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국 내 중급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방안 연구 : 한류 문화를 활용한 토의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623570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2023. 2

      • 발행연도

        2023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提高中国国内中级学习者口语能力的教育研究方案 : 以活用韩流文化的讨论活动为中心

      • 형태사항

        115 p.: 채색삽도; 26 cm.

      • 일반주기명

        동국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민정호
        참고문헌: p. 108-113

      • UCI식별코드

        I804:11020-000000085686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 내 4년제 대학교 한국어학과 중급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버즈분단 토의 활동과 한국 영화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 방안을 개발하는 데에 목적이...

      본 연구는 중국 내 4년제 대학교 한국어학과 중급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버즈분단 토의 활동과 한국 영화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 방안을 개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2장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키워드를 ‘중국에서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현황과 중요성’, ‘말하기 능력의 내용과 한류 문화의 특징’, ‘말하기 활동의 유형과 의미’로 설정하여 이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현재 중국 내 대학교를 중심으로 교과과정, 교수법 및 교재 3가지 측면에서 한국어 말하기 교육 현황을 분석하고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말하기 능력에 대해 검토하고, 학습자들이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도록 하기 위해 한류 문화의 특징을 살펴보자고 한다. 그 뒤에 말하기 활동의 유형과 토의 활동의 의미에 대한 이론 검토를 진행한다. 또한, 교육과정 모형을 분석하고 버즈 분단 토의활동을 바탕으로 수업 모형을 살펴보겠다.
      3장에서는 2장에서 제시한 토의 활동을 활용하여 한국 영화를 이용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 현황과 교육적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중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본 연구의 설문조사를 시행하고자 한다. 그리고 현재 중국 내 대학 한국어학과에서 사용하고 있는 말하기 교재의 장단점을 분석할 것이다. 학습자 설문지와 교재 분석을 통해 한국어 말하기 수업에 대해 중국 내 대학 중급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요구조사 및 말하기 교육과 관련된 내용을 분석하겠다.
      4장에서는 2장의 이론적 배경과 3장의 설문조사 결과 분석을 토대로 토의 활동을 활용하여 한국 영화를 이용한 말하기 수업 모형을 검토할 것이다. 본 연구의 말하기 수업 모형은 ‘준비단계 – 자료 소개단계 – 버즈분단 토의활동단계 – 정리단계’의 4단계로 구성하고자 한다. 이 모형을 활용한 말하기 수업은 말하기 활동 전 영역(준비하기, 자료 소개하기), 말하기 활동 영역(실제 수업에서 버즈분단 토의하기), 말하기 활동 후 영역(평가하기)로 나누어 진행된다. 또한, 말하기 수업 모형의 원리와 절차를 정리한 후 학습자 요구를 반영한 한국 영화를 선정하여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말하기 수업 모형을 모색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한 교수요목 및 수업모형의 실제성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중국 대학교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사 3명에게 인터뷰를 진행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本研究为了提高中国国内大学韩国语系中级学习者的口语能力,将研究使用韩国电影和讨论活动的韩国语口语教育方案。目前,中国国内口语教育使用教材,以课题中心教学法或语法翻译式...

