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추사 김정희의 또 다른 자화상, 〈모질도〉: 소동파와 팔대산인, ‘금강노목(金剛怒目)’과 ‘혼신정목(渾身靜穆)’ = Another Self-Portrait of Kim Jeong Hee, The Cat Painting(耄耋圖): Ba Da Shan Ren(八大山人) and Su Dongpo(蘇東坡), Vajrapani’s Gaze(金剛怒目) and Inner Serenity(渾身靜穆)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秋史 金正喜의 〈耄耋圖題〉와 〈耄耋圖〉에 대해 분석하였다. 중국 전통에서〈모질도〉는 살아 있는 고양이를 寫生하는 것이 아니라, ‘危危日’에 그리는 일종의 양식화된그림이다. 추사는 중국의 이러한 전통에 대해 알고 있었으나 정통한 것은 아니었으며, 그의〈모질도〉는 중국의 정형화된 양식보다는 이에서 벗어난 팔대산인의 〈睡猫圖〉와 형상이유사하였다.
      추사 〈耄耋圖〉는 祝禱의 선물용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자신의 내면을 강하게 드러낸또 하나의 자화상이라 할 수 있다. 그가 〈耄耋圖〉를 통해 표현하고자 한 寫意는 八大山人의‘渾身靜穆’보다는 쥐들이 설치는 세상에 대한 ‘金剛怒目’이었으며, 이것은 黃州 流配 초기 소동파의 〈墨猫圖〉와 궤를 같이 하는 것이었다. 요컨대 추사 〈모질도〉의 形似는 八大山人의〈睡猫圖〉를 따르지만, 寫意는 蘇東坡의 〈墨猫圖〉를 따랐다.
      추사의 〈모질도〉가 고양이를 내세워 소동파의 내면을 따르는 자화상이라면, 許維의〈阮堂先生海天一笠像〉은 〈東坡笠屐圖〉에서 얼굴만 추사로 바꾼 그림이다. 〈모질도〉와〈완당선생해천일립상〉의 외양은 고양이와 추사로 전혀 다르지만, 東坡의 내면을 지향한다는 傳神에서는 서로 짝을 이룬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동파입극도〉와 〈완당선생해천일립상〉의 傳神이 渾身靜穆이라면, 동파 〈묵묘도〉와 추사 〈모질도〉는 金剛怒目이라 할 수 있다. 나막신에 삿갓 쓴 초탈의 〈완당선생해천일립상〉이 추사가 지향하는 모습이라면, 쥐를노려보는 고양이의 〈모질도〉가 유배 당시 추사의 내면 實相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秋史 金正喜의 〈耄耋圖題〉와 〈耄耋圖〉에 대해 분석하였다. 중국 전통에서〈모질도〉는 살아 있는 고양이를 寫生하는 것이 아니라, ‘危危日’에 그리는 일종의 양식화된그...

