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대수부터 악동뮤지션까지의 흐름으로 본 한국 포크음악 생명력에 관한 연구 = The study on life force of Korean fork music observed by the flow from Han Dae Su to Rascal Musici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242897

      • 저자
      • 발행사항

        부산 :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3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3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676.7 판사항(5)

      • 발행국(도시)

        부산

      • 형태사항

        vii, 114 p. : 삽도, 악보 ; 27 cm

      • 일반주기명

        동의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참고문헌: p. 110-112

      • 소장기관
        • 동의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디 거스리(Woody Guthrie)와 피트 시거(Pete Seeger)로부터 시작된 모던 포크 음악(Modern Fork Music)은, 종주국 격인 미국을 넘어 세계 수 많은 국가에서 오랜 기간 사랑받는 가장 대중적인 음악 장르 중 하나이다. 대한민국 내에서도 포크음악은, 일본에 ‘엔카(演歌)’의 영향을 받은 트로트와 더불어 가장 오래, 그리고 가장 보편적으로 사랑 받는 장르로 자리 잡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단순히 한국 포크음악의 역사가 아닌, 그것들에 내재된 ‘특별한 힘’에 대한 연구를 해보고자 한다. 국내 포크 뮤지션들과 그들이 만들어 내는 음악 안에 어떠한 특별함이 있기에 성별, 연령, 생활양식 등을 뛰어넘는 공통분모를 만들어 낼 수 있었는지에 대하여 고찰해 보기로 한다.

      1960년대 말, 대한민국 최초의 포크 싱어 송 라이터 한대수의 등장으로부터 시작된 한국 포크음악의 역사는, 김민기와 ‘노찾사’등을 거치며 ‘저항과 민중가요’로 애창되면서 자리를 잡기 시작하였다. 그 후 군사정권의 독재의 그늘을 벗어나자 김광석과 같은 뮤지션들에 의해 ‘대중의 가요’로 완전히 자리 잡게 된다. 이후 댄스음악의 급성장과 아이돌 가수들의 등장으로 인해 설 자리를 잃어가는 듯 했으나, 홍대를 중심으로 생겨난 인디포크뮤지션들의 활발한 활동과 제이슨 므라즈와 같은 해외 뮤지션들의 국내 인지도 상승, 오디션 프로그램에서의 포크음악 재조명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다시금 가장 인기 있는 장르로 재도약하기에 이르렀다.

      포크음악이 이렇듯 지속적으로 사랑을 받는 이유를 연구 해본 결과 몇 가지의 결론을 낼 수 있었다.
      첫째, 기타라는 악기의 특성을 빼 놓을 수 없겠다. 조금만 연습하면 누구나 쉽게 연주가 가능하다. 비교적 저렴하며, 상대적으로 휴대가 용이하다. 좋아하는 뮤지션의 음악을 따라하고 싶은 대중에 욕구를 가장 쉽게 충족시키는 악기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비교적 복잡하지 않은 화성과 멜로디, 그렇지만 결코 지루하지 않은 곡의 흐름을 들 수 있다. 현 시대의 전체적인 음악수준을 고려해 봤을 때 포크음악의 화성과 편곡은 비교적 원초적이며 단순하다 말할 수 있다. 하지만 대중은 그 단순함에서 오히려 편안함과 친근함을 느낀다.
      셋째, 모든 포크 뮤지션들은 싱어 송 라이터였다는 점이다. 그리고 그들이 곡을 쓰는 방식은 다른 장르의 싱어 송 라이터들이나 일반 작곡가들과는 다른 특징을 갖는다. 마음에 드는 멜로디나 화성진행을 만들어 두고 그 음절에 맞는 가사를 끼워 맞추는 것이 아니라. 곡의 소재를 먼저 선정하는 방식을 선호한다. 살면서 느끼게 되는 그 모든 것들에 대한 이야기를 그저 선율위에 얹어 표현하는 형태로 곡을 쓰는 이가 대부분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그 주제가 무엇이 되었든 그들은 자유롭게 표현한다. 그리하여 보통의 다른 대중통속가요와는 다르게 소재가 다양할 수 있는 것이다.
      그들의 노랫말은 모두 뮤지션 그 자신의 삶의 편린(片鱗)이며, 그 자체로 시(詩)이자 메시지이다. 그리하여 그 음악을 듣는 대중들은 누군가도 나와 다르지 않음에 위로를 받고 동질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예술을 통한 공감(共感)의 가장 이상적인 형태 일 것이다.

      이러한 것들이 포크음악이 널리 사랑받는 이유이며, 변함없이 사랑받을 것 이라는 확신을 갖게 하는 근거이다.
      번역하기

      우디 거스리(Woody Guthrie)와 피트 시거(Pete Seeger)로부터 시작된 모던 포크 음악(Modern Fork Music)은, 종주국 격인 미국을 넘어 세계 수 많은 국가에서 오랜 기간 사랑받는 가장 대중적인 음악 장르 ...

