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스탕달 소설작품에 대한 해석학적인 독서를 통하여 스탕달에 고유한 시간성을 밝히는 데 있다. 텍스트가 제안하는 세계에서 독자가 경험하게 되는 시간의 양상, 즉 시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8446954
Paris : UNIVERSITE DE LA SORBONNE NOUVELLE PARIS Ⅲ, 1991
Thesis(doctoral) -- UNIVERSITE DE LA SORBONNE NOUVELLE PARIS Ⅲ , 19세기 불소설 , 1991
1991
프랑스어
863 판사항(4)
France
459p. ; 26c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스탕달 소설작품에 대한 해석학적인 독서를 통하여 스탕달에 고유한 시간성을 밝히는 데 있다. 텍스트가 제안하는 세계에서 독자가 경험하게 되는 시간의 양상, 즉 시간...
본 연구의 목적은 스탕달 소설작품에 대한 해석학적인 독서를 통하여 스탕달에 고유한 시간성을 밝히는 데 있다. 텍스트가 제안하는 세계에서 독자가 경험하게 되는 시간의 양상, 즉 시간의 허구적 경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스탕달의 소설작품에 나타난 역동적이며 유동적인 여러 양상들을 현상학적인 관점에서 이해하고, 서사학적인 관점에서 그 양상들을 설명하고, 끝으로 작가의 문체, 즉 스탕달의 작품에 특유한 시간성을 해석하고 있다. 제1부에서는 연구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한다. 독서 방법의 선택, 시간 연구의 역사 및 양상, 작가 개인의 시간관, 그리고 특히 소설 작품의 시간 구조를 결정짓는 어린 시절의 추억 등이 소개된다. 제2부와 3부는 작가의 어린시절에서 비롯된 모티브들 - '강요된 산책 promenade force', '전환기 le tournant', '정신적 삶 vie morale' - 이 허구적 소설작품 속에서 어떻게 변형되어 나타나는지를 차례로 밝힌다. "시간 속의 인간"의 모습을 다루는 제2부는 강요된 산책자로서의 등장인물들이 이야기의 흐름에 따라 변모해가는 양상들을 보여준다. 반면에 제3부는 "인간 속의 시간"을 검토하면서, 소설 세계를 시적 차원으로 높이는 순간의 미학 및 시간과 상상력과의 관계들을 분석한다. 그리고 이러한 이해와 설명의 변증법적 결과로서, 스탕달에 고유한 시간성의 해석은 결론부분에서 이루어진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