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Paclobutrazol과 uniconazole 처리에 따른 몇 가지 다육식물의 생장반응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4814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다육식물은 건조에 강하고 엽색이 계절마다 바뀌는 등 관상 가치가 높아 소비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그러나 일부 다육 식물들은 분지 없이 초장만 너무 길어져 옆으로 쓰러지거나 특히, 개화시 화경이 너무 길어져 문제가 되는 종류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제(Crassula americana cv. Flame), 적귀성 (Crassula capitella), 부용(Echeveria ‘Pulv-oliver’)을 대상으 로 생장억제제를 처리하여 초장이 짧고 관상가치가 높은 분 화의 생산이 가능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식물들을 직경 8cm 플라스틱분에서 재배하면서 paclobutrazol 5, 25, 100, 200mg・L-1, uniconazole 5, 20, 50, 100mg・L-1 용 액을 포트당 40mL씩 토양관주하였다. 처리 후 1개월 간격으 로 3개월까지 초장, 엽형, 엽색 등을 조사하였다. 3개월 후 초 장은 paclobutrazol과 uniconazole 5mg・L-1의 농도에서 대조 구에 비해 화제는 40~46%, 적귀성은 46~58%의 생장억제효 과가 나타나 적절한 크기의 분화가 되었다. 특히 적귀성은 대 조구에서는 개화가 되면서 화경이 너무 길어져 옆으로 쓰러졌 으나 생장억제제 처리구에서는 꽃대 신장과 개화가 크게 억제 되었다. 부용은 실험 중 개화가 진행되어 생육억제 효과가 크 게 나타나지 않았다. 생장억제제가 처리된 화제와 적귀성의 잎은 옆장이 짧아지고 엽폭이 크게 증가하여 도란형의 아름 다운 엽형이 되었다. 또한 엽색도 녹색에서 잎 주위가 적색으 로 물들었다. 결론적으로 화제와 적귀성의 경우 paclobutrazol 5mg・L-1이나 uniconazole 5mg・L-1를 관주 처리하면 초장이 짧아지고 엽형과 엽색이 아름다운 분화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번역하기

      다육식물은 건조에 강하고 엽색이 계절마다 바뀌는 등 관상 가치가 높아 소비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그러나 일부 다육 식물들은 분지 없이 초장만 너무 길어져 옆으로 쓰러지거나 특히, ...

      다육식물은 건조에 강하고 엽색이 계절마다 바뀌는 등 관상 가치가 높아 소비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그러나 일부 다육 식물들은 분지 없이 초장만 너무 길어져 옆으로 쓰러지거나 특히, 개화시 화경이 너무 길어져 문제가 되는 종류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제(Crassula americana cv. Flame), 적귀성 (Crassula capitella), 부용(Echeveria ‘Pulv-oliver’)을 대상으 로 생장억제제를 처리하여 초장이 짧고 관상가치가 높은 분 화의 생산이 가능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식물들을 직경 8cm 플라스틱분에서 재배하면서 paclobutrazol 5, 25, 100, 200mg・L-1, uniconazole 5, 20, 50, 100mg・L-1 용 액을 포트당 40mL씩 토양관주하였다. 처리 후 1개월 간격으 로 3개월까지 초장, 엽형, 엽색 등을 조사하였다. 3개월 후 초 장은 paclobutrazol과 uniconazole 5mg・L-1의 농도에서 대조 구에 비해 화제는 40~46%, 적귀성은 46~58%의 생장억제효 과가 나타나 적절한 크기의 분화가 되었다. 특히 적귀성은 대 조구에서는 개화가 되면서 화경이 너무 길어져 옆으로 쓰러졌 으나 생장억제제 처리구에서는 꽃대 신장과 개화가 크게 억제 되었다. 부용은 실험 중 개화가 진행되어 생육억제 효과가 크 게 나타나지 않았다. 생장억제제가 처리된 화제와 적귀성의 잎은 옆장이 짧아지고 엽폭이 크게 증가하여 도란형의 아름 다운 엽형이 되었다. 또한 엽색도 녹색에서 잎 주위가 적색으 로 물들었다. 결론적으로 화제와 적귀성의 경우 paclobutrazol 5mg・L-1이나 uniconazole 5mg・L-1를 관주 처리하면 초장이 짧아지고 엽형과 엽색이 아름다운 분화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ucculent plants have been very attractive to consumers, because they are strong against dried condition, and have leaves with different colors at each season. There are some succulent plants which fall down due to excessive plant height, especially excessively long inflorescence during flowering. In this experiment, Crassula americana ‘Flame’, C. capitella, and Echeveria 'Pulv-oliver' were treated with 2 plant growth retardents (PGR), and growth response like plant height and leaf shape were evaluated to examine the production of pot plant having short plant hegiht and beautiful leaf shape. The plants were cultivated in plastic pots (8 cm in diameter) in a plastic house and drenched with paclobutrazol 5, 25, 100, 200 mg・L-1 or uniconazole 5, 20, 50, 100 mg・L-1 solution (40 mL/each pot). Growth indexes such as plant height, leaf length and leaf width were evaluated at each month interval by 3 months. The plant height at 3 months after treatment decreased by 40-46% comparing with control at C. americana ‘Flame’, and 46-58% at C. capitella, when treated with 5 mg・L-1 of paclobutrazol or uniconazole, resuting in a proper plant height. The control of C. capitella falled down due to excessive length in inflorescence height, but inflorescence elongation and flowering were inhibited greately as treated with plant growth retardants. E. 'Pulv-oliver' treated with PGRs did not show as large reduction as other 2 plants, because reproductive growth started soon after experiment starting. Leaf lengths of C. americana ‘Flame’ and C. capitella treated with PGRs were shortened but leaf width of them became wider, resulting at beautiful leaf shape with an obovoid form. Leaf color of C. americana ‘Flame’ and C. capitella treated with PGRs changed from green to light red color at the leaf margin. In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ot plants with short plant height and beautiful leaf shape and color could be produced when C. americana cv. Flame and C. capitella were drenched with paclobutrazol 5 mg・L-1 or uniconazole 5 mg・L-1 solution.
      번역하기

