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갈등이 증가하고 있는 한국의 정책환경에서,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많은 단일사례연구에 비하여 비교정책연구가 부족하다는 인식하에 옹호연합모형의 비교정책 분석틀을 토대로 거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103004
2020
-
KCI등재
학술저널
115-153(3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정책갈등이 증가하고 있는 한국의 정책환경에서,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많은 단일사례연구에 비하여 비교정책연구가 부족하다는 인식하에 옹호연합모형의 비교정책 분석틀을 토대로 거의 ...
정책갈등이 증가하고 있는 한국의 정책환경에서,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많은 단일사례연구에 비하여 비교정책연구가 부족하다는 인식하에 옹호연합모형의 비교정책 분석틀을 토대로 거의 유사한 시기에 전개된 공공시설 명칭갈등의 두 가지 정책사례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외부환경변수에서 사회경제적 조건변화와 다른 하위체제의 정책결정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상대적 안정변수와 동적변수의 하위변수들은 유사점이 발견되었다. 외부환경변수의 영향을 받아 작동하는 정책하위체제의 구성과 활동은 차이점이 발견되고 있는데, 갈등하는 옹호연합의 구성과 신념 및 전략, 정책중개자의 활동이 상이하게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그리고 외부환경변수와 정책하위체제 속에서 만들어진 정책산출은 두 옹호연합의 신념이 반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비교정책사례연구의 함의는 이론적 측면에서 옹호연합모형의 경험적 적실성을 검증하고 다른 사례와의 비교연구의 토대를 제공할 수 있고, 실무적 측면에서 정부통치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갈등적인 정책결정에는 정책문제에 관련되는 이해관계자들을 참여시켜 타협이나 협력을 유도하는 네트워크 통치가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face of increasing policy conflicts in Korea’s policy environment, this study is beginning with a perception about the deficit of comparative policy research compared to many single case studies in the domestic and abroad, and compared two po...
In the face of increasing policy conflicts in Korea’s policy environment, this study is beginning with a perception about the deficit of comparative policy research compared to many single case studies in the domestic and abroad, and compared two policy cases of public facility naming conflicts at almost equal periods, based on the comparative policy analysis framework of the Advocacy Coalition Framework(ACF).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ing. Except changes in socioeconomic conditions and policy making of other subsystems in external environment variables, most relative stability variables and sub-variables of dynamic variables were found to have similarities. The composition and activities of policy subsystem that operate under the influence of these external factors are found differences in the two cases. This aspect is due to the compositions, beliefs, and strategies of conflicting advocacy coalitions, and the activities of policy broker. The policy output which created under external environments and policy subsystem appeared to reflect the beliefs of the two advocacy coalitions.
The implications of this comparative policy case study have verified the empirical adequacy of the ACF and provided the basis for comparative studies with other cases in the theoretical sense, or in the practical sense can draw implications for the method of government governance. We suggest that the policy making of policy conflict is necessary to network governance participating several stakeholders involved in the policy problems to induce compromise and cooperation.
일자리제공형 사회적기업은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고 있는가? : 사회적기업 유형별 취약계층 상대적 고용비중과 임금수준 비교를 중심으로
지방공공서비스 성과정보가 관료의 서비스 성과공개 및 시민참여 강화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투명성 강화기제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