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 부사 연구에 있어서의 쟁점과 과제 - 담화·화용적 관점에서 - = The Issues on Studies of Korean Adverbs - Perspective on Discourse and pragmatic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475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adverb is one of part of speech that is categorized by meaning, form and function in sentences. The function of adverbs is said that they modify verbs in sentences or they modify sentences at beginning sentences. But Korean adverbs have various functions in discourse. The first, ‘그런데, 그리고, 그러나, ...’ among the adverbs are used for intensifying cohesion in discourse. And ‘근데, 그니까, 그래서, 그럼, 하여튼, ...’ among the adverbs are used as discourse markers that display discourse border such as introduction, change and finishing of topic. ‘그니까, 하긴, 설마, ...’ are used as semi-yes/no responses and ‘정말, 진짜, 그냥, ...’ are used as speech act sentences for demanding or threatening in conversations. And ‘혹시, 아마, 그냥, 막, ...’ are used as discourse markers that strengthen or weaken speaker’s speech representing for speaker’s mental attitudes. Lastly the functions of ‘차라리, 오히려, 물론, ...’ can be known through discourse premise.
      번역하기

      Korean adverb is one of part of speech that is categorized by meaning, form and function in sentences. The function of adverbs is said that they modify verbs in sentences or they modify sentences at beginning sentences. But Korean adverbs have various...

      Korean adverb is one of part of speech that is categorized by meaning, form and function in sentences. The function of adverbs is said that they modify verbs in sentences or they modify sentences at beginning sentences. But Korean adverbs have various functions in discourse. The first, ‘그런데, 그리고, 그러나, ...’ among the adverbs are used for intensifying cohesion in discourse. And ‘근데, 그니까, 그래서, 그럼, 하여튼, ...’ among the adverbs are used as discourse markers that display discourse border such as introduction, change and finishing of topic. ‘그니까, 하긴, 설마, ...’ are used as semi-yes/no responses and ‘정말, 진짜, 그냥, ...’ are used as speech act sentences for demanding or threatening in conversations. And ‘혹시, 아마, 그냥, 막, ...’ are used as discourse markers that strengthen or weaken speaker’s speech representing for speaker’s mental attitudes. Lastly the functions of ‘차라리, 오히려, 물론, ...’ can be known through discourse premis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영희, "화식부사의 의미 유형에 관한 고찰" 한국어 의미학회 1 : 219-234, 1997

      2 장소원, "현대 국어의 소형발화 연구"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 : 261-283, 1994

      3 張英熙, "현대 국어 話式副詞의 의미 연구"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5

      4 이기갑, "한국어의 담화표지 ‘이제’"" 담화인지언어학회 1 : 261-287, 1995

      5 이희정, "한국어의 [그러-]형 담화표지 기능 연구: 일상대화 분석을 바탕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6 김태호, "한국어에 나타나는 ‘진실’ 표현 어휘의 담화표지 기능 연구" 비교문화연구소 29 : 453-477, 2012

      7 朴仙子, "한국어 어찌말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1983

      8 임유종, "한국어 부사 연구" 한국문화사 1999

      9 전영옥, "한국어 담화표지의 특징 연구" 한국화법학회 4 : 113-146, 2002

      10 안주호, "한국어 담화표지 분석"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17 : 21-38, 1992

      1 장영희, "화식부사의 의미 유형에 관한 고찰" 한국어 의미학회 1 : 219-234, 1997

      2 장소원, "현대 국어의 소형발화 연구"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 : 261-283, 1994

      3 張英熙, "현대 국어 話式副詞의 의미 연구"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5

      4 이기갑, "한국어의 담화표지 ‘이제’"" 담화인지언어학회 1 : 261-287, 1995

      5 이희정, "한국어의 [그러-]형 담화표지 기능 연구: 일상대화 분석을 바탕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6 김태호, "한국어에 나타나는 ‘진실’ 표현 어휘의 담화표지 기능 연구" 비교문화연구소 29 : 453-477, 2012

      7 朴仙子, "한국어 어찌말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1983

      8 임유종, "한국어 부사 연구" 한국문화사 1999

      9 전영옥, "한국어 담화표지의 특징 연구" 한국화법학회 4 : 113-146, 2002

      10 안주호, "한국어 담화표지 분석"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17 : 21-38, 1992

      11 이한규, "한국어 담화표지 ‘왜’" 담화 인지 언어학회 4 (4): 1-20, 1997

      12 김현지, "한국어 구어에서 ‘정말?’, ‘진짜?’의 담화 기능 연구" 언어연구소 (66) : 79-112, 2015

      13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2011

      14 안주호, "축약형 담화표지 “좀/막”에 대한 연구" 한국사전학회 (14) : 199-223, 2009

      15 정일, "접속 부사의 청자 반응 표현 기능에 대한 연구 -‘그러니까’, ‘그래서’, ‘그런데’를 중심으로-"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1 : 169-202, 2012

