few residents participate in can rather decrease the comfortableness of the street environment.
Third,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of the physical factors that compose the street environment, the parking lot among the physical components that compose the street environment of the residential section of detached houses has a clear correlation with all other factors.
Finally as a result of a simulation of 'the residential parking permit program' and the method of inducing parking with flowerpots at the subject of this paper, the street space that can be utilized as a parking lot in the current street environment of the subject was remarkably insufficient than the number of the owned car.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is thought that a plan about the parking lot should accompany the improvement and plan of the street environment and the parking lot is analyzed as having a strong quantitative relation with natural factors and thus it should be improved for sure for the modern citizens who want an eco-friendly lives.
However as a result of a simulation, it is analyzed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parking space in the current street environment of the existing urban district and thus it is thought that methods such as residential public parking lot, the night opening of the playground of schools of the regions and so on should be implemented.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