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시설물 안전관리자의 실태조사 지식 및 태도가 제3종시설물 지정의 실천수준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060376

      • 저자
      • 발행사항

        청주 : 충북대학교, 2022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충북대학교 , 방재공학협동과정 , 2022. 2

      • 발행연도

        2022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530.98 판사항(5)

      • 발행국(도시)

        충청북도

      • 기타서명

        Analysis of the Effect of Facility Safety Manager's Knowledge and Attitude of Factual Survey on the Level of Practice of Designation of Class Three Facility

      • 형태사항

        vii,85 p. : 삽화, 표 ; 26cm

      • 일반주기명

        충북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됩니다
        지도교수:원정훈
        참고문헌 : p.57-61

      • UCI식별코드

        I804:43009-000000056742

      • 소장기관
        • 충북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prevent continuous collapse accidents and damage to life and property, the government established a safety innovation master plan and unified and strengthened the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which was dispersed by the Disaster Safety Act and the Facility Safety Act.
      However, collapse accidents of facilities continue to occur, and the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class 3 facility according to the actual condition of the facilities is insufficient. In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the person in charge of designating class 3 facility on the practice of designating class 3 facility. The cause of the low implementation rate of the designation of class 3 facility was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the person in charge of, knowledge was classified into institutional, managerial, and technical knowledge, and attitudes were classified into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attitudes to analyze whether they affect practice.
      As a result of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one-way ANOVA analysis showed that among the knowledge and attitude fields, the knowledge fields that did not reach the average score were technical knowledge, and the attitude fields were analyzed as emotional attitudes and behavioral attitudes.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practice were analyzed as technical knowledge in the knowledge field, cognitive and behavioral attitudes in the attitude field, and then technical knowledge.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alyzed that the field that has the most influence on the designation of class 3 facility is behavioral attitude, and the second is technical knowledge. Therefore, to improve the level of practice in the designation of class 3 facility, measures to improve the skills in the field of knowledge and cognition and behavior in the field of attitude are prepared to prevent disasters through systematic management of facilities, and the utility of facilities should be increased to ensure public safety.
      번역하기

      To prevent continuous collapse accidents and damage to life and property, the government established a safety innovation master plan and unified and strengthened the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which was dispersed by the Disaster Safety Act and...

      To prevent continuous collapse accidents and damage to life and property, the government established a safety innovation master plan and unified and strengthened the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which was dispersed by the Disaster Safety Act and the Facility Safety Act.
      However, collapse accidents of facilities continue to occur, and the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class 3 facility according to the actual condition of the facilities is insufficient. In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the person in charge of designating class 3 facility on the practice of designating class 3 facility. The cause of the low implementation rate of the designation of class 3 facility was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the person in charge of, knowledge was classified into institutional, managerial, and technical knowledge, and attitudes were classified into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attitudes to analyze whether they affect practice.
      As a result of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one-way ANOVA analysis showed that among the knowledge and attitude fields, the knowledge fields that did not reach the average score were technical knowledge, and the attitude fields were analyzed as emotional attitudes and behavioral attitudes.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practice were analyzed as technical knowledge in the knowledge field, cognitive and behavioral attitudes in the attitude field, and then technical knowledge.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alyzed that the field that has the most influence on the designation of class 3 facility is behavioral attitude, and the second is technical knowledge. Therefore, to improve the level of practice in the designation of class 3 facility, measures to improve the skills in the field of knowledge and cognition and behavior in the field of attitude are prepared to prevent disasters through systematic management of facilities, and the utility of facilities should be increased to ensure public safe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지속적인 붕괴 사고의 발생과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안전혁신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재난안전법과 시설물안전법으로 분산된 시설물 안전관리체계를 일원화하고 강화하였다.
      그러나 시설물의 붕괴사고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시설물의 실태조사에 따른 제3종시설물의 지정 및 관리도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3종시설물의 지정을 책임지고 있는 업무 담당자의 지식, 태도가 제3종시설물을 지정하는 실천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제3종시설물의 지정이 낮은 이행률의 원인을 업무 담당자의 지식 및 태도의 관점에서 살펴보았으며, 지식은 제도적, 관리적, 기술적 지식으로 분류하고 태도를 인지적, 감정적, 행동적 태도로 분류하여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술 통계량 및 일원배치 분산 분석결과 지식 및 태도 분야 중 평균 점수에 미달하는 지식분야는 기술적 지식, 태도 분야는 감정적 태도 및 행동적 태도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은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실천 수준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지식 분야에서는 기술적 지식, 태도 분야의 경우 인지 및 행동적 태도가 실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다음으로 기술적 지식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중회귀 분석 결과 제3종시설물의 지정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분야는 행동적 태도이며, 두 번째는 기술적 지식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제3종시설물 지정에 있어 실천 수준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지식 분야의 기술, 태도 분야의 인지 및 행동을 향상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시설물의 체계적인 관리로 재해와 재난을 예방하고, 시설물의 효용을 증대하여 공중의 안전을 확보하여야 한다.
      번역하기

