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電話相談에서의 被相談者에 관한 追隨硏究 = Follow-up study on clients who enter into telephone counsel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7667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8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교육심리학과 , 1988. 2

      • 발행연도

        198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72.61 판사항(4)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ⅳ, 47p. : 삽도 ; 27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34-36

      • 소장기관
        • 광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성신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용인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호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本 硏究는 電話相談을 한 被相談者에 관한 追隨硏究로서 電話相談의 效率性과 相談者의 反應意圖에 對한 被相談者의 知覺 및 被相談者의 人生의 目的 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目的을 위하여 다음의 間題들을 提起하였다.
      1. 「他人」의 公開電話相談을 效送으로 聽取하는것이 비슷한 間題를 가진 被相談者에게 集圍的 治癩(Collective therapy)효과가 있는가?
      2.「被桐談者」의 問題를 公開電話相談 할때에 正直하고 開放的인 意思소통(Communication)이 이루어지는가?
      3. 電話相談에서 도움을 받았는가?
      4. 電話相談이 도움이 되지 않은 原因은 어디에 있는가?
      5. 電話相談을 하는 被相談者의 相談領域은 무엇인가?
      6. 電話相談의 被相談者들은 相談者의 態度를 어떻게 知覺하는가?
      7. 電話相談의 相談者와 被相談者가 知覺하는 相談者의 反應意圖는 무엇인가?
      8 . 被相談者의 PIL(Purpose-In-Life) 수준은 어떠한가?
      本 硏究에서는 以上의 問題를 검토하기 위하여 電話相談을 한 被相談者에게 追隨質問을 실시하고 分析하였다. 대상은 극동방송「소망의 전화」에서 電話相談을 한 82名과 극동방송 상담실을 통해本硏究者와 전화상담을 한 23名을 合한 105名의 電話相談 彼相談者들이다. 道具로 7개 문항의 被相談者에 對한 實態調査質問과 相談者 反應意圖 類目尺度 그리고 文章完成과 서술형의 PIL Test를 수록한 4page의 質間紙를 사용하였다.
      本 硏究의 자료분석 결과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他人」의 公開電話相談을 듣는 것은 集團的 治療의 效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被橋談者」의 問題를 公開電話相談 할 때에 正直하필 開效的인 의사소통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3. 電話相談에서 도움을 받을 것으로 나타났다.
      4. 電話相談이 도움이 안 된 原因은 被相談春에게 原因이 있다고 知覺한 것이 가장 많았고, 他人이나 환경의 탓과 面談相談이 아니기 때문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公開電話相談의 被相談者중에서는 相談時間이 충분치 못해서라는 원인도 있음이 밝혀졌다.
      5. 電話相談을 하는 被相談者들의 相談領域은 信仰問題, 人生問題중 家庭問題, 子女問題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6. 電話相談을 하는 相談者 態度에 對한 被相談者의 知覺은 好意的으로 나타났다.
      7. 電話相談에서 相談者와 被相談者가 높게 知覺하는 相談者의 反應意圖는 「變化에의 希望격려」 「지지」「통찰」의도로 나타났다.
      8. 電話相談을 한 被相談者는 삶과 죽음등 人生의 目的수준에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수준을 나타냈다.
      번역하기

      本 硏究는 電話相談을 한 被相談者에 관한 追隨硏究로서 電話相談의 效率性과 相談者의 反應意圖에 對한 被相談者의 知覺 및 被相談者의 人生의 目的 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目的...

