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일기 텍스트에 나타난 양태 표현 연구 - 서술부 양태 표현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Modal Expression on the Diary Text of 1st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059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 Jeong A, Nam Kyoung Woan. 2012. A Study on the Modal Expression on the Diary Text of 1st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Korean Semantics, 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ing aspect of modal expression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ary text. In chapter2, we investigate the pattern of modal expressions in their diary text that is divided into lexical type and grammatical type, and also into simple construction type and complex construction type. In chapter3, we classified the diary text into six semantic types according to the base meaning of modal expression, i.e. emotion, intention, supposition, possibility, assertion, obligation. Naturally the modal expressions in elementary students' diary text is less diverse than general adults' text, but we can find their some special features. Firstly, in the initial time of 1st elementary school, the modal expression that shows the speaker's thoughts or emotions is hardly appeared, their text is constructed by just statements about events of that day or by just simple sentence commenting the whole events. After that, they can organize the complex structure of <Events+Comments> by each events separatively. Secondly, the most frequent misuses in the modal expressions are caused by mismatching the other grammatical unit like tense, aspect morphemes.
      번역하기

      An Jeong A, Nam Kyoung Woan. 2012. A Study on the Modal Expression on the Diary Text of 1st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Korean Semantics, 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ing aspect of modal expression on the elementary s...

      An Jeong A, Nam Kyoung Woan. 2012. A Study on the Modal Expression on the Diary Text of 1st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Korean Semantics, 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ing aspect of modal expression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ary text. In chapter2, we investigate the pattern of modal expressions in their diary text that is divided into lexical type and grammatical type, and also into simple construction type and complex construction type. In chapter3, we classified the diary text into six semantic types according to the base meaning of modal expression, i.e. emotion, intention, supposition, possibility, assertion, obligation. Naturally the modal expressions in elementary students' diary text is less diverse than general adults' text, but we can find their some special features. Firstly, in the initial time of 1st elementary school, the modal expression that shows the speaker's thoughts or emotions is hardly appeared, their text is constructed by just statements about events of that day or by just simple sentence commenting the whole events. After that, they can organize the complex structure of <Events+Comments> by each events separatively. Secondly, the most frequent misuses in the modal expressions are caused by mismatching the other grammatical unit like tense, aspect morphem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경희, "현대국어의 양태범주 연구" 탑출판사 1985

      2 임동훈, "한국어의 서법과 양태 체계" 한국어의미학회 26 : 211-248, 2008

      3 안주호, "한국어 추측 표현의 통사 의미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68) : 97-121, 2004

      4 박재연, "한국어 양태 어미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5 한송화, "한국어 보조용언의 상적 기능과 양태기능, 화행적 기능에 대한 연구-‘하다’를 중심으로" 11 (11): 189-209, 2000

      6 van Dijk, T. A., "텍스트학" 민음사 1995

      7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텍스트언어학의 이해" 도서출판 박이정 2004

      8 Beaugrande, R, "텍스트 언어학 입문" 한신문화사 1995

      9 강현주, "추측과 의지의 양태 표현 '-겠'과 '-(으)ㄹ 것이다'의 교육 방안 연구" 이중언어학회 (43) : 29-53, 2010

      10 서혁, "초등학생의 텍스트성 발달에 관한 사례 연구-일기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8 : 315-349, 1998

      1 장경희, "현대국어의 양태범주 연구" 탑출판사 1985

      2 임동훈, "한국어의 서법과 양태 체계" 한국어의미학회 26 : 211-248, 2008

      3 안주호, "한국어 추측 표현의 통사 의미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68) : 97-121, 2004

      4 박재연, "한국어 양태 어미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5 한송화, "한국어 보조용언의 상적 기능과 양태기능, 화행적 기능에 대한 연구-‘하다’를 중심으로" 11 (11): 189-209, 2000

      6 van Dijk, T. A., "텍스트학" 민음사 1995

      7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텍스트언어학의 이해" 도서출판 박이정 2004

      8 Beaugrande, R, "텍스트 언어학 입문" 한신문화사 1995

      9 강현주, "추측과 의지의 양태 표현 '-겠'과 '-(으)ㄹ 것이다'의 교육 방안 연구" 이중언어학회 (43) : 29-53, 2010

      10 서혁, "초등학생의 텍스트성 발달에 관한 사례 연구-일기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8 : 315-349, 1998

      11 이필영, "초등학생의 구어에 나타난 어휘 빈도와 분포도 조사" 국어교육학회 (33) : 557-595, 2008

      12 안정아,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일기 텍스트에 나타난 접속 현상 연구 - '그리고' , '그래서' , '그런데' 를 중심으로 -" 우리어문학회 (41) : 197-223, 2011

      13 이재승, "읽기와 쓰기 행위에서 결속 구조의 의미와 지도" 한국어교육학회 110 (110): 5-112, 2003

      14 송재목, "인식양태와 증거성" 한국어학회 44 : 27-53, 2009

      15 시정곤, "의존명사 구문의 양태적 고찰" 한국어학회 44 : 177-212, 2009

      16 김지은, "우리말 양태 용언 구문 연구" 한국문화사 1998

      17 이정숙, "쓰기 텍스트구조 분석 양상 고찰-초등학생 글을 중심으로" 25 : 79-104, 2002

      18 이필영, "서술부 양태 표현의 부정 양상 -보조용언적 구성을 중심으로" 국어학회 (48) : 175-201, 2006

      19 이필영, "서술부 양태 표현들의 범주화와 결합양상" 담화·인지언어학회 11 (11): 131-152, 2004

      20 고영근, "서법과 양태의 상관관계, In 국어학신연구" 탑출판사 1986

      21 이성영, "글쓰기 능력 발달 단계 연구-초등학생의 텍스트 구성 능력을 중심으로" 126 : 27-50, 2000

      22 이선웅, "국어의 양태 체계 확립을 위한 시론" 26 : 317-339, 2001

      23 박재연, "국어 양태의 화·청자 지향성과 주어 지향성" 국어학회 41 : 249-275, 2003

      24 임동훈, "국어 양태 체계의 정립을 위하여" 한국어의미학회 12 : 127-154, 2003

      25 박재연, "‘주어 지향적 양태’와 관련한 몇 문제" 한국어학회 44 : 1-25, 2009

      26 시정곤, "‘-을 수 {있다/없다}’ 구문의 통사․의미론" 국어학회 (56) : 131-160, 2009

      27 안주호, "‘-어야 하-’류 구성의 문법적 특성과 의미" 한국어교육학회 (118) : 363-394, 2005

      28 Sperber, D, "Relevance" Blackwell 1986

      29 M. A. K. Halliday, "An Introduction to Functional Grammar(Third Edition)" Oxford Univ. Press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0.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6 1.503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