      지속적인 붕괴 사고의 발생과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안전혁신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재난안전법과 시설물안전법으로 분산된 시설물 안전관리체계를 일원화하고...

      지속적인 붕괴 사고의 발생과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안전혁신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재난안전법과 시설물안전법으로 분산된 시설물 안전관리체계를 일원화하고 강화하였다.
      그러나 시설물의 붕괴사고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시설물의 실태조사에 따른 제3종시설물의 지정 및 관리도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3종시설물의 지정을 책임지고 있는 업무 담당자의 지식, 태도가 제3종시설물을 지정하는 실천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제3종시설물의 지정이 낮은 이행률의 원인을 업무 담당자의 지식 및 태도의 관점에서 살펴보았으며, 지식은 제도적, 관리적, 기술적 지식으로 분류하고 태도를 인지적, 감정적, 행동적 태도로 분류하여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술 통계량 및 일원배치 분산 분석결과 지식 및 태도 분야 중 평균 점수에 미달하는 지식분야는 기술적 지식, 태도 분야는 감정적 태도 및 행동적 태도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은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실천 수준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지식 분야에서는 기술적 지식, 태도 분야의 경우 인지 및 행동적 태도가 실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다음으로 기술적 지식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중회귀 분석 결과 제3종시설물의 지정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분야는 행동적 태도이며, 두 번째는 기술적 지식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제3종시설물 지정에 있어 실천 수준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지식 분야의 기술, 태도 분야의 인지 및 행동을 향상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시설물의 체계적인 관리로 재해와 재난을 예방하고, 시설물의 효용을 증대하여 공중의 안전을 확보하여야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 1.2 연구목적 4
      • 1.3 연구동향 5
      • 1.4 연구내용 및 방법 7
      • Ⅰ. 서 론 1
      •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 1.2 연구목적 4
      • 1.3 연구동향 5
      • 1.4 연구내용 및 방법 7
      • Ⅱ. 이론적 배경 8
      • 2.1 지식 태도 실천의 개념 8
      • 2.2 분산분석 및 다중회귀 분석 기법 13
      • 2.2.1 일원배치 분산분석의 기법 13
      • 2.2.2 다중회귀 분석의 기법 14
      • 2.2.3 다중회귀모델 구축 방법 15
      • Ⅲ. 안전관리자의 지식, 태도, 실천 수준 및 개선방안 18
      • 3.1 용어의 정의 18
      • 3.1.1 제3종시설물 18
      • 3.1.2 제3종시설물에 대한 지식, 태도, 실천 18
      • 3.2 연구가설 19
      • 3.3 설문조사의 설계 20
      • 3.3.1 설문지의 구성 20
      • 3.3.2 설문조사의 개요 23
      • 3.3.3 설문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24
      • 3.4 설문 응답자의 제3종시설물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26
      • 3.4.1 제3종시설물에 대한 기술 통계량 26
      • 3.4.2 제3종시설물에 대한 지식 26
      • 3.4.3 제3종시설물에 대한 태도 29
      • 3.4.4 제3종시설물에 대한 실천 30
      • 3.5 지식 태도 실천에 대한 일원배치 분산분석 결과 33
      • 3.5.1 집단별 지식 수준의 차이에 대한 분석 33
      • 3.5.2 집단별 태도 수준의 차이에 대한 분석 38
      • 3.5.3 집단별 실천 수준의 차이에 대한 분석 43
      • 3.6 제3종시설물 지정 이행 실천도에 대한 다중회귀 분석 결과 44
      • 3.6.1 지식 및 태도와 실천과의 상관관계 분석 44
      • 3.6.2 다중회귀 분석 결과 46
      • 3.7. 개선방안 51
      • 3.7.1 지식분야 개선방안 51
      • 3.7.2 태도분야 개선방안 52
      • Ⅳ. 결 론 54
      • 참고문헌 57
      • 국문요약 62
      • 부록 1. 설문지 63
      • 부록 2. 시설물의 붕괴 현황 및 안전점검 제도 7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