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트레스 취약성이 스트레스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스트레스 취약성이 스트레스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교 3, 4학년 및 20대 후반∼40대 초반 성인을 대상으로 평균 4.5주의 기간을 두고 통합스트레...

      이 연구는 스트레스 취약성이 스트레스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교 3, 4학년 및 20대 후반∼40대 초반 성인을 대상으로 평균 4.5주의 기간을 두고 통합스트레스검사(IESS)를 2회 실시하여 측정시기에 따라 스트레스 취약성의 스트레스 수준에 대한 설명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스트레스 취약성과 스트레스 수준의 모든 척도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r=0.18∼0.47). 측정시기에 따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종합한 결과 스트레스 취약성 척도 중 완벽주의와 회피가 스트레스 수준에 대한 설명력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스트레스 취약성은 향후의 스트레스 수준을 유의하게 설명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스트레스 취약성과 스트레스 수준으로 구성된 IESS이 향후의 스트레스를 예측하는데 활용될 수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This study was aimed to test the power of explanation of stress vulnerability for stress level, which is the subscales of IESS. Methods: 237 University students (3∼4 grade) and late 20∼early 40’s administered IESS twice and these ...

      Background: This study was aimed to test the power of explanation of stress vulnerability for stress level, which is the subscales of IESS.
      Methods: 237 University students (3∼4 grade) and late 20∼early 40’s administered IESS twice and these data were analyzed.
      Results: Correlation between all scales of stress vulnerability and stress level were positively significant (r=0.18∼0.47).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uggested that regardless of test time, perfectionism and avoidance scale of stress vulnerability had the biggest explanation power for stress level and stress vulnerability could explain the future stress level significantly.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ESS which is consisted with stress vulnerability and stress level might be utilized to predict future stre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Key messages
      • Abstract
      • 서론
      • 연구방법
      • 결과
      • Key messages
      • Abstract
      • 서론
      • 연구방법
      • 결과
      • 고찰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의연, "한국, 일본, 중국 대학생의 사회적 지원과 자기효능감이 스트레스 지각과 웰빙에 미치는 영향 비교분석" 한국인간발달학회 20 (20): 105-127, 2013

      2 김정민, "청소년 스트레스와 신체화 증상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대한스트레스학회 23 (23): 187-196, 2016

      3 정은주, "직장인의 직무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 전략에 관한 성차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 : 137-162, 2012

      4 김청송, "정동강도와 신경증적 경향성이 스트레스경험에 미치는 영향" 한국건강심리학회 9 (9): 923-934, 2004

      5 박문규, "스트레스와 신체화 간의 관계에서 걱정의 매개 효과" 대한스트레스학회 19 (19): 361-369, 2011

      6 노지윤, "수용-전념치료(ACT)가 과도하게 걱정하는 대학생들의 걱정증상, 상태 및 특성불안,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정서 조절 및 경험회피에 미치는 영향" 한국건강심리학회 21 (21): 909-923, 2016

      7 주영주, "사이버대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와 성취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 과제가치의 조절효과" 원격교육연구소 8 (8): 73-92, 2012

      8 이혜련, "사립 유치원 교사의 신경증적 경향성 및 성실성 성격변인과 직무 스트레스 및 대처방식과의 관계" 교육연구원 30 (30): 273-294, 2014

      9 김경희, "대학생의 학업 및 진로 스트레스, 수용행동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모형 검증" 한국인간발달학회 21 (21): 43-60, 2014

      10 이용길,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진로결정효능감 분석 - 공학 및 사회계열을 중심으로" 한국공학교육학회 14 (14): 60-67, 2011

      1 김의연, "한국, 일본, 중국 대학생의 사회적 지원과 자기효능감이 스트레스 지각과 웰빙에 미치는 영향 비교분석" 한국인간발달학회 20 (20): 105-127, 2013

      2 김정민, "청소년 스트레스와 신체화 증상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대한스트레스학회 23 (23): 187-196, 2016

      3 정은주, "직장인의 직무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 전략에 관한 성차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 : 137-162, 2012

      4 김청송, "정동강도와 신경증적 경향성이 스트레스경험에 미치는 영향" 한국건강심리학회 9 (9): 923-934, 2004

      5 박문규, "스트레스와 신체화 간의 관계에서 걱정의 매개 효과" 대한스트레스학회 19 (19): 361-369, 2011

      6 노지윤, "수용-전념치료(ACT)가 과도하게 걱정하는 대학생들의 걱정증상, 상태 및 특성불안,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정서 조절 및 경험회피에 미치는 영향" 한국건강심리학회 21 (21): 909-923, 2016

