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LA TEMPORALITE VECUE DANS L'OEUVRE ROMANESQUE DE STENDHAL : Essai hermeneutique sur le monde imaginai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4469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스탕달 소설작품에 대한 해석학적인 독서를 통하여 스탕달에 고유한 시간성을 밝히는 데 있다. 텍스트가 제안하는 세계에서 독자가 경험하게 되는 시간의 양상, 즉 시간의 허구적 경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스탕달의 소설작품에 나타난 역동적이며 유동적인 여러 양상들을 현상학적인 관점에서 이해하고, 서사학적인 관점에서 그 양상들을 설명하고, 끝으로 작가의 문체, 즉 스탕달의 작품에 특유한 시간성을 해석하고 있다. 제1부에서는 연구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한다. 독서 방법의 선택, 시간 연구의 역사 및 양상, 작가 개인의 시간관, 그리고 특히 소설 작품의 시간 구조를 결정짓는 어린 시절의 추억 등이 소개된다. 제2부와 3부는 작가의 어린시절에서 비롯된 모티브들 - '강요된 산책 promenade force', '전환기 le tournant', '정신적 삶 vie morale' - 이 허구적 소설작품 속에서 어떻게 변형되어 나타나는지를 차례로 밝힌다. "시간 속의 인간"의 모습을 다루는 제2부는 강요된 산책자로서의 등장인물들이 이야기의 흐름에 따라 변모해가는 양상들을 보여준다. 반면에 제3부는 "인간 속의 시간"을 검토하면서, 소설 세계를 시적 차원으로 높이는 순간의 미학 및 시간과 상상력과의 관계들을 분석한다. 그리고 이러한 이해와 설명의 변증법적 결과로서, 스탕달에 고유한 시간성의 해석은 결론부분에서 이루어진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스탕달 소설작품에 대한 해석학적인 독서를 통하여 스탕달에 고유한 시간성을 밝히는 데 있다. 텍스트가 제안하는 세계에서 독자가 경험하게 되는 시간의 양상, 즉 시간...

      본 연구의 목적은 스탕달 소설작품에 대한 해석학적인 독서를 통하여 스탕달에 고유한 시간성을 밝히는 데 있다. 텍스트가 제안하는 세계에서 독자가 경험하게 되는 시간의 양상, 즉 시간의 허구적 경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스탕달의 소설작품에 나타난 역동적이며 유동적인 여러 양상들을 현상학적인 관점에서 이해하고, 서사학적인 관점에서 그 양상들을 설명하고, 끝으로 작가의 문체, 즉 스탕달의 작품에 특유한 시간성을 해석하고 있다. 제1부에서는 연구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한다. 독서 방법의 선택, 시간 연구의 역사 및 양상, 작가 개인의 시간관, 그리고 특히 소설 작품의 시간 구조를 결정짓는 어린 시절의 추억 등이 소개된다. 제2부와 3부는 작가의 어린시절에서 비롯된 모티브들 - '강요된 산책 promenade force', '전환기 le tournant', '정신적 삶 vie morale' - 이 허구적 소설작품 속에서 어떻게 변형되어 나타나는지를 차례로 밝힌다. "시간 속의 인간"의 모습을 다루는 제2부는 강요된 산책자로서의 등장인물들이 이야기의 흐름에 따라 변모해가는 양상들을 보여준다. 반면에 제3부는 "인간 속의 시간"을 검토하면서, 소설 세계를 시적 차원으로 높이는 순간의 미학 및 시간과 상상력과의 관계들을 분석한다. 그리고 이러한 이해와 설명의 변증법적 결과로서, 스탕달에 고유한 시간성의 해석은 결론부분에서 이루어진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NTRODUCTION = 1
      • PREMIERE PARTIE : LA COMPREHENSION DU TEMPS
      • Ⅰ. PROLEGOMENES DE METHODOLOGIE = 9
      • 1. La problematique de la lecture = 9
      • 2. Les metamorphoses de l'etude du temps = 19
      • INTRODUCTION = 1
      • PREMIERE PARTIE : LA COMPREHENSION DU TEMPS
      • Ⅰ. PROLEGOMENES DE METHODOLOGIE = 9
      • 1. La problematique de la lecture = 9
      • 2. Les metamorphoses de l'etude du temps = 19
      • 3. La thematisation du temps stendhalien = 28
      • Ⅱ. L'HOMME ET LA TEMPORALITE = 35
      • 1. Stendhal et la temporalite = 35
      • 2. Personnages et temporalite = 54
