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공연 활성화를 위한 문화환경 조성방안 사례연구 = (A) study on the environment for cultural perform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544769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09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09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658.1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 145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김규원
        참고문헌 : p. 141-143

      • 소장기관
        •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들어 문화라는 용어가 많이 사용된다. 공연, 국악 등의 문화예술과 게임, 영화 등의 문화산업에 이르기까지 어느 사이에 우리 가까이에 와 있으며 일부 해외대작에 치중되기는 하지만 대형 공연물이 성황리에 공연되고 영화와 게임, 드라마 등을 중심으로 한 문화산업이 한류 붐을 일으키며 아시아를 비롯하여 급속하게 전파되어 우리나라와 상품에 대한 부가가치를 높여주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일반국민이 문화에 대하여 가지는 관심도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으며 그 관심은 일반국민에만 그치지 않고 여러 분야에서 문화에 대한 관심증대로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지역에서는 지역 브랜드 상승과 지역의 차기 전략산업으로서 문화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으며, 차기 전략산업 정도는 아니어도 지역의 문화자원을 관광과 접목시켜 지역을 널리 알리고자 노력하고 있다.
      문화를 향유하고 창작하고 생산하고 소비하기 위해서는 많은 요소들이 필요하게 되며 그 요소들은 시설, 장비, 공간, 인력, 기술, 자본, 정책 등으로 열거해 볼 수 있으며 그 자체가 문화라고 할 수 있는 것들도 있지만 대부분 문화가 창작되고 향유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들이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요소의 구성을 다루고자 하며 이를 문화환경이라고 하고자 한다.
      문화환경은 문화를 창작하고 향유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그릇(container)'이나 ‘배경(backdrop)'이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단위를 국가와 지역으로 구분하고 지역을 다시 광역과 기초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문화환경은 그 중에 지역단위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으며 문화와 관련하여 지자체는 최근 들어 상당할 정도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문화와 관련된 지자체의 이러한 노력은 관점에 따라 다르겠지만, ‘부산영화제와 영상산업’, ‘광주비엔날레와 문화중심도시’, ‘전주한옥마을’, ‘정선5일장과 정선아리랑’, ‘대구의 담장 허물기’, ‘함평나비축제’, ‘안산의 단원미술제’ 등에서 소기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
      문화환경을 조성하고 활용하는 궁극적인 이유는 문화환경의 시너지를 통하여 일상의 문화예술 활동을 증진시킴으로써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서는 문화와 연계를 통하여 문화적 저력이 지역이나 국가의 경쟁력을 확보하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도 이제 선진국형 생산과 여가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새로운 문화를 창출해야 할 단계에 와있다. 최근 세계적인 경제적 불황의 여파로 인하여 어려워지고는 있지만, 계속적인 경제성장을 거듭하면서 소득 향상과 가처분 소득의 증대(기회), 주5일제 근무제의 확대에 따른 여가시간의 증대(시간), 교통의 발달에 따른 여가 공간의 접근성 향상(공간), 정보통신의 발전에 따른 생산 공간의 재택화 등 다양한 변화는 문화환경의 조성방향에도 적지 않은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여가시간이 증가하더라도 먼 곳을 여행하면서 다른 문화를 체험하며 즐길 수 있는 기회는 많지 않다. 특히 소득이 낮거나 자영업에 종사함으로 인하여 여가를 즐기기에 여유가 없거나 재택근무를 하여 여가시간이 불규칙적이거나 노약자라서 이동능력에 제한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더욱 그러하다.
      이런 상황에서 앞으로 문화환경은 바로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근하여 즐길 수 있는 문화기반시설이고, 또 일상생활이 이루어지는 보통 환경(문화시설, 동네, 공원 등)일 것이며, 그 문화환경을 매개로 하여 펼치고 즐길 수 있는 문화의 콘텐츠 또한 일상성이 강조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책 입안 시 기획서나 제안서에는 근거와 사례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때 문화환경과 관련된 사례로써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지향점이 있다. 본 논문에 소개된 사례 이외에도 많은 사례가 존재하지만, 문화관광부에서 3년간 진행한 '문화환경가꾸기' 사업을 통해서 소개된 사업을 정리하고 나아가 국내·외의 다양한 문화환경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정책입안자들이 문화환경 관련 정책 입안 시 본 논문을 통해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정리함으로써 정책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데 유용하게 논문을 참고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번역하기

      최근 들어 문화라는 용어가 많이 사용된다. 공연, 국악 등의 문화예술과 게임, 영화 등의 문화산업에 이르기까지 어느 사이에 우리 가까이에 와 있으며 일부 해외대작에 치중되기는 하지만 ...

