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강진철 교수(1917~1991) 탄신 100주년을 맞이하여 그의 한국사 시대구분 및 생산력 발달에 대한 견해를 정리하고, 그 특징과 의의를 고찰해 본 것이다. 강진철은 한국사의 경우 ‘일반농...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174689
2017
Korean
강진철 ; 시대구분 ; 생산력 ; 수탈양식 ; 고대노예제 ; 중세봉건제 ; Kang Jin-Cheol(姜晋哲) ; Periodization ; Production Capacity ; Exploitation Forms ; Ancient Times ; Medieval Times
KCI등재
학술저널
267-287(2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강진철 교수(1917~1991) 탄신 100주년을 맞이하여 그의 한국사 시대구분 및 생산력 발달에 대한 견해를 정리하고, 그 특징과 의의를 고찰해 본 것이다. 강진철은 한국사의 경우 ‘일반농...
본고는 강진철 교수(1917~1991) 탄신 100주년을 맞이하여 그의 한국사 시대구분 및 생산력 발달에 대한 견해를 정리하고, 그 특징과 의의를 고찰해 본 것이다. 강진철은 한국사의 경우 ‘일반농민에 대한 국가권력의 관계’가 주된 생산관계로 간주될 수 있다고 보았다. 시대구분의 기준으로는 租稅・貢賦・力役의 徵取를 내용으로 삼는 국가권력의 농민에 대한 수탈양식의 변화에 두었다. 이에 따라 三國時代이래 高麗中期의 武臣執權期까지가 古代奴隸制的인 사회구성이며, 무신집권기 이후 고려말기에 이르는 기간이 古代奴隸制的인 사회구성이 中世封建制的인 사회구성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적인 전환기였고, 朝鮮時代가 中世封建制的인 사회구성의 시기였다고 보았다. 이러한 견해는 당시 농민의 존재형태, 토지지배관계, 공동체적인 유대관계에 얽혀 이뤄지는 생산조건, 토지 소유권의 발달정도 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것이었다. 강진철의 한국사 시대구분론은 세계사적인 보편성을 전제로 하면서도 한국사의 특성을 감안해 설정된 것이었다. 한국 전근대사회의 기본적 생산층이 農民이었다는 점과 國家의 地主로서 ‘의제적’ 기능을 인정한 전제에서 시대구분의 기준, 혹은 사회성격을 결정하는 요소로 생산관계를 주목하였다. 이와 같은 강진철의 한국사 시대구분론에서 특히 주목되고 또 향후 연구에 있어서 계승해야 할 점은 한국사, 특히 고려시대의 특성을 감안하여 역사발전단계를 설정하고자 노력한 한 점이라고 여겨진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article I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Kang Jin-Cheol(姜晋哲)’s study on Korean periodization and production capacity to commemorate the 100th anniversary of his birth. The basic premise of his periodization was that he ...
In this article I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Kang Jin-Cheol(姜晋哲)’s study on Korean periodization and production capacity to commemorate the 100th anniversary of his birth. The basic premise of his periodization was that he regarded ‘the relations between the general farmer and government power’ as the main relations of production in Korean history. Exploitation forms of government power were adopted as a criterion for periodization of Korean history. His ideas of periodization depend on his own understandings about Goryo(高麗) dynasty’s conditions of production capacity such as the relations of the farmer to the land. A remarkable characteristic of his periodization is particularity and universality in historical development of Korea. Especially he focused the particular fact that in Korean history the main classes of production were general farmers exploited by government power.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종기, "고려전기 사회사 연구동향" 2 : 1989
2 矢澤康祐, "高麗・李朝社會論의 問題點-前近代朝鮮における國家の人民支配" 422 : 1975
3 "高麗史"
4 姜晋哲, "高麗の農莊についての問題意識" 74 : 1975
5 姜晋哲, "韓國社會의 歷史像" 一志社 1992
6 姜晋哲, "韓國社會의 歷史像" 一志社 1992
7 姜晋哲, "韓國史의 時代區分問題에 대하여" 31 : 1966
8 金龍德, "韓國史論 2" 國史編纂委員會 1981
9 李基東, "韓國史時代區分의 反省과 展望" 1996
10 姜晋哲, "韓國史時代區分論" 乙酉文化社 1970
1 박종기, "고려전기 사회사 연구동향" 2 : 1989
2 矢澤康祐, "高麗・李朝社會論의 問題點-前近代朝鮮における國家の人民支配" 422 : 1975
3 "高麗史"
4 姜晋哲, "高麗の農莊についての問題意識" 74 : 1975
5 姜晋哲, "韓國社會의 歷史像" 一志社 1992
6 姜晋哲, "韓國社會의 歷史像" 一志社 1992
7 姜晋哲, "韓國史의 時代區分問題에 대하여" 31 : 1966
8 金龍德, "韓國史論 2" 國史編纂委員會 1981
9 李基東, "韓國史時代區分의 反省과 展望" 1996
10 姜晋哲, "韓國史時代區分論" 乙酉文化社 1970
11 李基東, "韓國史時代區分論" 소화 1995
12 姜晋哲, "韓國史市民講座 3" 一潮閣 1988
13 姜晋哲, "韓國中世土地所有硏究" 一潮閣 1989
14 姜晋哲, "淑明女子大學校論文集 3" 1963
15 濱中昇, "朝鮮古代の經濟と社會" 法政大學出版局 1986
16 旗田巍, "朝鮮と日本人" 1983
17 梁秉祐, "時代와 時代區分" 37 : 1968
18 濱中昇, "姜晋哲, 「韓國史의 時代區分에 대한 一試論」" 37 : 1974
19 이인재, "20세기 후반 고려 전시과 연구의 定礎 -≪高麗土地制度史硏究≫를 통해본 강진철의 연구 성과와 의의-" 한국사연구회 (145) : 413-439, 2009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2-0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9-2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8 | 1.28 | 1.1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7 | 0.89 | 2.254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