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새교육, 열린교육, 혁신학교 운동으로 본 초등학교 수업의 변화 = The Reading Change-Points of Elementary School Teaching in Korea based on New Education Movement, Open Education Movement, School Innovation Movem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493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reviewed the New Education Movement, Open Education Movement, School innovation Movement in South Korea, and examined how elementary school classes have changed through each movement. To this end, the following two questions were reviewed, ...

      This study reviewed the New Education Movement, Open Education Movement, School innovation Movement in South Korea, and examined how elementary school classes have changed through each movement. To this end, the following two questions were reviewed, focusing on the literature that reported school classes related to the New Education Movement, the Open Education Movement, and the Innovation School Movement. First, what did you try for schooling during the movement? Second, what kind of classes actually spread in schools through the move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New Education Movement attempted to develop ‘life units’ in schools, but in fact, appling the teaching model was widely attracted attention among teachers in schools. Second, but they challenged to develop ‘integrated curriculum’, more school teachers are spreading in the form of more creative classes. Third, the Innovative School Movement has attempted to innovate school based schooling. It could be explored that the same grade curriculum was developed to reveal the pattern of teach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ould be discussed that elementary school classes have changed in the direction of more standardization → diversification → individualization through each movement. At the same time, they provided teachers experiences to do ‘lesson remodeling→lesson making→Unit develop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종서, "현장 연구법의 이론과 실제" 배영사 1968

      2 서영민, "혁신학교의 학교 효과성 분석" 2015

      3 노상우, "혁신학교의 수업혁신 과정과 과제" 교육종합연구원 13 (13): 43-67, 2015

      4 배종현,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학업성취도 비교 분석 : 경기도 중학교의 국어와 영어교과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37 (37): 27-56, 2016

      5 박정수,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교사의 학습자중심 신념과 교사 수업에 대한 학생의 인식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6 서근원, "혁신학교는 수업을 혁신하는가?" 한독교육학회 23 (23): 67-87, 2018

      7 김수경, "혁신학교 운영의 실태와 성과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145-168, 2011

      8 이경아, "혁신학교 운영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교육사회학회 26 (26): 75-100, 2016

      9 이주연, "혁신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

      10 강충열, "혁신 지향적 초·중등학교 학교 문화 창조 모델 탐색" 교육연구원 31 : 207-230, 2015

      1 김종서, "현장 연구법의 이론과 실제" 배영사 1968

      2 서영민, "혁신학교의 학교 효과성 분석" 2015

      3 노상우, "혁신학교의 수업혁신 과정과 과제" 교육종합연구원 13 (13): 43-67, 2015

      4 배종현,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학업성취도 비교 분석 : 경기도 중학교의 국어와 영어교과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37 (37): 27-56, 2016

      5 박정수,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교사의 학습자중심 신념과 교사 수업에 대한 학생의 인식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6 서근원, "혁신학교는 수업을 혁신하는가?" 한독교육학회 23 (23): 67-87, 2018

      7 김수경, "혁신학교 운영의 실태와 성과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145-168, 2011

      8 이경아, "혁신학교 운영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교육사회학회 26 (26): 75-100, 2016

      9 이주연, "혁신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

      10 강충열, "혁신 지향적 초·중등학교 학교 문화 창조 모델 탐색" 교육연구원 31 : 207-230, 2015

      11 정광순, "행복학교 학교교육과정의 의미. 2018. 행복학교 정책연구 결과 보고" 경상남도 교육청 혁신과 6-31, 2018

      12 강충열, "행복학교 종합평가 및 성과분석" 경상남도 교육청 혁신과 2018

      13 이소영, "해방 후 한국교육개혁운동의 성격 고찰 : 교육주도세력의 새교육운동을 중심으로" 한국인격교육학회 4 (4): 39-65, 2010

      14 강일국, "해방 후 초등학교 현장의 교육과정 개혁 -새교육운동 주도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20 (20): 5-117, 2002

      15 홍웅선, "해방 후 진보주의 교육 사조의 수용 과정" 37 : 153-170, 1989

      16 이혁규, "한국의 수업 혁신, 현황과 전망"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2017

      17 이혁규, "한국의 수업 연구 역사에 대한 일 견해" 교육연구소 25 (25): 57-82, 2019

      18 소경희, "한국의 국가교육과정의 변천과 최근의 개혁 동향" 교육종합연구원 28 (28): 87-103, 2019

      19 정진곤, "한국에서의 열린교육 운동의 전개과정과 특성" 9 (9): 177-196, 1999

      20 오천석, "한국신교육사(하)" 광명 1974

      21 오천석, "한국신교육사" 교육과학사 2014

      22 이혜영, "한국 근대 학교교육 100년사 연구(Ⅲ): 해방이후의 학교교육" 한국교육개발원 1998

      23 손인수, "한국 군정 교육의 역사적 평가" 13 : 1-89, 1991

      24 정광순, "한 교사의 열린교육 체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열린교육학회 12 (12): 1-23, 2004