      Succulent plants have been very attractive to consumers, because they are strong against dried condition, and have leaves with different colors at each season. There are some succulent plants which fall down due to excessive plant height, especially e...

      Succulent plants have been very attractive to consumers, because they are strong against dried condition, and have leaves with different colors at each season. There are some succulent plants which fall down due to excessive plant height, especially excessively long inflorescence during flowering. In this experiment, Crassula americana ‘Flame’, C. capitella, and Echeveria 'Pulv-oliver' were treated with 2 plant growth retardents (PGR), and growth response like plant height and leaf shape were evaluated to examine the production of pot plant having short plant hegiht and beautiful leaf shape. The plants were cultivated in plastic pots (8 cm in diameter) in a plastic house and drenched with paclobutrazol 5, 25, 100, 200 mg・L-1 or uniconazole 5, 20, 50, 100 mg・L-1 solution (40 mL/each pot). Growth indexes such as plant height, leaf length and leaf width were evaluated at each month interval by 3 months. The plant height at 3 months after treatment decreased by 40-46% comparing with control at C. americana ‘Flame’, and 46-58% at C. capitella, when treated with 5 mg・L-1 of paclobutrazol or uniconazole, resuting in a proper plant height. The control of C. capitella falled down due to excessive length in inflorescence height, but inflorescence elongation and flowering were inhibited greately as treated with plant growth retardants. E. 'Pulv-oliver' treated with PGRs did not show as large reduction as other 2 plants, because reproductive growth started soon after experiment starting. Leaf lengths of C. americana ‘Flame’ and C. capitella treated with PGRs were shortened but leaf width of them became wider, resulting at beautiful leaf shape with an obovoid form. Leaf color of C. americana ‘Flame’ and C. capitella treated with PGRs changed from green to light red color at the leaf margin. In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ot plants with short plant height and beautiful leaf shape and color could be produced when C. americana cv. Flame and C. capitella were drenched with paclobutrazol 5 mg・L-1 or uniconazole 5 mg・L-1 solu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엄선정, "하늘나리와 날개하늘나리의 줄기 신장 억제와 개화율 향상을 위한 생장억제제의 이용" 한국화훼학회 18 (18): 38-43, 2010

      2 김홍렬, "층꽃나무의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Uniconazole 처리방법 및 처리농도의 영향" 한국화훼학회 12 (12): 8-11, 2004

      3 김수정, "자주꽃방망이의 분화재배시 Uniconazole 처리에 따른 생육과 개화특성" 한국화훼학회 12 (12): 153-156, 2004

      4 천영신, "생장억제제를 이용한 분화 디기탈리스의 상품가치 향상" 인간식물환경학회 17 (17): 291-296, 2014

      5 조동훈, "생장억제제 처리가 나도풍란(Sedirea japonica)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 22 (22): 95-99, 2004

      6 김주형, "생장억제제 관주처리가 ‘Angel’s Trumpet’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화훼학회 17 (17): 231-236, 2009

      7 이정준, "몇 종의 다육식물 종자 발아에 미치는 환경 요인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4

      8 김홍열, "금낭화의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Uniconazole 처리농도 및 처리시기의 영향" 한국원예학회 21 (21): 29-33, 2003

      9 정정학, "Uniconazole의 처리농도 및 방법이 참나리의 생장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화훼학회 13 (13): 39-43, 2005

