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목조건축의 구축 방식별 설계특성에 관한 실제 사례를 통해 건축의 용도별, 기능별 요구조건들이 각 사례와 구축 방식에 적용되는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오늘날 기후위기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목조건축의 구축 방식별 설계특성에 관한 실제 사례를 통해 건축의 용도별, 기능별 요구조건들이 각 사례와 구축 방식에 적용되는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오늘날 기후위기는 ...
본 논문은 목조건축의 구축 방식별 설계특성에 관한 실제 사례를 통해 건축의 용도별, 기능별 요구조건들이 각 사례와 구축 방식에 적용되는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오늘날 기후위기는 인류와 지구 생태계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으며, 전 세계가 해결해야 할 공동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건설 및 건축 분야의 연간 탄소 배출량은 전체 배출량의 38%를 차지하고 있으며, 주요 배출원으로 지목되고 있다. 과거에는 목재가 구조용 건축재료로 적합하지 않아 대규모 건축물의 구축에 사용될 수 없었으나, 공학 목재의 개발과 각국의 친환경 정책 덕분에 규모 제한이 완화되어 다양한 용도와 규모의 건축물 구축에 적극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8m였던 목조건축 규모 제한이 2020년 해제되었으나, 이는 2000년 일본에서 건축기준법에 성능규정을 도입하여 내화건물이 목조건축으로 가능해진 것에 비해 20년 늦은 것이다. 현재 국내의 목조건축물은 대부분 5층 이하이며, 대형 목조건축물을 설계하고 구축하기 위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설계특성을 구현하기 위한 구축 방식으로 목조를 활용하고, 내화를 포함해 기능적인 문제를 해결한 5층 이상의 목조건축 사례를 제시하여 국내 목조건축이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국내외 목조건축물 사례 11가지를 구축 방식에 의한 순수 목조건축물, 하이브리드 목조건축물로 크게 분류하고, 순수-벽식 목조, 순수-라멘 목조, 순수-복합 목조, 하이브리드-콘크리트(Concrete) 목조, 하이브리드-강재(Steel) 목조로 세분화하여 분석한 후 구축 방식별 장단점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목조건축의 구축 방식은 설계특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구축 방식과 연계된 건축의 설계를 통해 다양한 현대 건축에 적용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건축 환경을 구현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