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구과학 문제 해결을 위한 귀추적 추론에서 결정적 증거와 결정적 자원 모델의 역할과 중요성 = The Roles and Importance of Critical Evidence (CE) and Critical Resource Models (CRMs) in Abductive Reasoning for Earth Scientific Problem Solv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279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undergraduate students’ reasoning for solving a problem about a rock and investigate the roles and importance of critical evidence (CE) and critical resource models (CRMs) in abductive reasoning. Participants were 20 senior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a science major course in a university of education. They were asked to abductively infer geologic processes of sedimentary rocks having a lot of holes and represent them with models. Their reasoning were analyzed according to a scheme for modeling-based abductive reasoning. As a result, successful student reasoning was characterized by using a diversity of grains and lots of holes as CE, activating the sedimentary rock formation and weathering as CRMs, and combining the CRMs into a scientifically sound explanatory model (SSEM). By contrast, in the reasoning unsuccessful in proposing a SSEM, students activated the igneous rock (basalt) formation and deposition as resource models (RMs) based on the evidence of the holes in the rocks and diverse grains, respectively, and used the RMs to construct their own explanatory models (EMs). It was suggested that to construct SSEMs to solve earth scientific problems about rocks, students need to know what could be CE in a particular problem situation, take an integrative or systemic approach to a rock problem, use multiple RMs, and evaluate RMs or EMs in light of evidenc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undergraduate students’ reasoning for solving a problem about a rock and investigate the roles and importance of critical evidence (CE) and critical resource models (CRMs) in abductive reasoning. Participa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undergraduate students’ reasoning for solving a problem about a rock and investigate the roles and importance of critical evidence (CE) and critical resource models (CRMs) in abductive reasoning. Participants were 20 senior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a science major course in a university of education. They were asked to abductively infer geologic processes of sedimentary rocks having a lot of holes and represent them with models. Their reasoning were analyzed according to a scheme for modeling-based abductive reasoning. As a result, successful student reasoning was characterized by using a diversity of grains and lots of holes as CE, activating the sedimentary rock formation and weathering as CRMs, and combining the CRMs into a scientifically sound explanatory model (SSEM). By contrast, in the reasoning unsuccessful in proposing a SSEM, students activated the igneous rock (basalt) formation and deposition as resource models (RMs) based on the evidence of the holes in the rocks and diverse grains, respectively, and used the RMs to construct their own explanatory models (EMs). It was suggested that to construct SSEMs to solve earth scientific problems about rocks, students need to know what could be CE in a particular problem situation, take an integrative or systemic approach to a rock problem, use multiple RMs, and evaluate RMs or EMs in light of evide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암석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는 대학생들의 사고 과정을 분석하여 지구과학의 귀추적 추론에서 결정적 증거(CE)와 결정적 자원 모델(CRM)의 역할과 중요성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한 교육대학교에서 과학 심화 전공 과목을 수강하는 20명의 4학년 학생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에게 많은 구멍이 발달한 퇴적암의 지질학적 과정을 귀추적으로 추론하여 모델로 나타내게 하고, 그 과정을 모델링 중심의 귀추적 추론에 관한 도식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한 학생들의 추론은 다양한 알갱이와 많은 구멍을 CE로 삼아 퇴적암의 생성 과정과 풍화 작용을 CRM으로 각각 활성화하고 이들을 결합하여 과학적으로 타당한 설명 모델(SSEM)을 구성하는 특징이 있었다. 반면 문제 암석에 관하여 SSEM을 제안하지 못한 추론에서는 학생들이 많은 구멍이라는 증거로부터 화성암(현무암)의 생성 과정을, 다양한 알갱이라는 증거로부터 퇴적 작용을 자원 모델(RM)로 활성화하고, 이들로부터 자신들의 설명 모델(EM)을 구성하였다. 학생들이 SSEM을 구성하여 암석에 관한 지구과학 문제를 수월하게 해결하기 위해서는 문제 상황에 맞는 CE가 무엇인지 알고, 암석의 특징에 관하여 통합적 또는 시스템적으로 접근하며, 복수의 RM을 활용하고, 증거에 비추어 RM이나 EM을 평가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암석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는 대학생들의 사고 과정을 분석하여 지구과학의 귀추적 추론에서 결정적 증거(CE)와 결정적 자원 모델(CRM)의 역할과 중요성을 살펴보는 것이었...