      10 Bailey DA, "Tips on the use of chemical growth regulators on floriculture crops. Section 10. Easter lilies (potted)" Ohio Florists Assosiation 1992

      1 엄선정, "하늘나리와 날개하늘나리의 줄기 신장 억제와 개화율 향상을 위한 생장억제제의 이용" 한국화훼학회 18 (18): 38-43, 2010

      2 김홍렬, "층꽃나무의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Uniconazole 처리방법 및 처리농도의 영향" 한국화훼학회 12 (12): 8-11, 2004

      3 김수정, "자주꽃방망이의 분화재배시 Uniconazole 처리에 따른 생육과 개화특성" 한국화훼학회 12 (12): 153-156, 2004

      4 천영신, "생장억제제를 이용한 분화 디기탈리스의 상품가치 향상" 인간식물환경학회 17 (17): 291-296, 2014

      5 조동훈, "생장억제제 처리가 나도풍란(Sedirea japonica)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 22 (22): 95-99, 2004

      6 김주형, "생장억제제 관주처리가 ‘Angel’s Trumpet’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화훼학회 17 (17): 231-236, 2009

      7 이정준, "몇 종의 다육식물 종자 발아에 미치는 환경 요인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4

      8 김홍열, "금낭화의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Uniconazole 처리농도 및 처리시기의 영향" 한국원예학회 21 (21): 29-33, 2003

      9 정정학, "Uniconazole의 처리농도 및 방법이 참나리의 생장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화훼학회 13 (13): 39-43, 2005

      10 Bailey DA, "Tips on the use of chemical growth regulators on floriculture crops. Section 10. Easter lilies (potted)" Ohio Florists Assosiation 1992

      11 Katz E, "Promotion of Globularia sarcophylla flowering by uniconazol, an inhibitor of gibberellin biosynthesis" 98 : 423-431, 2003

      12 Chang Hee Lee, "Production of Compact Ardisia pusilla DC. Pot Plant byUsing Paclobutrazol" 한국원예학회 45 (45): 270-276, 2004

      13 Jeong WM, "Pretty succulent plant interior than flowers" Okdang Books 2013

      14 El-Khoreiby AM, "Paclobutrazol spray timing influences apple tree growth" 25 : 310-312, 1990

      15 Ahmad I, "Paclobutrazol or uniconazole effects on ethylene sensitivity of potted ornamental plants and plugs" 192 : 350-356, 2015

      16 Park JS, "Influence of temperature, GA, BA, and uniconazole on flower bud formation of Cymbidium goeringii" 42 : 587-590, 2001

      17 Wilkinson RI, "Influence of paclobutrazol on growth and flowering of Rhododendron ‘Sir Robert Peel’" 26 : 282-284, 1991

      18 Yun PS, "Hortus koreana" Jisik-sanup 327-332, 1989

      19 Banon S, "Growth, development and colour response of potted Dianthus caryophyllus cv. Mondraan to paclobutrazol treatment" 94 : 371-377, 2002

      20 남상용, "Ethephon, Paclobutrazol과 Uniconazole 처리가 분화 서양톱풀의 생장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화훼학회 17 (17): 303-307, 2009

      21 Lee EK, "Effects of uniconazole drench on the growth and flowering in poinsettia (Euphorbia pulcherrima Willd.)" 17 : 581-583, 1999

      22 Jeong JH, "Effects of pinching and growth regulators on growth and flowering of Sedum rotundifolium" 41 : 105-108, 2000

      23 Jee SO, "Effects of growth retardants on the morphogenesis and GA-like substance activity of Bletila striata in vitro" 41 : 409-414, 2000

      24 Kim HY, "Effect of uniconazole t reatment on the growth and flowering of Cymbidium Pine Clash ‘Moon Venus’ and Cym. Green Sour ‘A One’" 16 : 40-41, 1998

      25 Park BM, "Effect of folia application growth retardants on the growth and flowering of Geranium ‘Pinto Scarlet’" 9 : 9-12, 2001

      26 최종진, "Diniconazole과 Daminozide의 처리 방법 및 농도가 아시아틱 나리 'Solemio'와 'Lemon Pixie'의 분화 재배 시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 44 (44): 723-728, 2003

      27 Barret JE, "Chrysanthemum height control by ancymidol, PP333, and El-500 dependent on medium composition" 17 : 896-897, 1982

      28 Park YS, "Cactus and succulents" Kyohaksa 6-8, 2006

      29 Research Organiation Korea Cactus, "Beautiful cactus and succulent plants" 231-241,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 -> 한국화훼학회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for Flower Industry Development ->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10-20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화훼연구회 -> 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Flower Research Society -> Korean Association for Flower Industry Development
      KCI등재
      2006-09-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화훼연구회지 -> 화훼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Flower Research Society -> Flower Research Journal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4 0.34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7 0.506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