      최근 들어 문화라는 용어가 많이 사용된다. 공연, 국악 등의 문화예술과 게임, 영화 등의 문화산업에 이르기까지 어느 사이에 우리 가까이에 와 있으며 일부 해외대작에 치중되기는 하지만 대형 공연물이 성황리에 공연되고 영화와 게임, 드라마 등을 중심으로 한 문화산업이 한류 붐을 일으키며 아시아를 비롯하여 급속하게 전파되어 우리나라와 상품에 대한 부가가치를 높여주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일반국민이 문화에 대하여 가지는 관심도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으며 그 관심은 일반국민에만 그치지 않고 여러 분야에서 문화에 대한 관심증대로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지역에서는 지역 브랜드 상승과 지역의 차기 전략산업으로서 문화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으며, 차기 전략산업 정도는 아니어도 지역의 문화자원을 관광과 접목시켜 지역을 널리 알리고자 노력하고 있다.
      문화를 향유하고 창작하고 생산하고 소비하기 위해서는 많은 요소들이 필요하게 되며 그 요소들은 시설, 장비, 공간, 인력, 기술, 자본, 정책 등으로 열거해 볼 수 있으며 그 자체가 문화라고 할 수 있는 것들도 있지만 대부분 문화가 창작되고 향유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들이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요소의 구성을 다루고자 하며 이를 문화환경이라고 하고자 한다.
      문화환경은 문화를 창작하고 향유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그릇(container)'이나 ‘배경(backdrop)'이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단위를 국가와 지역으로 구분하고 지역을 다시 광역과 기초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문화환경은 그 중에 지역단위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으며 문화와 관련하여 지자체는 최근 들어 상당할 정도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문화와 관련된 지자체의 이러한 노력은 관점에 따라 다르겠지만, ‘부산영화제와 영상산업’, ‘광주비엔날레와 문화중심도시’, ‘전주한옥마을’, ‘정선5일장과 정선아리랑’, ‘대구의 담장 허물기’, ‘함평나비축제’, ‘안산의 단원미술제’ 등에서 소기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
      문화환경을 조성하고 활용하는 궁극적인 이유는 문화환경의 시너지를 통하여 일상의 문화예술 활동을 증진시킴으로써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서는 문화와 연계를 통하여 문화적 저력이 지역이나 국가의 경쟁력을 확보하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도 이제 선진국형 생산과 여가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새로운 문화를 창출해야 할 단계에 와있다. 최근 세계적인 경제적 불황의 여파로 인하여 어려워지고는 있지만, 계속적인 경제성장을 거듭하면서 소득 향상과 가처분 소득의 증대(기회), 주5일제 근무제의 확대에 따른 여가시간의 증대(시간), 교통의 발달에 따른 여가 공간의 접근성 향상(공간), 정보통신의 발전에 따른 생산 공간의 재택화 등 다양한 변화는 문화환경의 조성방향에도 적지 않은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여가시간이 증가하더라도 먼 곳을 여행하면서 다른 문화를 체험하며 즐길 수 있는 기회는 많지 않다. 특히 소득이 낮거나 자영업에 종사함으로 인하여 여가를 즐기기에 여유가 없거나 재택근무를 하여 여가시간이 불규칙적이거나 노약자라서 이동능력에 제한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더욱 그러하다.
      이런 상황에서 앞으로 문화환경은 바로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근하여 즐길 수 있는 문화기반시설이고, 또 일상생활이 이루어지는 보통 환경(문화시설, 동네, 공원 등)일 것이며, 그 문화환경을 매개로 하여 펼치고 즐길 수 있는 문화의 콘텐츠 또한 일상성이 강조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책 입안 시 기획서나 제안서에는 근거와 사례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때 문화환경과 관련된 사례로써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지향점이 있다. 본 논문에 소개된 사례 이외에도 많은 사례가 존재하지만, 문화관광부에서 3년간 진행한 '문화환경가꾸기' 사업을 통해서 소개된 사업을 정리하고 나아가 국내·외의 다양한 문화환경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정책입안자들이 문화환경 관련 정책 입안 시 본 논문을 통해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정리함으로써 정책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데 유용하게 논문을 참고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se days the term, 'culture', is recently widely acceptable, while much emphasis is laid on culture-related intangible industry such as performance, Korean classical music including game and film as a means of enhancing the national brands and generating value-added effect in economy. Amidst the tendency to pay much attention on culture, performance becomes important all the more, being considered as a key role for the territorial development by acting as a tool to upgrade the local brand and tourist marketing.
      Performance is composed of such elements as facility, equipment, space, manpower, technology, finance and policy, which specifies the environment for cultural performance. The objective of the environment for cultural performance is to improve quality of life for residents that leads to strengthened competitiveness locally.
      In this context, the environment for cultural performance must be designed in a manner of easier accessibility to the related facilities affordable for everyday life in ordinary places like roads, towns or parks. The study aims at providing the definition of the environment for cultural performance as well as its constituent factors including comparative case analysis in an attempt to suggest practical orientations for policy-making.
      번역하기