      본 연구의 목적은 암석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는 대학생들의 사고 과정을 분석하여 지구과학의 귀추적 추론에서 결정적 증거(CE)와 결정적 자원 모델(CRM)의 역할과 중요성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한 교육대학교에서 과학 심화 전공 과목을 수강하는 20명의 4학년 학생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에게 많은 구멍이 발달한 퇴적암의 지질학적 과정을 귀추적으로 추론하여 모델로 나타내게 하고, 그 과정을 모델링 중심의 귀추적 추론에 관한 도식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한 학생들의 추론은 다양한 알갱이와 많은 구멍을 CE로 삼아 퇴적암의 생성 과정과 풍화 작용을 CRM으로 각각 활성화하고 이들을 결합하여 과학적으로 타당한 설명 모델(SSEM)을 구성하는 특징이 있었다. 반면 문제 암석에 관하여 SSEM을 제안하지 못한 추론에서는 학생들이 많은 구멍이라는 증거로부터 화성암(현무암)의 생성 과정을, 다양한 알갱이라는 증거로부터 퇴적 작용을 자원 모델(RM)로 활성화하고, 이들로부터 자신들의 설명 모델(EM)을 구성하였다. 학생들이 SSEM을 구성하여 암석에 관한 지구과학 문제를 수월하게 해결하기 위해서는 문제 상황에 맞는 CE가 무엇인지 알고, 암석의 특징에 관하여 통합적 또는 시스템적으로 접근하며, 복수의 RM을 활용하고, 증거에 비추어 RM이나 EM을 평가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병찬, "지층에 대한 탐구 활동에서 초등영재 학생들의 관찰 및 추리 특성"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8 (28): 476-486, 2009

      2 오필석, "지구과학의 한 탐구 방법으로서 귀추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과학교육학회 25 (25): 610-623, 2005

      3 문병찬, "예비과학교사들의 화성암 육안분류 능력" 한국지구과학회 26 (26): 630-639, 2005

      4 박경진, "예비 과학교사들의 암석에 대한 이해수준에 따른 육안분류 능력" 한국지구과학회 35 (35): 467-483, 2014

      5 서동욱, "야외 지질 학습장의 퇴적암과 지질 구조에 관한 초등학생들의 관찰 및 가설 분석" 한국지구과학회 25 (25): 586-594, 2004

      6 기원서, "백악기 남양분지의 퇴적환경과 구조적 진화" 대한지질학회 42 (42): 329-351, 2006

      7 오필석, "귀추적 사고 과정에서 모델의 역할 - 이론과 경험 연구를 통한 도식화 -" 한국과학교육학회 36 (36): 551-561, 2016

      8 위수민, "광물과 암석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개념 이해의 특징" 한국지구과학회 28 (28): 415-430, 2007

      9 Chalmers, A. F., "What is this thing called science?" Hackett Publishing Company 1999

      10 Raab, T., "What is it like to be a geologist? A phenomenology of geology and its epistemological implications" 5 (5): 69-81, 2002

      1 문병찬, "지층에 대한 탐구 활동에서 초등영재 학생들의 관찰 및 추리 특성"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8 (28): 476-486, 2009

      2 오필석, "지구과학의 한 탐구 방법으로서 귀추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과학교육학회 25 (25): 610-623, 2005

      3 문병찬, "예비과학교사들의 화성암 육안분류 능력" 한국지구과학회 26 (26): 630-639, 2005

      4 박경진, "예비 과학교사들의 암석에 대한 이해수준에 따른 육안분류 능력" 한국지구과학회 35 (35): 467-483, 2014

      5 서동욱, "야외 지질 학습장의 퇴적암과 지질 구조에 관한 초등학생들의 관찰 및 가설 분석" 한국지구과학회 25 (25): 586-594, 2004

