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거꾸로 학습(Flipped Learning)이 성별,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업성취도, 학습태도 등 학습자 특성에 따라 교육 효과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858959
인천 :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학위논문(석사) --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학과 , 2015. 8
2015
한국어
371.3 판사항(21)
인천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According to Learner Characteristics: The Cases of 「Law and Politics」
95 p. ; 26cm
인하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박선미
참고문헌 : p.69-7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거꾸로 학습(Flipped Learning)이 성별,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업성취도, 학습태도 등 학습자 특성에 따라 교육 효과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본 연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거꾸로 학습(Flipped Learning)이 성별,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업성취도, 학습태도 등 학습자 특성에 따라 교육 효과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및 실제 사례를 조산한 후 거꾸로 교실의 교수 학습모형을 설계하고,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태도, 학업성취도 검사지를 구성한 후, 인천 소재 고등학교 4개 반 98명을 대상으로 거꾸로 학습을 적용한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거꾸로 학습 효과는 학업성취도에서는 남학생과 여학생 간 학습 효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학습태도 면에서는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게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특히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따른 거꾸로 학습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학업성취도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렇지만 학습태도 측면에서는 전반적으로 상위 집단, 중위 집단, 하위 집단 세 집단 모두에서 학습태도의 향상이 나타났지만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다.
셋째, 학습자의 학업수준의 차이에 따른 거꾸로 학습의 효과는 학업성취도면에서는 학업수준이 상위집단의 경우 학업성취도가 유의한 수준에서 낮아졌으며 중위 집단과 하위 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학습태도 측면에서는 학업수준이 하위 집단인 경우 학습태도가 유의한 수준에서 높아졌으며 중위 집단, 상위 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거꾸로 학습의 교육적 적용에 있어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거꾸로 학습이 효과적이라는 선행연구들과 달리 학습자 특성에 따라 그리고 측정하고자 하는 능력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인다는 점이다.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 학습태도 측면에서 상위 집단에 해당되는 학생들에게 거꾸로 학습 효과가 유의한 수준에서 나타나지 않았으며 학업 성취도는 오히려 유의미한 수준에서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둘째, 거꾸로 학습이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업 수준의 차이에 따라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학습 태도 면에서는 사전 학업수준이 하위인 집단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사전 학습태도가 중위, 하위인 집단에서 거꾸로 학습 이후에 학습 태도의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거꾸로 학습에 따른 학습 태도의 개선이 학업 성취도의 향상으로 바로 나타나지는 않겠지만 거꾸로 학습이 학습 태도의 개선으로 수업에 대한 참여도를 높임으로써 장기적으로는 학습자들에게 흥미를 유발하고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거꾸로 학습을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사회과 수업이 수준별 수업으로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학업 수준이 높은 상위 집단의 교수학습 방법과 수업 참여도가 낮고 학업 수준이 낮은 중·하위 집단에게 동일한 교수 학습방법을 적용하는 것보다는 거꾸로 학습과 같은 학습자 중심의 참여 학습은 학업 수준이 낮은 중·하위 집단에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거꾸로 학습을 학교 현장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동영상 강의를 제작, 편집,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의 제고와 이를 위한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다양한 연수를 제공하고 수업 동영상을 교사들과 공유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 거꾸로 학습의 적용에 따른 성공과 시행착오의 경험을 축적하여 누구라도 거꾸로 학습을 도입할 수 있는 기반 조성이 필요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