      16 차윤정, "이음말의 담화표지 기능" 우리말학회 10 : 105-125, 2000

      17 김영철, "우리말 담화표지 참 고찰" 국어문학회 43 (43): 235-254, 2007

      18 김영철, "우리말 담화표지 '막' 고찰" 국어문학회 48 (48): 5-23, 2010

      19 김문기, "어휘적·문법적 요소로서 말재어찌씨" 우리말학회 (16) : 99-118, 2005

      20 박병수, "양태부사에 대하여" 한국언어학회 1 (1): 151-167, 1976

      21 이원표, "시간부사 '이제'의 담화기능" 인문학연구원 68 : 105-137, 1992

      22 김선희, "부정 양태 부사의 통사·의미적 특성" 한글학회 (256) : 69-97, 2002

      23 임유종, "부사의 하위 구분 체계에 대한 연구" 한국언어문화학회 14 : 187-218, 1996

      24 안정아, "부사 기원 담화 표지의 담화 기능 비교 연구 - ‘그냥’, ‘막’, ‘좀’을 중심으로 -" 언어정보연구소 26 : 313-342, 2015

      25 임규홍, "부사 ‘정말’류의 담화적 의미" 한국어 의미학회 2 : 237-254, 1998

      26 강소영, "복합형 담화표지의 의미기능 연구-아 근데, 아니 근데를 중심으로-" 한국어의미학회 44 : 313-344, 2014

      27 신서인, "문장부사의 위치에 대한 고찰" 국어학회 (61) : 207-238, 2011

      28 김선효, "문장부사 설정에 대한 재고" 언어정보연구소 6 : 36-54, 2005

      29 이환묵, "문장부사 ‘다행히’에 대하여" 한국언어학회 1 (1): 126-139, 1976

      30 강우원, "담화표지 ‘참’과 어찌말 ‘참’의 비교 연구" 한국언어과학회 7 (7): 1-22, 1998

      31 구종남, "담화표지 ‘다’에 대하여" 한국언어문학회 (67) : 37-59, 2008

      32 강소영, "담화표지 ‘그러니까’의 사용에 내재한 화자의 담화전략 연구" 어문연구학회 60 : 27-56, 2009

      33 김혜정, "담화표지 ‘그래도’의 의미 기능"" 동남어문학회 8 : 51-69, 1998

      34 심란희, "담화표지 ‘그냥’의 기능 연구" 한국문학언어학회 (59) : 155-186, 2013

      35 Michael Stubbs, "담화분석" 한국문화사 1993

      36 안정아, "담화 표지 '막'의 의미와 기능" 한국어학회 40 : 251-279, 2008

      37 서성교, "담화 연결사 ‘그러니까’에 관한 연구" 대한언어학회 7 (7): 379-398, 1999

      38 신서인, "담화 구성 요소를 고려한 문장부사 하위분류" 한국어의미학회 44 : 89-118, 2014

      39 Elena Smimova, "기능문법의 개념과 이론" 한국문화사 2015

      40 손남익, "국어부사의 연구" 박이정 1998

      41 김민수, "국어문법론연구" 통문관 1960

      42 주시경, "국어문법" 박문서관 1910

      43 서정수, "국어문법" 한양대학교 출판원 1996

      44 이정애, "국어 화용표지의 연구" 全北大學校 大學院 1999

      45 임동훈, "국어 양태 체계의 정립을 위하여" 한국어의미학회 12 : 127-154, 2003

      46 윤평현, "국어 소형문의 발화 행위에 대한 고찰" 한글학회 (259) : 199-232, 2003

      47 임유종, "국어 부사의 하위 분류"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34 (34): 175-204, 1998

      48 김혜영, "구어 속 강조적 정도부사의 사용과 의미" 한국어학회 48 : 101-129, 2010

      49 김보영, "구어 말뭉치와 한국어 교재에서의 담화표지 ‘좀’의 기능 비교 연구" 언어정보연구원 34 : 81-102, 2014

      50 강소영, "구어 담화에서의 ‘그래 가지고’의 의미" 한국어의미학회 16 : 1-21, 2005

      51 김문기, "감탄사의 문법범주에 대한 연구" 동남어문학회 1 (1): 5-24, 2010

      52 서태룡, "감탄사의 담화 기능과 범주" 동악어문학회 35 : 21-49, 1999

      53 김문기, "감탄사와 부사의 문법 범주적 관련성 연구" 한글학회 (296) : 123-150, 2012

      54 김미선, "감탄사와 부사의 경계에 대하여" 인문과학연구소 (27) : 5-30, 2010

      55 金京勳, "現代國語 副詞語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6

      56 安明哲, "副詞語 範疇의 體系化를 위하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9 (29): 5-27, 2001

      57 구종남, "‘참’의 감탄사와 담화표지 의미 기능" 한민족어문학회 (69) : 399-428, 2015

      58 이희자, "‘접속어’연구 1 - ‘그래서’연구를 통해서 본 ‘그 – 표제어’류 와 관련된 문제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5 (5): 219-252, 1995

      59 김미선, "‘그런데’의 담화 기능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34) : 35-54, 2012

      60 박연옥, "‘그러니까’의 담화화용적 기능 연구"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8 (8): 81-98,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0.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6 1.503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