      6 기원서, "백악기 남양분지의 퇴적환경과 구조적 진화" 대한지질학회 42 (42): 329-351, 2006

      7 오필석, "귀추적 사고 과정에서 모델의 역할 - 이론과 경험 연구를 통한 도식화 -" 한국과학교육학회 36 (36): 551-561, 2016

      8 위수민, "광물과 암석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개념 이해의 특징" 한국지구과학회 28 (28): 415-430, 2007

      9 Chalmers, A. F., "What is this thing called science?" Hackett Publishing Company 1999

      10 Raab, T., "What is it like to be a geologist? A phenomenology of geology and its epistemological implications" 5 (5): 69-81, 2002

      11 Dodick, J., "Understanding scientific methodology in the historical and experimental sciences via language analysis" 18 : 985-1004, 2009

      12 Ault, C. R. Jr., "Tracking the footprints puzzle : The problematic persistence of science-as-process in teaching the nature and culture of science" 94 (94): 1092-1122, 2010

      13 Tytler, R., "Tracing young children’s scientific reasoning" 33 (33): 433-465, 2003

      14 Chamberlin, T. C., "The method of multiple working hypotheses" 15 : 92-96, 1890

      15 Gray, R., "The distinction between experimental and historical sciences as a framework for improving classroom inquiry" 98 (98): 327-341, 2014

      16 Ford, D. J., "The challenges of observing geologically : Third graders’ descriptions of rock and mineral properties" 89 : 276-295, 2005

      17 Kleinhans, M. G., "Terra incognita : Explanation and reduction in earth science" 19 (19): 289-317, 2005

      18 Raia, F., "Students’ understanding of complex dynamic systems" 53 (53): 297-308, 2005

      19 Dove, J. E., "Student teacher identification of rock types" 44 : 266-269, 1996

      20 Sung, J. Y., "Sixth grade students’ content-specific competencies and challenges in learning the seasons through modeling"

      21 Ministry of Education [MOE], "Science Curriculum"

      22 Stofflett, R. 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of rocks and their formation" 41 : 226-230, 1993

      23 Raymond, L. A., "Petrology: The study of igneous, sedimentary and metamorphic rocks" McGraw-Hill 2002

      24 NGSS Lead States,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 For states, by states"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013

      25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y Press 1996

      26 Kwon, D. H., "Korean landform" Hanulbooks 2006

      27 Kusnick, J., "Growing pebbles and conceptual prisms : Understanding the source of student misconceptions about rock formation" 50 (50): 31-39, 2002

      28 Frodeman, R., "Geological reasoning : Geology as an interpretive and historical science" 107 (107): 960-968, 1995

      29 Frodeman, R., "Geo-logic: Breaking ground between philosophy and the earth science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2003

      30 Miall, A. D., "Empiricism and model-building in stratigraphy : Around the hermeneutic circle in the pursuit of stratigraphic correlation" 1 (1): 27-46, 2004

      31 Jeong, J. -W., "Elementary school children’s conceptions on rock" 13 (13): 1-17, 1994

      32 Turner, C., "Earth matters: The earth sciences, philosophy, and the claims of community" Prentice-Hall 51-62, 2000

      33 Ault, C. R., Jr., "Criteria of excellence for geological inquiry : The necessity of ambiguity" 35 : 189-212, 1998

      34 Clement, J. J., "Creative model construction in scientists and students:The role of imagery, analogy, and mental simulation" Springer 2008

      35 Nersessian, N. J., "Creating scientific concepts"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2008

      36 Oh, P. S., "Characteristics of abductive inquiry in earth science : An undergraduate case study" 95 : 409-430, 2011

      37 Kortz, K. M., "Barriers to college students learning how rocks form" 57 (57): 300-315,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4-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3-09 학회명변경 한글명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과학교육연구소
      영문명 : Scienc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Scienc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4-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범대학부속과학교육연구소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영문명 : Scienc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K.N.U -> Scienc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1.13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02 1.665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