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50년대 김수영 시의 ‘위대성’ 추구에서 드러난 관점 변화 연구 = A Study on the Change of Perspective on ‘Greatness’ in Kim Soo-young’s Poetry of 1950’s - based on the realationship between Kim Soo-young’s poetry and R. W. Emerson’s thought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158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1950년대 김수영의 시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위대성’ 추구와 그 과정에서 드러난 변화를 R. W. 에머슨의 사상과 관련지어 해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대성’ 추구는 김수...

      이 글은 1950년대 김수영의 시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위대성’ 추구와 그 과정에서 드러난 변화를 R. W. 에머슨의 사상과 관련지어 해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대성’ 추구는 김수영의 시와 에머슨 사상 사이의 동질성과 차이성을 함께 보여줄 수 있는 중요한 매개라고 할 수 있다.
      1950년대 김수영의 시에서 위대성의 추구는 범용과의 싸움을 통해 위인적 위대성을 추구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김수영의 그런 태도는 에머슨이 말한 ‘위인’에 기대는 바가 컸다. 한편, 1950년대 후반에 이르면 김수영의 시에서 위대성은 탈도시적 전원적 삶을 통해 추구되었다. 이는 에머슨이 ‘자연’의 힘을 ‘개성’을 포용해 내 자유를 진정으로 구가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세계로 바라보았던 것과도 일맥상통한다. 그렇지만 김수영의 그런 위대성 추구는 전원적 삶에서의 ‘사랑’과 ‘고절’에 대한 반문 때문에 탐색적인 것에 머물고 말았다. 김수영은 전원적 삶에서 범용한 면모와 허위를 주목하게 되었던 것인바, 그의 그런 주목은 1950년대 말에는 자신이 ‘사령’과 같은 존재가 되어 버린 것은 아닌가 하는 문제의식으로 표명되었다. 김수영은 고절적 삶에서 ‘영’을 통해 ‘자유’를 추구할 수 있다는 에머슨의 사유에 대해 직접적이고도 근본적인 반문을 던졌던 것이다.
      1950년대 김수영 시에서의 위대성 추구는 범용에서 벗어나는 일에 대한 관심, ‘사랑’에 대한 회의 등으로 귀결되었다. 그것은 에머슨이 말했던 ‘자연’과 ‘사랑’을 충분히 이해한 가운데 이루어진 것은 아니었지만, 그래도 ‘자유’와 ‘사랑’의 관계에 대한 물음의 시작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였다. 이런 점에서, 1950년대 김수영 시의 위대성 추구에서 드러난 관점의 변화는 김수영이 번역으로 접한 에머슨의 사상을 스스로 체화해 가는 과정에서 생겨난 것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hange of perspective on ‘greatness’ in Kim Soo-young’s poetry of 1950’s, based on the realationship between Kim Soo-young’s poetry and R. W. Emerson’s thought. I can say that the pursuiting of ‘g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hange of perspective on ‘greatness’ in Kim Soo-young’s poetry of 1950’s, based on the realationship between Kim Soo-young’s poetry and R. W. Emerson’s thought. I can say that the pursuiting of ‘greatness’ was a demonstrable media of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im Soo-young’s Poetry and R. W. Emerson’s thought. Kim Soo-young pursuited ‘greatness’ in regular succession, by dint of great men, the power of nature. And the change of perspective on ‘greatness’ was result in the concern of overcoming of mediocrity and the skepticism of love in the rural life that had standed for the retort on R. W. Emerson’s thought. and it means that Kim Soo-young had called the way of realizing the right to freedom into various question in his poetry of 1950’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김수영 시 이해의 한 도관으로서의 에머슨 사상
      • Ⅱ. 탈범용에 의한 ‘위인적’ 위대성 추구와 그 이면
      • Ⅲ. 고절적 삶에 의한 ‘자연적’ 위대성 탐색과 그 반성
      • Ⅳ. 결론 : ‘위대성’에 대한 관점 변화의 의미
      • 【국문초록】
      • Ⅰ. 서론 : 김수영 시 이해의 한 도관으로서의 에머슨 사상
      • Ⅱ. 탈범용에 의한 ‘위인적’ 위대성 추구와 그 이면
      • Ⅲ. 고절적 삶에 의한 ‘자연적’ 위대성 탐색과 그 반성
      • Ⅳ. 결론 : ‘위대성’에 대한 관점 변화의 의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홍순, "프랑스 사회주의와 미국의 초월주의"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12 : 2001