      本 硏究는 電話相談을 한 被相談者에 관한 追隨硏究로서 電話相談의 效率性과 相談者의 反應意圖에 對한 被相談者의 知覺 및 被相談者의 人生의 目的 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目的을 위하여 다음의 間題들을 提起하였다.
      1. 「他人」의 公開電話相談을 效送으로 聽取하는것이 비슷한 間題를 가진 被相談者에게 集圍的 治癩(Collective therapy)효과가 있는가?
      2.「被桐談者」의 問題를 公開電話相談 할때에 正直하고 開放的인 意思소통(Communication)이 이루어지는가?
      3. 電話相談에서 도움을 받았는가?
      4. 電話相談이 도움이 되지 않은 原因은 어디에 있는가?
      5. 電話相談을 하는 被相談者의 相談領域은 무엇인가?
      6. 電話相談의 被相談者들은 相談者의 態度를 어떻게 知覺하는가?
      7. 電話相談의 相談者와 被相談者가 知覺하는 相談者의 反應意圖는 무엇인가?
      8 . 被相談者의 PIL(Purpose-In-Life) 수준은 어떠한가?
      本 硏究에서는 以上의 問題를 검토하기 위하여 電話相談을 한 被相談者에게 追隨質問을 실시하고 分析하였다. 대상은 극동방송「소망의 전화」에서 電話相談을 한 82名과 극동방송 상담실을 통해本硏究者와 전화상담을 한 23名을 合한 105名의 電話相談 彼相談者들이다. 道具로 7개 문항의 被相談者에 對한 實態調査質問과 相談者 反應意圖 類目尺度 그리고 文章完成과 서술형의 PIL Test를 수록한 4page의 質間紙를 사용하였다.
      本 硏究의 자료분석 결과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他人」의 公開電話相談을 듣는 것은 集團的 治療의 效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被橋談者」의 問題를 公開電話相談 할 때에 正直하필 開效的인 의사소통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3. 電話相談에서 도움을 받을 것으로 나타났다.
      4. 電話相談이 도움이 안 된 原因은 被相談春에게 原因이 있다고 知覺한 것이 가장 많았고, 他人이나 환경의 탓과 面談相談이 아니기 때문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公開電話相談의 被相談者중에서는 相談時間이 충분치 못해서라는 원인도 있음이 밝혀졌다.
      5. 電話相談을 하는 被相談者들의 相談領域은 信仰問題, 人生問題중 家庭問題, 子女問題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6. 電話相談을 하는 相談者 態度에 對한 被相談者의 知覺은 好意的으로 나타났다.
      7. 電話相談에서 相談者와 被相談者가 높게 知覺하는 相談者의 反應意圖는 「變化에의 希望격려」 「지지」「통찰」의도로 나타났다.
      8. 電話相談을 한 被相談者는 삶과 죽음등 人生의 目的수준에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수준을 나타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 follow-up study for clients who attended the telephone counseling. This study is to search the effectiveness of the telephone counseling, client's perception for counselor's intention and the level of the purpose of clients in life.
      Subjects became of 105 clients who attended the telephone counseling of the program of 'The Telephone Of So Mang' by Far East Broadcasting Compan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research questionnaire of the actual telephone counseling including 7 items, the rating scale of counselor's intention and P.I.L. tes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of the number and the percentage of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t brought collective therapy effectiveness for clients to listen to the open telephone counseling of others.
      2. Clients who participated in the open telephone counseling showed honest and open communication of them.
      3. Clients told that they were helped from the telephone counseling.
      4. The reasons why clients weren't helped from the telephone counseling were as follows;
      first, owing to the clients themselves,
      second, others or environment,
      third, being not face to face counseling.
      In addition clients participated in the open telephone counseling attributed to the lack of counseling time.
      5. The problem of telephone counseling clients became of first, one of religion, second, one of home and third, one of children in turn.
      6. Clients felt good about the counselor's attitude during telephone counseling.
      7. The most perceived counselor's intentions of both of clients and counselors became of 'hope encouragement to change', 'support' and 'insight' in turn.
      8. Clients showed the positive and affirmative level of the purpose in life.
      번역하기

      This paper is a follow-up study for clients who attended the telephone counseling. This study is to search the effectiveness of the telephone counseling, client's perception for counselor's intention and the level of the purpose of clients in life. S...

      This paper is a follow-up study for clients who attended the telephone counseling. This study is to search the effectiveness of the telephone counseling, client's perception for counselor's intention and the level of the purpose of clients in life.
      Subjects became of 105 clients who attended the telephone counseling of the program of 'The Telephone Of So Mang' by Far East Broadcasting Compan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research questionnaire of the actual telephone counseling including 7 items, the rating scale of counselor's intention and P.I.L. tes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of the number and the percentage of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t brought collective therapy effectiveness for clients to listen to the open telephone counseling of others.
      2. Clients who participated in the open telephone counseling showed honest and open communication of them.
      3. Clients told that they were helped from the telephone counseling.
      4. The reasons why clients weren't helped from the telephone counseling were as follows;
      first, owing to the clients themselves,
      second, others or environment,
      third, being not face to face counseling.
      In addition clients participated in the open telephone counseling attributed to the lack of counseling time.
      5. The problem of telephone counseling clients became of first, one of religion, second, one of home and third, one of children in turn.
      6. Clients felt good about the counselor's attitude during telephone counseling.
      7. The most perceived counselor's intentions of both of clients and counselors became of 'hope encouragement to change', 'support' and 'insight' in turn.
      8. Clients showed the positive and affirmative level of the purpose in lif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 論文槪要 = ⅲ
      • Ⅰ. 緖論 = 1
      • A. 硏究의 動機 및 目的 = 1
      • B. 硏究問題의 陳述 = 2
      • 목차 = ⅰ
      • 論文槪要 = ⅲ
      • Ⅰ. 緖論 = 1
      • A. 硏究의 動機 및 目的 = 1
      • B. 硏究問題의 陳述 = 2
      • Ⅱ. 理論的 背景 = 3
      • A. 效果的인 相談 = 3
      • B. 效果的인 電話相談 = 5
      • Ⅲ. 硏究方法 = 12
      • A. 硏究對象 = 12
      • B. 도구 = 12
      • 1. 電話相談의 被相談者에 對한 實態調査 質問紙 = 12
      • 2. 相說者 反應意圖 類目 尺度 = 14
      • 3. PIL Test = 14
      • C. 조사절차 및 자료처리 = 14
      • Ⅳ. 결과 및 해석 = 16
      • A. 被相談者에 대한 실태분석 = 16
      • B. 相談者 反應意圖 유목 尺度 分析 = 24
      • C. 電話相談 被相談者의 PIL 수준 分析 = 26
      • Ⅴ. 論議 및 結論 = 28
      • 참고문헌 = 34
      • 부록 = 37
      • ABSTRACT = 4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