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김병철의 이입사 연구에 나타난 한국비교문학 연구 방법론 = A critical study on the comparative research method of Korean literature : focusing on the works of Kim Byung-chu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080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well known fact that translated literatur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and that the influence of acceptance and translation of Western literature was especially crucial to the formation of Korean modern l...

      It is well known fact that translated literatur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and that the influence of acceptance and translation of Western literature was especially crucial to the formation of Korean modern literature. Kim Byung-chul, professor and translator of English literature, has gave his lifetime to the study of how Western literature has been introduced through the ‘mediators’ such as translators, literary critics and literary journals in th context of modern Korean literature. His works include the history of acceptance of Western literature and the history of translated literature during modern period of Korean literature. Examining how Western literary works were accepted in the colonial period, in other words studying how they were translated and introduced would be main focus of Kim Byung-chul’s works. This study of ‘importation’ and acceptance of Western literature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initial phase of Korean comparative literature. Consequently, Korean comparative literature has limited its studies only in the function of the influence of European literature in relation to modern Korean literature. The final goal of this article would be to understand the aims of ‘acceptance study’, examine limits of ‘influence study’ and finally cast new lights on the research method of Korean comparative litera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비교문학은 어떤 지식을 생산해왔으며, 핵심적인 방법론은 무엇인가를 살피는 일은 한국비교문학의 문제의식을 더욱 날카롭게 다듬는데 필수적인 작업이다. 한국비교문학의 기본적 이...

      한국비교문학은 어떤 지식을 생산해왔으며, 핵심적인 방법론은 무엇인가를 살피는 일은 한국비교문학의 문제의식을 더욱 날카롭게 다듬는데 필수적인 작업이다. 한국비교문학의 기본적 이론체계의 확립과 외국문학이 들어오는 실증적 작업에 대한 요구가 서로 만나는 지점에서 이입사 혹은 ‘이입과 영향’ 연구의 필요성이 생겨난다. 김병철은 영문학자로서 영문학 연구와 번역에 관련된 작업과는 별도로 <한국 근대서양문학 이입사 연구>를 필두로 거의 사 십년 가까운 시간을 서양문학 이입사 연구에 바친 이입사 연구의 개척자라 할 수 있다. 이입사 연구는 한국근대문학의 비교문학적 연구의 기초 작업에 해당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작업이다. 김병철의 이입사 연구가 갖는 실증적 작업의 의미를 되새기고 그 학문적 의의와 방법론적 한계를 두루 살피는 일은 한국비교문학이 앞으로 생산해야 할 지식의 향방을 가늠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병철, "황혼이 내려도 그리운 목소리들만은" 범우사 1987

      2 김윤식, "해외문학 이입의 실증적 연구" 1975

      3 김병철, "한국현대번역문학사연구 (上, 下)" 을유문화사 1998

      4 김병철, "한국세계문학문헌서지총람" 단국대학교 출판부 1992

      5 김학동, "한국문학의 비교문학적 연구" 일조각 1972

      6 김병철, "한국근대서양문학이입사연구 (下)" 을유문화사 1982

      7 김병철, "한국근대서양문학이입사연구 (上)" 을유문화사 1980

      8 김병철, "한국근대번역문학사연구" 을유문화사 1975

      9 박진영, "중국문학 및 일본문학 번역의 역사성과 상상력의 접변" 국학연구원 (164) : 259-285, 2013

      10 정명환, "졸라와 자연주의" 졸라와 자연주의 1982

      1 김병철, "황혼이 내려도 그리운 목소리들만은" 범우사 1987

      2 김윤식, "해외문학 이입의 실증적 연구" 1975

      3 김병철, "한국현대번역문학사연구 (上, 下)" 을유문화사 1998

      4 김병철, "한국세계문학문헌서지총람" 단국대학교 출판부 1992

      5 김학동, "한국문학의 비교문학적 연구" 일조각 1972

      6 김병철, "한국근대서양문학이입사연구 (下)" 을유문화사 1982

      7 김병철, "한국근대서양문학이입사연구 (上)" 을유문화사 1980

      8 김병철, "한국근대번역문학사연구" 을유문화사 1975

      9 박진영, "중국문학 및 일본문학 번역의 역사성과 상상력의 접변" 국학연구원 (164) : 259-285, 2013

      10 정명환, "졸라와 자연주의" 졸라와 자연주의 1982

      11 김흥규, "전파론적 전제 위에 선 비교문학과 가치평가의 문제점" 1 : 1977

      12 김병철, "세월 속에 씨를 뿌리며 : 김병철 수상록" 한신문화사 1983

      13 김병철, "세계문학번역서지목록총감" 국학자료원 2002

      14 김병철, "세계문학논저서지목록총감" 국학자료원 2002

      15 김병철, "서양문학 번역논저연표" 을유문화사 1978

      16 김동욱, "비교와 대비"

      17 백철, "비교문학의 방향으로"

      18 박성창, "비교문학의 도전" 민음사 2009

      19 이하윤, "비교문학서설"

      20 김학동, "비교문학론" 새문사 1984

      21 정인섭, "비교문학과 동서문화 교류"

      22 마리위스 프랑스와 귀야르, "비교문학" 탐구당 1986

      23 필립 방티겜, "비교문학" 계영사 1975

      24 이재선, "문학의 이론" 학문사 1968

      25 백철, "문학개론" 신구문화사 1963

      26 전규태, "문예사조 2 : 비교문학-이론 ․ 방법 ․ 전망" 문학사연구회 1973

      27 박성창, "글로컬 시대의 한국문학" 민음사 2009

      28 박진영, "근대 번역문학사 연구와 번역 주체" 한국문학연구학회 (50) : 219-256, 2013

      29 김동욱, "국문학개설" 민중서관 1962

      30 박성창, "‘보이지 않는’ 비교의 시학 : 김기림과 프랑스 현대시(아폴리네르/장 콕토)" 한국불어불문학회 (100) : 95-120,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9 0.19 0.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4 0.23 0.629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