      These days the term, 'culture', is recently widely acceptable, while much emphasis is laid on culture-related intangible industry such as performance, Korean classical music including game and film as a means of enhancing the national brands and gener...

      These days the term, 'culture', is recently widely acceptable, while much emphasis is laid on culture-related intangible industry such as performance, Korean classical music including game and film as a means of enhancing the national brands and generating value-added effect in economy. Amidst the tendency to pay much attention on culture, performance becomes important all the more, being considered as a key role for the territorial development by acting as a tool to upgrade the local brand and tourist marketing.
      Performance is composed of such elements as facility, equipment, space, manpower, technology, finance and policy, which specifies the environment for cultural performance. The objective of the environment for cultural performance is to improve quality of life for residents that leads to strengthened competitiveness locally.
      In this context, the environment for cultural performance must be designed in a manner of easier accessibility to the related facilities affordable for everyday life in ordinary places like roads, towns or parks. The study aims at providing the definition of the environment for cultural performance as well as its constituent factors including comparative case analysis in an attempt to suggest practical orientations for policy-mak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취지와 목적 = 1
      • 2. 연구방법 및 제한점 = 3
      • 3. 선행연구의 개요 = 5
      • Ⅱ. 문화환경(문화환경가꾸기) 추진사업 = 6
      • Ⅰ. 서론 = 1
      • 1. 연구의 취지와 목적 = 1
      • 2. 연구방법 및 제한점 = 3
      • 3. 선행연구의 개요 = 5
      • Ⅱ. 문화환경(문화환경가꾸기) 추진사업 = 6
      • 1. 사업의 개요 - 문화환경가꾸기는 국가정책사업 = 6
      • 2. 연도별 사업현황 = 9
      • Ⅲ. 공연 문화환경의 현황(국내) = 19
      • 1. 지역문화 환경 = 19
      • 2. 문화예술 환경 = 29
      • 3. 역사문화 환경 = 38
      • 4. 생활문화 환경 = 51
      • 5. 문화산업 환경 = 64
      • 6. 문화관광 환경 = 82
      • 7. 복합문화 환경 = 88
      • Ⅳ. 공연 문화환경의 사례(해외) = 106
      • 1. 프랑스 사례 = 106
      • 2. 일본 사례 = 110
      • 3. 중국 (상해시-소주) 사례 = 115
      • Ⅴ. 공연 문화환경의 분석 및 조성방안 = 120
      • 1. 공연 문화환경 비교분석 = 120
      • 1) 문화예술 환경 분석 = 124
      • 2) 역사문화 환경 분석 = 125
      • 3) 생활문화 환경 분석 = 126
      • 4) 문화산업 환경 분석 = 127
      • 5) 문화관광 환경 분석 = 128
      • 2. 공연 문화환경 조성방안 = 129
      • 1) 조성의 방향 = 131
      • 2) 조성의 개선사항 = 133
      • Ⅵ. 결론 및 제언 = 136
      • 참고문헌 = 141
      • ABSTRACT = 14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