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창덕궁 후원 부용정(芙蓉亭)의 조영사적 특성 = Historical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Buyongjeong in the Rear Garden of Changdeok Pala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328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창덕궁 후원의 부용정(芙蓉亭)은 독특한 평면형태, 공간구성, 건물의 장식 등이 뛰어난 비례와 대비를 이루고 있는 점을 인정받아 2012년 3월 2일에 보물 제1763호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지정사...

      창덕궁 후원의 부용정(芙蓉亭)은 독특한 평면형태, 공간구성, 건물의 장식 등이 뛰어난 비례와 대비를 이루고 있는 점을 인정받아 2012년 3월 2일에 보물 제1763호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지정사유가 형이하학적으로 평가되었고, 그마저도 왜 지금과 같이 독특한 형태로 조영되었는지 명확하게 규명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자연철학 및 사상에 관한 형이상학적접근을 시도하였고, 조영의도와 공간구조의 특징을 규명하여 부용정의 정체성을 찾는데 주력하였다. 요약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부용정의 조영배경 및 특징: 정조는 즉위와 함께 창덕궁 후원에 규장각(奎章閣)을 창설하고 개혁정치의 일환으로 초계문신(抄啓文臣)을 양성하였다. 또한 각신(閣臣)들을 가인(家人)처럼 우대해주며 친정체계를 구축하였다. 정조의 적극적인 개혁정치는 신하들에게 후원을 구경시켜주기는 계기가 되었으며, 정조 16년(1792)에 각신을 중심으로 한 내각상조회(內閣賞釣會)를 공식적으로 발족하고 후원유람을 정례화하게 되었다. 후원유람은 꽃을 보고 낚시를 하는 상화조어연(賞花釣魚宴), 난정수계(蘭亭水계)의 활동 등으로 이루어졌고, 이후 국가의 대신들이 참석하게 되면서 큰 행사로 발전하게 되었다. 정조는 대신, 중신, 각신들과 이러한 문화 활동을 함께하고 나아가 자신의 왕도정치를 실현할 장소로써 부용정을 조영한 것이었다. 둘째, 부용정의 입지와 공간적 특성: 정조는 즉위(1776)와 함께 택수재를 새롭게 개축하였다. 무엇보다 개유와-택수재-원도-어수문-규장각을 축선에 맞춰 연계한 점은 자신의 정치적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현재의 규장각 일원을 계획-설계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정조 17년(1793)에는 기존의 사우정(四隅亭) 형태였던 택수재를 군신(君臣)이 함께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해 위계를 두어 증축하고 부용정이라 칭하였다. 지당 위에 위치한 부용정의 북쪽공간은 임금의 공간으로 다른 곳보다 한 단 높게 조성하였고 창호도 아자살로 차별화한 특징을 보인다. 서쪽과 동쪽은 신하들의 공간이다. 중앙공간은 양측의 신하들이 북쪽공간에 입어한 임금을 배알하기 위해 마련된 공간이며, 서쪽과 동쪽의 신하들은 부용정의 귀퉁이 공간을 돌아 남쪽공간에서 중앙공간으로 입실하게 되는 구조로 조영되었다. 결국 부용정은 최소한의 공간으로 편전(便殿)의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정원건축물인 것이다. 셋째, 부용정의 문화적 가치: 부용정 일원은 세조, 인조, 현종, 숙종, 정조 등 왕들의 사유적인 정원문화가 복합적으로 존재하며 꾸준히 발전된 특징을 보인다. 특히 정조는 선왕들이 조성해놓은 다양한 물리적, 사회적, 상상적 환경 등을 계승하였고 더불어 자신의 왕도정치를 위해 신하들을 후원에 불러들였으며 그 중추적 장소로 부용정을 완성한 것이다. 곧 부용정은 조선왕조의 영속성이 반영된 정원건축물로 그 가치를 높게 평가할 수 있으며, 공간적으로도 유교사상이 정자에 반영되어 위계가 구분된 독특한 사례로써 왕의 정원에서만 나타나는 특수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uyongjeong, a pavilion in the Rear Garden of Changdeok Palace, was appointed as Treasure No. 1763 on March 2, 2012, by the South Korea government since it shows significant symmetry and proportion on its unique planar shape, spatial configuration, bu...

      Buyongjeong, a pavilion in the Rear Garden of Changdeok Palace, was appointed as Treasure No. 1763 on March 2, 2012, by the South Korea government since it shows significant symmetry and proportion on its unique planar shape, spatial configuration, building decoration, and so forth. However, the designation of Treasure selection was mainly evaluated by concrete science, in that the selection has not clearly articulated how and why Buoungjeong was constructed as a present unique form.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identity of Buyongjeong at the time of construction by considering its historical, ideological, philosophical background and building intention. Summary are as follows: First, Construction backgrounds and characters of Buyongjeong: Right after the enthronement, King Jeongjo had founded Kyujanggak(奎章閣), and sponsored civil ministers who were elected by the national examination, as a part of political reform. In addition, he established his own political system by respecting “Kaksin(閣臣)”, Kyujanggak’s officials as much as “Kain(家人)”, internal family members. King Jeongjo’s aggressive political reform finally enabled King’s lieges to visit King’s Rear Garden. In the reign of King Jeongjo’s 16th year(1792), Naekaksangjohoe(內閣賞釣會) based on “Kaksin” was officially launched and the Rear Garden visitation became a regular meeting. The Rear Garden visitation consisted of “Sanghwajoeoyeon(賞花釣魚宴)” - enjoying flowers and fishing, and activities of “Nanjeongsugye(蘭亭水계)”. Afterward, it eventually became a huge national event since high rank government officials participated the event. King Jeongjo shared the cultural activities with government officials together to Buyongjeong as a place to fulfill his royal politics. Second, The geographical loca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Buyongjeong: On the enthronement of King Jeongjo(1776), he renovated Taeksujae. Above all, aligning and linking Gaeyuwa - Taeksujae - a cicular island - Eosumun - Kyujangkak along with the construction axis is an evidence for King Jeongjo to determine how the current Kyujangkak zone was prepared and designed to fulfill King Jeonjo’s political ideals. In 17th year(1793) of the reign of King Jeongjo, Taeksujae, originally a square shaped pavilion, was modified and expanded with ranks to provide a place to get along with the King and officials. The northern part of Buyongjeong, placed on pond, was designed for the King’s place and constructed one rank higher than others. Discernment on windows and doors were made with “Ajasal” - a special pattern for the King. The western and eastern parts were for government officials. The center part was prepared for a place where government officials were granted an audience with the King, who was located in the nortern part of Buyongjeong. Government officials from the western and eastern parts of Buyongjeong, could enter the central part of the Buyongjeong from the southern part by detouring the corner of Buyongjeong. After all, Buyongjeong is a specially designed garden building, which was constructed to be a royal palace utilizing its minimal space. Third, Cultural Values of Buyongjeong: The Buyongjeong area exhibits a trait that it had been continuously developed and it had reflected complex King’s private garden cultures from King Sejo, Injo, Hyunjong, Sukjong, Jeongjo and so forth. In particular, King Jeongjo had succeded physical, social and imaginary environments established by former kings and invited their government officials for his royal politics. As a central place for his royal politics, King Jeongjo completed Buyongjeong. Therefore, the value of Buyongjeong, as a garden building reflecting permanency of the Joseon Dynasty, can be highly evaluated. In addition, as it reflects Confucianism in the pavilion - represented by distinguishing hierarchical ranks, it is a unique example to exhibit its distinctiveness in a royal garde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