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과 穢라는 명칭은 고대 한반도 중남부 지역 주민의 종족성을 지칭하는 것이다. 이는 「광개토왕릉비」에도 등장하는데, 새로이 한반도 중부 지역으로 확장한 영역에서 차출해 온 수묘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935593
201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9-40(32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韓과 穢라는 명칭은 고대 한반도 중남부 지역 주민의 종족성을 지칭하는 것이다. 이는 「광개토왕릉비」에도 등장하는데, 새로이 한반도 중부 지역으로 확장한 영역에서 차출해 온 수묘호...
韓과 穢라는 명칭은 고대 한반도 중남부 지역 주민의 종족성을 지칭하는 것이다. 이는 「광개토왕릉비」에도 등장하는데, 새로이 한반도 중부 지역으로 확장한 영역에서 차출해 온 수묘호를 ‘新來韓穢’라 표현하였다. 「광개토왕릉비」에 등장하는 신래한예를 대상으로, 4세기 후반에서 5세기 전반 고구려가 한반도 중부 지역 주민을 韓과 穢로 호칭한 과정과 그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 이 글의 주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신래한예의 출신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신래한예의 출신지는 광개토왕의 남정과 수묘호가 배정되는 과정을 통해서 알아보았다. 광개토왕의 남정은 한반도 남부 지역까지 미쳤지만, 수묘호는 전쟁 결과 확고히 영역화하고 지방으로 편제한 지역에만 배정하였다. 때문에 수묘호가 배정된 지역은 황해도와 경기도 북부 지역에 집중되었고, 한강 이남에서는 충주 지역과 그곳을 잇는 거점 지역만이 해당한다.
한반도 중남부 지역을 韓과 穢로 처음 지칭한 것은, 낙랑이 그 지역과 교섭하면서부터이다. 고구려가 이 지역 주민을 韓과 穢로 지칭한 계기 또한 낙랑을 복속하고 그 지역으로 진출하면서 낙랑의 것을 수용한 것이다. 그 뒤 고구려는 한반도 중부 지역으로 진출하면서 직접적인 대면과 경험을 통해 韓과 穢의 거주지와 정체성을 명확히 구분하였다. 그리고 이때의 韓과 穢는 고구려 천하에 속한 복속민이며 지방민이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金崙禹, "龍巖車文燮敎授 華甲紀念 史學論叢" 華甲記念論叢刊行委員會 1989
2 尹龍九, "樂浪豪族의 硏究" 仁荷大學校 2002
3 이강래, "삼국사기 인식론" 일지사 2011
4 金起燮, "백제와 근초고왕" 학연문화사 2000
5 박진욱, "백제·신라에 이웃하였던 靺鞨에 대하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3 : 1978
6 林起煥, "광개토왕비의 국연(國烟)과 간연(看烟) -4·5세기 고구려 대민편제의 일례-" 한국역사연구회 13 : 1994
7 손영종, "광개토왕릉비문에 보이는 《수묘인연호》의 계급적 성격과 립역방식에 대하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3 : 1986
8 林起煥, "광개토왕릉비문에 보이는 ‘民’의 성격" 高句麗渤海學會 2 : 1996
9 손영종, "광개토왕릉비를 통하여본 고구려의 령역"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 : 1986
10 노태돈, "광개토왕대의 정복활동과 고구려 세력권의 구성" 한국고대사학회 (67) : 5-26, 2012
1 金崙禹, "龍巖車文燮敎授 華甲紀念 史學論叢" 華甲記念論叢刊行委員會 1989
2 尹龍九, "樂浪豪族의 硏究" 仁荷大學校 2002
3 이강래, "삼국사기 인식론" 일지사 2011
4 金起燮, "백제와 근초고왕" 학연문화사 2000
5 박진욱, "백제·신라에 이웃하였던 靺鞨에 대하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3 : 1978
6 林起煥, "광개토왕비의 국연(國烟)과 간연(看烟) -4·5세기 고구려 대민편제의 일례-" 한국역사연구회 13 : 1994
7 손영종, "광개토왕릉비문에 보이는 《수묘인연호》의 계급적 성격과 립역방식에 대하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3 : 1986
8 林起煥, "광개토왕릉비문에 보이는 ‘民’의 성격" 高句麗渤海學會 2 : 1996
9 손영종, "광개토왕릉비를 통하여본 고구려의 령역"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 : 1986
10 노태돈, "광개토왕대의 정복활동과 고구려 세력권의 구성" 한국고대사학회 (67) : 5-26, 2012
11 박준형, "고조선의 성립과 발전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12 서영일, "고구려의 백제 공격로 고찰" 단국사학회 38 : 2006
13 이인철, "고구려의 대외정복 연구" 백산자료원 2000
14 최희수, "고구려 지방통치 운영 연구" 서강대학교 2009
15 李道學, "고구려 광개토왕릉 비문 연구" 서경문화사 2006
16 우선정, "麻立干 時期 新羅의 對高句麗 關係" 慶北史學會 23 : 2000
17 三宅米吉, "高麗古碑考" 2 (2): 1898
18 趙法鍾, "高句麗의 馬韓繼承 認識論에 대한 檢討" 韓國史硏究會 102 : 1998
19 武田幸男, "高句麗史と東アジア -「広開土王碑」硏究序說-" 岩波書店 1989
20 那珂通世, "高句麗古碑考" 4 (4): 1983
21 김락기, "高句麗 守墓人의 구분과 立役方式 -廣開土王陵碑 守墓人烟戶條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학회 (41) : 199-228, 2006
22 金瑛河, "韓國古代社會의 軍事와 政治" 高麗大學校 民族文化硏究院 2002