      본 연구는 秋史 金正喜의 〈耄耋圖題〉와 〈耄耋圖〉에 대해 분석하였다. 중국 전통에서〈모질도〉는 살아 있는 고양이를 寫生하는 것이 아니라, ‘危危日’에 그리는 일종의 양식화된그림이다. 추사는 중국의 이러한 전통에 대해 알고 있었으나 정통한 것은 아니었으며, 그의〈모질도〉는 중국의 정형화된 양식보다는 이에서 벗어난 팔대산인의 〈睡猫圖〉와 형상이유사하였다.
      추사 〈耄耋圖〉는 祝禱의 선물용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자신의 내면을 강하게 드러낸또 하나의 자화상이라 할 수 있다. 그가 〈耄耋圖〉를 통해 표현하고자 한 寫意는 八大山人의‘渾身靜穆’보다는 쥐들이 설치는 세상에 대한 ‘金剛怒目’이었으며, 이것은 黃州 流配 초기 소동파의 〈墨猫圖〉와 궤를 같이 하는 것이었다. 요컨대 추사 〈모질도〉의 形似는 八大山人의〈睡猫圖〉를 따르지만, 寫意는 蘇東坡의 〈墨猫圖〉를 따랐다.
      추사의 〈모질도〉가 고양이를 내세워 소동파의 내면을 따르는 자화상이라면, 許維의〈阮堂先生海天一笠像〉은 〈東坡笠屐圖〉에서 얼굴만 추사로 바꾼 그림이다. 〈모질도〉와〈완당선생해천일립상〉의 외양은 고양이와 추사로 전혀 다르지만, 東坡의 내면을 지향한다는 傳神에서는 서로 짝을 이룬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동파입극도〉와 〈완당선생해천일립상〉의 傳神이 渾身靜穆이라면, 동파 〈묵묘도〉와 추사 〈모질도〉는 金剛怒目이라 할 수 있다. 나막신에 삿갓 쓴 초탈의 〈완당선생해천일립상〉이 추사가 지향하는 모습이라면, 쥐를노려보는 고양이의 〈모질도〉가 유배 당시 추사의 내면 實相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elves into 〈耄耋圖題〉, analyzes Chusa’s 〈耄耋圖〉. In Chinese tradition, 〈耄耋圖〉 is not merely a depiction of a live cat; rather, it belongs to the genre of stylized paintings created on ‘危危日’. Chusa’s grasp of this Chinese tradition appears to be limited, and his 〈耄耋圖〉 bears a striking resemblance to Ba Da Shan Ren’s 〈睡猫圖〉, departing from the standardized style in China.
      〈耄耋圖〉 may symbolize longevity but emerges as a self-portrait, revealing Chusa’s inner self. Its aesthetic intent aligns with Vajrapani’s Gaze(金剛怒目), akin to Su Dongpo’s 〈墨猫圖〉 during exile, rather than the Inner Serenity(渾身靜穆) of Ba Da’s 〈睡猫圖〉. While 〈耄耋圖〉’s appearance mirrors 〈睡猫圖〉, its aesthetic intention follows 〈墨猫圖〉.
      If 〈耄耋圖〉 reflects Chusa’s inner self through the cat portrayal, Heo Yu’s 〈阮堂先生海天一笠像〉 replaces only the face from 〈東坡笠屐圖〉. The appearance of the two paintings is completely different, with Chusa and a cat, but they share the spirit of capturing Su Dongpo’s inner self. If 〈東坡笠屐圖〉 and 〈阮堂先生海天一笠像〉 convey Inner Serenity, Dongpo’s 〈墨猫圖〉 and Chusa’s 〈耄耋圖〉 embody Vajrapani’s Gaze. If the Taoist hermit image in 〈阮堂先生海天一笠像〉 represents Chusa’s ideal, 〈耄耋圖〉 mirrors the real image of Chusa during exile, depicting a cat glaring at rats.
      번역하기

      This study delves into 〈耄耋圖題〉, analyzes Chusa’s 〈耄耋圖〉. In Chinese tradition, 〈耄耋圖〉 is not merely a depiction of a live cat; rather, it belongs to the genre of stylized paintings created on ‘危危日’. Chusa’s g...

      This study delves into 〈耄耋圖題〉, analyzes Chusa’s 〈耄耋圖〉. In Chinese tradition, 〈耄耋圖〉 is not merely a depiction of a live cat; rather, it belongs to the genre of stylized paintings created on ‘危危日’. Chusa’s grasp of this Chinese tradition appears to be limited, and his 〈耄耋圖〉 bears a striking resemblance to Ba Da Shan Ren’s 〈睡猫圖〉, departing from the standardized style in China.
      〈耄耋圖〉 may symbolize longevity but emerges as a self-portrait, revealing Chusa’s inner self. Its aesthetic intent aligns with Vajrapani’s Gaze(金剛怒目), akin to Su Dongpo’s 〈墨猫圖〉 during exile, rather than the Inner Serenity(渾身靜穆) of Ba Da’s 〈睡猫圖〉. While 〈耄耋圖〉’s appearance mirrors 〈睡猫圖〉, its aesthetic intention follows 〈墨猫圖〉.
      If 〈耄耋圖〉 reflects Chusa’s inner self through the cat portrayal, Heo Yu’s 〈阮堂先生海天一笠像〉 replaces only the face from 〈東坡笠屐圖〉. The appearance of the two paintings is completely different, with Chusa and a cat, but they share the spirit of capturing Su Dongpo’s inner self. If 〈東坡笠屐圖〉 and 〈阮堂先生海天一笠像〉 convey Inner Serenity, Dongpo’s 〈墨猫圖〉 and Chusa’s 〈耄耋圖〉 embody Vajrapani’s Gaze. If the Taoist hermit image in 〈阮堂先生海天一笠像〉 represents Chusa’s ideal, 〈耄耋圖〉 mirrors the real image of Chusa during exile, depicting a cat glaring at rat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