      25 이정훈, "학습공동체로서의 작은 학교 운동에 관한 연구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16 (16): 23-44, 2003

      26 최유림, "초등학교 열린교육에 관한 사례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27 정미향,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의 교육과정 개발 과정 기술" 한국교원대학교 2015

      28 박윤경,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육과정 인식 및 재구성 실태 조사" 한국초등교육학회 28 (28): 117-143, 2015

      29 김평국,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과 내용 재구성 실태와 그 활성화 방안" 한국교육과정학회 22 (22): 135-161, 2004

      30 이윤미,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경험으로 본 교육과정 실행 관점과 의미" 한국교육과정학회 33 (33): 65-89, 2015

      31 추갑식,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교육과정 통합 및 재구성 유형에 대한 연구" 과학교육연구소 54 (54): 120-137, 2015

      32 이상은, "진보주의 교육사조에 토대를 둔 한국 교육개혁의 역사적 변천과정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23 (23): 19-43, 2015

      33 박승배, "전라북도 제1기 혁신학교 성과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7 (27): 27-51, 2014

      34 박승배, "열린교육의 등장과 퇴조에 대한 정치ㆍ경제ㆍ사회ㆍ교직 문화적 분석" 18 (18): 251-268, 2000

      35 이인효, "열린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 및 수업 방법 실행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6

      36 이환기, "열린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18 (18): 163-179, 2000

      37 김재웅, "열린교육 정책에 대한 교사집단의 불순응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19 (19): 219-238, 2011

      38 박수일, "열린교육 교육활동 사례" 3 (3): 139-141, 1995

      39 최병철, "열린교실에서의 수업의 실제" 2 (2): 31-36, 1994

      40 이용숙, "열린교과교육의 실천" 4 (4): 157-165, 1996

      41 이윤미, "아비투스 분석으로 본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한국교원대학교 2020

      42 김세영, "수업을 통해 교육과정을 연구한다는 것의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1347-1370, 2018

      43 이혁규, "수업 비평의 개념과 위상" 한국교육인류학회 13 (13): 69-94, 2010

      44 김준엽, "서울형 혁신학교 성과 연구" 2015

      45 이길상, "서구 교육이론의 한국적 수용 양상 -진보주의 교육사상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학회 39 (39): 79-104, 2017

      46 김영주, "새로운 물결, 스몰 스쿨" (가을) : 34-39, 1999

      47 김세기, "새교육체제 성공사례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79

      48 강일국, "새교육운동과 열린교육운동의 특징 비교 연구" 한국교육사회학회 19 (19): 1-23, 2009

      49 신세호, "새 교육체제가 현장교육에 미친 영향" 한국교육개발원 1980

      50 이길상, "미군정기 초등교육의 변화" 한국교육사학회 25 (25): 75-110, 2003

      51 이상록, "미군정기 새교육운동과 초등학교 규율연구: 일제말기 초등학교 귤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35 : 114-146, 2000

      52 김현규, "국가교육과정 문서에 나타난 교육과정 재구성의 의미" 한국교원대학교 2016

      53 서명석, "교육과정 재구성의 개념적 애매성과 모호성 비판" 한국교육과정학회 29 (29): 75-91, 2011

      54 김현규, "교육과정 자료 사용자로서 교사와 교육과정 자료 개발자로서 교사 개념 탐색"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12 (12): 49-72, 2018

      55 신은희, "교육과정 변화에 대한 신제도주의 분석: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9

      56 정광순,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문해력"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6 (6): 109-132, 2012

      57 서경혜, "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 경험에대한 사례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159-189, 2009

      58 장훈, "경기 혁신학교 운영 사례 분석 - 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1 (11): 311-333, 2011

      59 Ben-Peretz, M., "The teacher curriculum encounter: freeing teachers from the tyranny of text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0

      60 Deng, Z., "The formation of a school subject and the nature of curriculum content: an analysis of liberal studies in Hong Kong" 41 (41): 585-604, 2009

      61 Gilbert, G., "The art of teaching" Random House 1950

      62 van Manen, M., "The Tone of Teaching. - The Language of Pedagogy" The Althouse press 2002

      63 McEwan, H., "Teaching as Pedagogic Interpretation" 23 (23): 61-71, 1989

      64 Deng, Z., "Revisiting curriculum potential" 41 (41): 538-559, 2011

      65 Fullan, M., "Research on curriculum and instruction implementation" 47 (47): 335-397, 1977

      66 Doyle, W., "Handbook of research on curriculum" Macmillan 486-516, 1992

      67 Cuban, L., "Handbook of research on curriculum" Macmillan 216-247, 1992

      68 Clandinin, D., "Handbook of research on curriculum" Macmillan 363-401, 1992

      69 Snyder, J., "Handbook of research on curriculum" Macmillan 402-435, 1992

      70 Shubert, W. H., "Curriculum Books The First Hundred Years" Peter Lang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4 1.84 1.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2 1.8 2.264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