      7 주영주, "사이버대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와 성취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 과제가치의 조절효과" 원격교육연구소 8 (8): 73-92, 2012

      8 이혜련, "사립 유치원 교사의 신경증적 경향성 및 성실성 성격변인과 직무 스트레스 및 대처방식과의 관계" 교육연구원 30 (30): 273-294, 2014

      9 김경희, "대학생의 학업 및 진로 스트레스, 수용행동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모형 검증" 한국인간발달학회 21 (21): 43-60, 2014

      10 이용길,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진로결정효능감 분석 - 공학 및 사회계열을 중심으로" 한국공학교육학회 14 (14): 60-67, 2011

      11 강슬아,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우울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3 (23): 77-98, 2016

      12 노상선, "대학생의 자기 자비와 생활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반추와 우울의 매개 역할" 한국임상심리학회 33 (33): 735-754, 2014

      13 고현정, "대학생의 몰입이 스트레스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몰입의 조절효과와 대처방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한스트레스학회 21 (21): 283-292, 2014

      14 조선희, "대학생 취업스트레스와 영향요인" 대한스트레스학회 23 (23): 79-89, 2015

      15 Catalano R, "Unemployment and civil commitment: a test of the intolerance hypothesis" 33 (33): 185-280, 2007

      16 Brosschot JF, "The perseverative cognition hypothesis: A review of worry, prolonged on stress-related physiological activation, and health" 60 : 113-124, 2006

      17 Frost RO, "The dimension of perfectionism" 14 : 449-468, 1990

      18 Park HJ, "The characteristics of positive and negative perfectionism" Ajou University 2009

      19 Morris JA,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21 (21): 986-1010, 1996

      20 Hamilton TK, "The Cost of Being Perfect: Perfectionism and Suicide Ideation in University Students" 34 (34): 829-835, 2000

      21 Tyrer P, "The Core Elements of Neurosis: Mixed Anxiety-Depression (Cothymia) and Personality Disorder" 17 : 129-138, 2003

      22 House JS, "Structures and Processes of Social Support" 14 (14): 293-318, 1988

      23 Jung KY, "Stress zero technic" Random House Korea 2006

      24 Hong SW, "Stress level and vulnerability of Chi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5 Kaplan HB, "Psychosocial stress: Perspectives on structure, theory, life-course, and methods" Academic Press 1996

      26 Frost RO, "Perfectionism and Reactions to Athletic Competition" 13 (13): 323-335, 1991

      27 Kim BS, "Integrated Evaluation of Stress and Stress Vulnerability" Hakjisa Press 2017

      28 Statistic Korea, "Impulse of suicide and the reasons of populations over 13"

      29 Parkinson B., "Ideas and realities of emotion" Routledge 1995

      30 Selye H, "History and present status of the stress concept;Handbook of stress: Theoretical and clinical aspects" Free Press 1982

      31 Asakawa K, "Flow experience, culture, and well-being: How do autotelic japanese college students feel, behave, and think in their daily lives?" 11 : 205-223, 2010

      32 Burks N., "Everyday problems and life change events: Ongoing versus acute sources of stress" 11 (11): 27-35, 1985

      33 Middleton WR., "Emotional Style: The Cultural Ordering of Emotions" 17 (17): 187-201, 1989

      34 Felton BJ, "Coping with chronic illness: A study of illness controllability and the influence of coping strategies on psychological adjustment" 52 (52): 343-353, 1984

      35 King LA, "Conflict over emotional expressi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correlates" 58 (58): 864-877, 1990

      36 Folkman S, "An Analysis of Coping in a Middle-Aged Community Sample" 21 (21): 219-239, 1980

      37 Hayes SC,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Model, processes and outcomes" 44 (44): 1-25, 2006

      38 Hayes SC,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ltering the Verbal Support for Experiential Avoidance" 17 (17): 289-303, 1994

      39 Block-Lerner J, "ACT in context" 16 : 443-456,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7-03-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 stress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6-30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신심스트레스학회 -> 대한스트레스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Biosociobehavioral Science -> The Korean Society of Stress Medicine
      2006-06-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신심스트레스학회 -> 대한스트레스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Biosociobehavioral Science -> The Korean Society of Stress Medicin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6 1.76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1 1.44 2.211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