      本研究为了提高中国国内大学韩国语系中级学习者的口语能力,将研究使用韩国电影和讨论活动的韩国语口语教育方案。目前,中国国内口语教育使用教材,以课题中心教学法或语法翻译式教学法进行授课,因此很难提高学习者的口语能力。为了解决这一问题,在口语课上,将使用学习者感兴趣的韩流文化。另外,利用讨论活动帮助提高学习者的口语能力。讨论活动与教材无关,是以教师提供的主题进行。将学习者分成小组,让他们收看韩国电影后,以讨论主题的方式进行口语授课。通过该课程,韩语学习者可以轻松地理解自然的表达方式,这不仅与原语民者的距离变近,而且也会对口语课产生兴趣。随着学习者对口语表达变得积极,这有助于提高韩语口语能力。因此,在为中国国内中级学习者利用韩流文化,以讨论口语活动为中心,开发有效的口语教育方案,能够提高学习者的韩语口语能力。
      各章的研究结果整理如下。第二章首先介绍了中国国内韩国语学和口语教育的现状并找出问题点。得出了中国大学开设的韩语口语课程内容不符合实际、使用传统的“教师为中心”的教学方法,以及教材里采用的口语活动较少的结论。并强调了韩语口语教育的重要性。其次,提出了口语能力的概念及内容、韩流文化的种类和特征,以及分了口语活动的类型和讨论活动的教育意义。另外,以Buzz分裂讨论活动为基础,分析了教育课程模型。
      在第3章中,本章通过问卷调查和教材分析,以中国国内大学中级学习者为对象,对韩语口语课程的要求调查和韩流文化进行分析。问卷内容由“个人信息”、“口语课程满足度”、“口语活动满足度”、“韩语口语教育和韩国电影”等4个领域组成。并针对目前中国国内大学韩国语系使用的口语教材的优缺点进行分析。通过学习者问卷和教材分析,对韩国语口语课程的要求调查及口语教育相关内容进行分析。
      第4章将介绍中国国内大学韩国语中级学习者的口语授课模型、授课实际和授课应用。以第2章整理的理论背景和第3章的问卷调查和教材分析为基础,本研究确定了口语教学模型为“准备阶段-资料介绍阶段-Buzz分裂讨论活动阶段-整理阶段”的4个阶段。利用该模型,口语课程分为口语活动前(准备、介绍资料)、口语活动时(在实际课程中讨论Buzz分裂)、口语活动后(评价)。另外,整理口语课程模型的原理后,为了提高学习者的沟通能力,探索口语课程模型,选定反映学习者要求的韩国电影。最后,为了验证本研究得出的教学大纲及教学模型的实际性,将对中国大学3名教授韩语的教师进行采访,对本研究的模型进行评价。
      本研究的意义可以归结为:第一,为了提高中国学习者的口语能力,调查并分析了现在中国内大学韩语系口语教育的现状,并找出了相关问题。这一点有助于改善中国内大学的韩国语口语教育。第二,为了提高口语能力,以中国国内大学韩国语系中级学习者为对象进行要求调查,分析使用的口语教材,重新设计。这一点有助于韩国语口语教育的发展。并且,本研究特别对目前各大学正在使用的教材,以及在韩语学习者中人气最高的教材进行分析,这一点更能增强教材分析的说服力。第三,考虑到中国国内大学韩国语系口语教育的现状和问题,利用讨论活动设计韩国语口语授课模型,因此在中国国内大学韩国语系中可以很好地适用。第四,利用韩语学习者非常关心的韩流文化的通义活动进行韩语口语教育,这一点不仅可以提高学习者的口语能力,而且能使学习者更加积极的参与到课堂中。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1
      • 1.2. 선행연구 4
      • 1.2.1. 중국 대학의 한국어 말하기 교육 관련 연구 4
      • 1.2.2. 한류 문화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관련 연구 8
      • 1. 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1
      • 1.2. 선행연구 4
      • 1.2.1. 중국 대학의 한국어 말하기 교육 관련 연구 4
      • 1.2.2. 한류 문화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관련 연구 8
      • 1.2.3. 중급 한국어 말하기 교육 관련 연구 11
      • 1.3. 연구 대상 및 방법 14
      • 2. 이론적 배경 17
      • 2.1. 중국내 한국어 말하기 교육 관련 연구 17
      • 2.1.1. 중국 대학의 말하기 교육 현황 17
      • 2.1.2. 중국 대학의 말하기 교육의 문제점 20
      • 2.2. 말하기 능력의 내용과 한류문화의 특징 23
      • 2.2.1. 말하기 능력의 내용 23
      • 2.2.2. 한류 문화의 개념과 유형별 특징 26
      • 2.3. 중급 한국어 말하기 교육 관련 연구 31
      • 2.3.1. 말하기 활동의 유형 31
      • 2.3.2. 토의의 특징과 교육적 의미 36
      • 3. 연구 방법 41
      • 3.1. 학습자 설문지 구성과 교재 분석 기준 41
      • 3.1.1. 학습자 설문지 구성 41
      • 3.1.2. 한국어 교재 분석 기준 50
      • 3.2. 설문지 분석 결과와 교재 분석 결과 55
      • 3.2.1. 설문지 분석 결과 55
      • 3.2.2. 교재 분석 결과 63
      • 4. 한류 문화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 방안 68
      • 4.1. 한류 문화를 활용한 말하기 수업 설계 원리와 모형 68
      • 4.1.1. 한류 문화를 활용한 말하기 수업 설계 원리 68
      • 4.1.2. 한류 문화를 활용한 말하기 교육 모형 71
      • 4.2. 한류 문화를 활용한 말하기 수업의 특징과 실제 74
      • 4.2.1. 한류 문화를 활용한 말하기 수업의 교수요목 74
      • 4.2.2. 한류 문화를 활용한 말하기 수업의 실제 85
      • 4.3. 한류 문화를 활용한 말하기 수업의 활용과 평가 89
      • 4.3.1. 한류 문화를 활용한 말하기 수업의 활용 89
      • 4.3.2. 한류 문화를 활용한 말하기 수업의 평가 및 의의 96
      • 4.3.2.1. 한류 문화를 활용한 말하기 수업의 평가 96
      • 4.3.2.2. 한류 문화를 활용한 말하기 수업의 의의 104
      • 5. 결론 106
      • 참고문헌 108
      • 중문요약 1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