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불교의 효 사상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297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불전 속의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는 방법을 택하였다. 초기불교의 효사상은 보은과 인과응보 사상으로서 불타가 설한 내용을 󰡔阿含經󰡕을 중심으로 ...

      본 연구에서는 불전 속의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는 방법을 택하였다. 초기불교의 효사상은 보은과 인과응보 사상으로서 불타가 설한 내용을 󰡔阿含經󰡕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현대사회의 사상, 현대 가족에서의 가치에 대한 대안으로 효를 강조하고자 한다.
      이에 따르면 불타 스스로도 깨달음을 얻은 후에 직접 효행을 한 기록이 나타나 있고, 또한 제자들에게도 효 윤리를 報恩과 인과응보의 형태로써 설하게 된다. 다만 불타의 가르침 중 無常․無我의 출세간적 진리가 효의 가르침보다 상대적으로 많았기에 다소 효의 내용이 미진하거나 강조되지 않은 것처럼 보일 뿐이다. 달리 말해 불타의 효는 단지 인간으로서의 도리, 도덕적 당위성을 강조한 효가 아닌 제법연기의 진리관을 통해 보은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또한 이에 그치지 않고 자식으로부터 부모를 향하는 효가 개인으로부터 일체중생에 이르는 자비로 거듭나는 불교적 대의로 표현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consider the rel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n Buddhist scriptures. In early Buddhism filial piety thought have had requital of a favor(報恩), retributive justice(因果應報) is well expressed ��z��z阿含經��z...

      In this study, consider the rel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n Buddhist
      scriptures. In early Buddhism filial piety thought have had requital of a favor(報恩), retributive justice(因果應報) is well expressed ��z��z阿含經��z��z. For this I sugget the empass of filial piety as an alternavte value in modern thought, modern family.
      In early Buddhim, Buddha perform his filial piety after Buddhim's attainment of Nirvana, he writed a document about filial piety and preached requital of a favor(報恩), retributive justice(因果應報) as the filial piety. For there are many teaching thought of renounce the world, uncertainty, ecstasy than teaching of filial piety relatively, filial piety of Buddhim had been seen de-empasized. But that's not true. Flial piety of Buddhim empasized not only
      reason of human, ought of moral but also requital of a favor(報恩). Especially serve children’s parents faithfully is thought of buddhism as all living being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I. 서론
      • 1. 연구목적
      • II. 佛陀의 효행
      • III. 報恩과 因果應報 사상
      • <요약>
      • I. 서론
      • 1. 연구목적
      • II. 佛陀의 효행
      • III. 報恩과 因果應報 사상
      • IV.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