23 李丙燾, "韓國古代史硏究" 博英社 1976
24 谢保成, "隋唐五代史學" 商务印书馆 2007
25 盧泰敦, "譯註 韓國古代金石文" 駕洛國史蹟開發硏究所 1992
26 徐永大, "譯註 韓國古代金石文" 駕洛國史蹟開發硏究所 1992
27 鄭求福, "譯註 三國史記"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7
28 박대재, "謝承 『後漢書』 東夷列傳에 대한 예비적 고찰" 한국고대사학회 (55) : 39-70, 2009
29 尹武炳, "濊貊考" 白山學會 1 : 1966
30 三品彰英, "濊貊族小考" 4 : 1953
31 "漢書" 中華書局 1962
32 朴淳發, "漢城百濟의 誕生" 서경문화사 2001
33 濱田耕策, "朝鮮古代史料硏究" 吉川弘文館 2013
34 中原文化財硏究院, "忠州 豆井里 遺蹟"
35 中原文化財硏究院, "忠州 彈琴臺 土城Ⅰ -2007年度 發掘調査 報告-" 2009
36 國立中原文化財硏究所, "忠州 塔坪里遺蹟(中原京 추정지) 제3차 시굴조사보고서" 2012
37 國立中原文化財硏究所, "忠州 塔坪里 遺蹟(中原京 추정지) 시굴조사보고서" 2009
38 金起燮, "彌鄒忽의 位置에 대하여" 韓國古代史學會 13 :
39 尹明喆, "廣開土王의 軍事作戰에 대하여 수군을 중심으로-" 고구려발해학회 2002
40 孔錫龜, "廣開土王陵碑의 東夫餘에 대한 考察" 韓國史硏究會 70 : 1990
41 徐榮洙, "廣開土王陵碑의 征服記事 再檢討" 歷史學會 96 : 1982
42 趙仁成, "廣開土王陵碑를 통해 본 高句麗의 守墓制" 一潮閣 3 : 1988
43 李基東, "廣開土王陵碑文에 보이는 百濟關係 記事의 檢討"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17 : 1986
44 趙法鍾, "廣開土王陵碑文에 나타난 守墓制硏究" 韓國古代史學會 8 : 1995
45 金賢淑, "廣開土王碑를 통해 본 高句麗 守墓人의 社會的 性格" 韓國史硏究會 65 : 1989
46 朴性鳳, "廣開土好太王期 高句麗 南進의 性格" 韓國史硏究會 27 : 1979
47 李道學, "孫寶基博士停年紀念韓國史學論叢" 孫寶基博士停年紀念論叢刊行委員會 1988
48 酒井改藏, "好太王碑面の地名ついて" 朝鮮學會 8 : 1955
49 "周書" 中華書局 1997
50 三上次男, "古代東北アジア史硏究" 吉川弘文館 1966
51 서정석, "原州 法泉里遺蹟의 年代" 淸溪史學會 19 : 2004
52 "南齊書" 中華書局 1997
53 增井經夫, "中国学の歷史書 –中国史学史-" 刀水書房 1984
54 盧泰敦, "『삼국사기』 신라본기의 고구려관계 기사 검토" 경주사학회 16 : 1971
55 윤용구, "『三國志』 판본과 「東夷傳」 교감" 한국고대사학회 (60) : 231-277, 2010
56 吳吉煥, "「廣開土王碑文」 ‘守墓人煙戶’ 조의 재검토 - ‘新來韓穢’ 36地域을 中心으로" 한국전통문화학교 6 : 2008
57 공석구, "《광개토왕릉비》守墓人 烟戶 記事의 考察" 고구려발해학회 47 : 33-60, 2013
58 이성제, "<集安 高句麗碑>로 본 守墓制" 한국고대사학회 (70) : 181-218, 2013
59 여호규, "<廣開土王陵碑>에 나타난 高句麗 天下의 공간범위와 주변 族屬에 대한 인식" 역사문화연구소 (32) : 3-48, 2009
60 조영광, "7세기 중국인들의 對高句麗 ‘三韓’호칭에 관하여" 백산학회 (81) : 127-153, 2008
61 盧泰敦, "5세기 金石文에 보이는 高句麗人의 天下觀"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19 : 1988
62 鄭雲龍, "5世紀 高句麗 勢力圈의 南限" 高大史學會 35 : 1989
63 장창은, "4~5世紀 高句麗의 南下와 三國의 領域向方 -『三國史記』 地理志 ‘高句麗故地’의 實際(Ⅰ) -" 한국학연구소 34 : 21-50, 2010
64 여호규, "4세기 高句麗의 樂浪․帶方 경영과 中國系 亡命人의 정체성 인식" 한국고대사학회 (53) : 159-200, 2009
65 金賢淑, "4~6세기경 小白山脈 以東地域의 領域向方 -『三國史記』 地理志의 慶北地域 ‘高句麗郡縣’을 중심으로-" 韓國古代史學會 26 : 2002
66 梁起錫, "4~5C. 高句麗 王者의 天下觀에 對하여" 호서사학회 11 : 1983
67 전진국, "'한(韓)'의 유래와 명칭의 형성" 한국학중앙연구원 35 (35): 147-185, 2012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21-07-0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Institute of KoguryoBalhae -> Association of Koguryo Balhae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8-02-14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고구려연구 -> 고구려발해연구외국어명 : The Koguryo Yonku -> The KoguryoBalhae Yonku | |
2008-02-1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고구려연구회 -> 고구려발해학회영문명 : Institute of Koguryo Studies -> Institute of KoguryoBalhae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2005-05-3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Institute of Koguryo Studies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8 | 0.78 | 0.9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 | 0.93 | 2.013 | 0.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