      2 박진원, "칼라일과 에머슨의 영웅관 비교" 대한영어영문학회 34 (34): 1-21, 2008

      3 김봉수, "초절주의와 Emerson—모호성을 중심으로" 신영어영문학회 1 : 1982

      4 김용권, "외국문학" 열음사 1996

      5 박진원, "에머슨의 발명논리와 보상"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52 (52): 39-60, 2008

      6 Emerson, Lalph Waldo, "에머슨 수상록" 서문당 1996

      7 권보드래, "실존, 자유부인, 프래그머티즘 ― 1950년대의 두 가지 ‘자유’ 개념과 문화" 한국문학연구소 (35) : 101-147, 2008

      8 박지영, "살아있는 김수영" 창비 2005

      9 Kagan, M. S., "미학강의 Ⅰ" 벼리 1989

      10 김은형, "랠프 월도 에머슨의 초월주의의 사회적 성과와 한계" 영미문학연구회 (26) : 336-355, 2009

      1 박홍순, "프랑스 사회주의와 미국의 초월주의"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12 : 2001

      2 박진원, "칼라일과 에머슨의 영웅관 비교" 대한영어영문학회 34 (34): 1-21, 2008

      3 김봉수, "초절주의와 Emerson—모호성을 중심으로" 신영어영문학회 1 : 1982

      4 김용권, "외국문학" 열음사 1996

      5 박진원, "에머슨의 발명논리와 보상"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52 (52): 39-60, 2008

      6 Emerson, Lalph Waldo, "에머슨 수상록" 서문당 1996

      7 권보드래, "실존, 자유부인, 프래그머티즘 ― 1950년대의 두 가지 ‘자유’ 개념과 문화" 한국문학연구소 (35) : 101-147, 2008

      8 박지영, "살아있는 김수영" 창비 2005

      9 Kagan, M. S., "미학강의 Ⅰ" 벼리 1989

      10 김은형, "랠프 월도 에머슨의 초월주의의 사회적 성과와 한계" 영미문학연구회 (26) : 336-355, 2009

      11 조명래, "도시화의 흐름과 전망 -한국 도시의 과거, 현재, 미래-" 비판사회학회 60 : 10-39, 2003

      12 박지영, "김수영의 초기 시에 끼친 영미 시론의 영향" 반교어문학회 14 : 2002

      13 정현종, "김수영의 문학" 민음사 1983

      14 황동규, "김수영의 문학" 민음사 1983

      15 김현, "김수영의 문학" 민음사 1983

      16 허윤회, "김수영 지우기" 상허학회 14 : 103-132, 2005

      17 김수영, "김수영 전집 2-산문" 민음사 1981

      18 김수영, "김수영 전집 1-시" 민음사 1981

      19 배개화, "김수영 시에 나타난 양가적 의식" 우리말글학회 36 : 263-296, 2006

      20 강연호, "김수영 시에 나타난 내면의식 연구―‘偉大의 所在’와 사랑의 발견" 현대문학이론학회 (22) : 34-60, 2004

      21 이기성, "김수영" 새미 2002

      22 노철, "김수영" 새미 2002

      23 허배관, "기타무라 도코쿠의 에머슨 수용― 그 범신론적 경향에 관하여 ―" 동아시아일본학회 (11) : 203-214, 2004

      24 Emerson, Lalph Waldo, "文化․政治․藝術" 중앙문화사 1956

      25 조연정, "‘번역체험’이 김수영 시론에 미친 영향 - ‘침묵’을 번역하는 시작 태도와 관련하여" 한국학연구소 (38) : 459-490, 2011

      26 Emerson, Lalph Waldo, "Emerson: The Basic Writings of America’s Sage" Penguin Books Inc 1947

      27 Gougeon, Len, "Emerson& Eros,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2007

      28 박지영, "1950년대 번역가의 의식과 문화정치적 위치" 상허학회 30 : 351-396,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7-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우리문학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7 0.61 1.35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