      • DEUXIEME PARTIE : L'HOMME DANS LE TEMPS - "PROMENADE FORCE"
      • Introduction = 83
      • Ⅰ. L'HOMME DANS L'HISTOIRE = 85
      • 1. Le temps comme element destructeur = 85
      • ⅰ) Le vieillissement refuse = 89
      • ⅱ) Le voisinage de la mort = 98
      • ⅲ) Le chromatisme du temps historique = 105
      • 2. Le temps comme element constructeur = 120
      • ⅰ) Le pseudo-historicisme dans le Rouge et le Noir = 124
      • ⅱ) Les deux signifiants : Lucien et Leuwen = 131
      • ⅲ) Le progres intime dans la Chartreuse de Parme = 143
      • Ⅱ. TEMPS ET VOLONTE = 157
      • 1. Manque-desir : Remplissage = 162
      • ⅰ) Le plein et le vide = 164
      • ⅱ) La presence permanente du ≪manque≫ = 170
      • 2. Delai-attente : Retardement = 178
      • ⅰ) La strategie du retardement = 180
      • ⅱ) La societe d'attente = 184
      • ⅲ) Le bonheur retarde et le bonheur prolonge = 194
      • ⅳ) Mme de Renal et Mathilde = 202
      • ⅴ) La symbolique de ≪trois≫ = 208
      • 3. Soupcon-certitude : Eclaircissement = 218
      • ⅰ) L'ere du soupcon = 218
      • ⅱ) Le soupcon incarne = 224
      • ⅲ) Le soupcon socialise = 233
      • 4. Indifference-passion : Cristallisation = 244
      • ⅰ) Le jeu dialectique de l'amour = 246
      • ⅱ) Du reel a l'imaginaire = 253
      • Ⅲ. TEMPS EN MOUVEMENT = 265
      • 1 .Le decor mobile = 269
      • 2. L'action des personnages = 279
      • 3. Le signifiant ≪Verrieres≫ = 294
      • TROISIEME PARTIE : LE TEMPS DANS L'HOMME
      • Introduction = 302
      • Ⅰ. L'ESTHETIQUE DE L'INSTANT - "LE TOURNANT" = 309
      • 1. Les catalyseurs de l'emotion = 311
      • ⅰ) Les nourritures excitantes = 311
      • ⅱ) Les images visuelles = 315
      • ⅲ) La musique = 321
      • 2. Le seuil de l'imaginaire = 332
      • Ⅱ. TEMPS ET IMAGINATION - "VIE MORALE" = 348
      • 1. Imagination ardente : oubli du temps = 351
      • ⅰ) Instant rapide = 352
      • ⅱ) Instant detache = 358
      • ⅲ) Instant immobile = 365
      • ⅳ) Instant plastique = 370
      • 2. Imagination tranquille : maitrise du temps = 375
      • ⅰ) Aux ≪Rivages de la mer≫ = 375
      • ⅱ) Imagination prospective : passion de la gloire = 386
      • ⅲ) Imagination retrospective : passion de l'amour = 397
      • 3. Imagination mythique : sublimation du temps = 407
      • ⅰ) Le desir de la permanence = 407
      • ⅱ) L'ambivalence de l'anachronisme stendhalien = 414
      • ⅲ) La structure mythique = 431
      • CONCLUSION = 439
      • BIBLIOGRAPHIE = 447
      • INDEX DES NOMS PROPRES = 45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