      우디 거스리(Woody Guthrie)와 피트 시거(Pete Seeger)로부터 시작된 모던 포크 음악(Modern Fork Music)은, 종주국 격인 미국을 넘어 세계 수 많은 국가에서 오랜 기간 사랑받는 가장 대중적인 음악 장르 중 하나이다. 대한민국 내에서도 포크음악은, 일본에 ‘엔카(演歌)’의 영향을 받은 트로트와 더불어 가장 오래, 그리고 가장 보편적으로 사랑 받는 장르로 자리 잡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단순히 한국 포크음악의 역사가 아닌, 그것들에 내재된 ‘특별한 힘’에 대한 연구를 해보고자 한다. 국내 포크 뮤지션들과 그들이 만들어 내는 음악 안에 어떠한 특별함이 있기에 성별, 연령, 생활양식 등을 뛰어넘는 공통분모를 만들어 낼 수 있었는지에 대하여 고찰해 보기로 한다.

      1960년대 말, 대한민국 최초의 포크 싱어 송 라이터 한대수의 등장으로부터 시작된 한국 포크음악의 역사는, 김민기와 ‘노찾사’등을 거치며 ‘저항과 민중가요’로 애창되면서 자리를 잡기 시작하였다. 그 후 군사정권의 독재의 그늘을 벗어나자 김광석과 같은 뮤지션들에 의해 ‘대중의 가요’로 완전히 자리 잡게 된다. 이후 댄스음악의 급성장과 아이돌 가수들의 등장으로 인해 설 자리를 잃어가는 듯 했으나, 홍대를 중심으로 생겨난 인디포크뮤지션들의 활발한 활동과 제이슨 므라즈와 같은 해외 뮤지션들의 국내 인지도 상승, 오디션 프로그램에서의 포크음악 재조명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다시금 가장 인기 있는 장르로 재도약하기에 이르렀다.

      포크음악이 이렇듯 지속적으로 사랑을 받는 이유를 연구 해본 결과 몇 가지의 결론을 낼 수 있었다.
      첫째, 기타라는 악기의 특성을 빼 놓을 수 없겠다. 조금만 연습하면 누구나 쉽게 연주가 가능하다. 비교적 저렴하며, 상대적으로 휴대가 용이하다. 좋아하는 뮤지션의 음악을 따라하고 싶은 대중에 욕구를 가장 쉽게 충족시키는 악기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비교적 복잡하지 않은 화성과 멜로디, 그렇지만 결코 지루하지 않은 곡의 흐름을 들 수 있다. 현 시대의 전체적인 음악수준을 고려해 봤을 때 포크음악의 화성과 편곡은 비교적 원초적이며 단순하다 말할 수 있다. 하지만 대중은 그 단순함에서 오히려 편안함과 친근함을 느낀다.
      셋째, 모든 포크 뮤지션들은 싱어 송 라이터였다는 점이다. 그리고 그들이 곡을 쓰는 방식은 다른 장르의 싱어 송 라이터들이나 일반 작곡가들과는 다른 특징을 갖는다. 마음에 드는 멜로디나 화성진행을 만들어 두고 그 음절에 맞는 가사를 끼워 맞추는 것이 아니라. 곡의 소재를 먼저 선정하는 방식을 선호한다. 살면서 느끼게 되는 그 모든 것들에 대한 이야기를 그저 선율위에 얹어 표현하는 형태로 곡을 쓰는 이가 대부분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그 주제가 무엇이 되었든 그들은 자유롭게 표현한다. 그리하여 보통의 다른 대중통속가요와는 다르게 소재가 다양할 수 있는 것이다.
      그들의 노랫말은 모두 뮤지션 그 자신의 삶의 편린(片鱗)이며, 그 자체로 시(詩)이자 메시지이다. 그리하여 그 음악을 듣는 대중들은 누군가도 나와 다르지 않음에 위로를 받고 동질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예술을 통한 공감(共感)의 가장 이상적인 형태 일 것이다.

      이러한 것들이 포크음악이 널리 사랑받는 이유이며, 변함없이 사랑받을 것 이라는 확신을 갖게 하는 근거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목적 1
      • 2. 연구의 방법 2
      • Ⅱ. 자유라 쓰고 저항이라 읽는다, ‘포크’ 3
      • 1. 포크음악의 상징, 밥 딜런 3
      • Ⅰ. 서론 1
      • 1. 연구의 목적 1
      • 2. 연구의 방법 2
      • Ⅱ. 자유라 쓰고 저항이라 읽는다, ‘포크’ 3
      • 1. 포크음악의 상징, 밥 딜런 3
      • 2. 한국의 밥 딜런, 한 대수 9
      • 3. 노래하는 화가, 김민기 15
      • 4. 민중가요 노래패, 노찾사, 그리고 안치환 22
      • Ⅲ. 저항의 노래에서 대중의 노래로 29
      • 1. 가객, 김광석 29
      • 2. 새로온 색깔의 노래패, 여행스케치 37
      • 3. 한국 Fork Rock의 아이콘, 강산에 45
      • Ⅳ. 루시드 폴, 그리고 인디 포크 45
      • 1. 홍대 혁명, 그리고 ‘포크’ 53
      • 2. 감성 포크 뮤지션, 루시드 폴 56
      • 3. 진정한 독립, 홈레코딩과 포크 뮤지션 64
      • 4. 인디의 벽을 허물다, 10cm 70
      • Ⅴ. 제이슨 므라즈, 그리고 아이돌 80
      • 1. 새로운 바람, 제이슨 므라즈 80
      • 2. 므라즈 Kids의 등장 89
      • 3. 뮤지션과 아이돌의 Fusion, 버스커 버스커 94
      • 4. 한국 포크음악의 현재, 악동뮤지션 100
      • Ⅵ. 결론 107
      • 참고문헌 110
      • 영문초록 1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