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립대 병원 직원의 직무만족도와 직장애착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국립대 병원의 합리적, 효율적인 인력관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립대 병원 직원의 직무만족도와 직장애착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국립대 병원의 합리적, 효율적인 인력관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
본 연구는 국립대 병원 직원의 직무만족도와 직장애착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국립대 병원의 합리적, 효율적인 인력관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각 독립변수와 매개변수 및 종속변수간의 인과관계 모형을 설정한 후 경로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자료 수집은 전국의 11개 국립대학병원 중에서 병상규모가 유사한 8개 국립대 병원 직원을 대상으로 각 국립대 병원 행정경로를 통해 2003년 10월 27일부터 11월 24일까지 28일간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설문지는 국립대 병원 간호직, 행정직, 기술직, 기능직으로 각각 50명씩 직종별로 구분하여 배포하였으며, 의사직의 경우에는 전임강사 이상을 대상으로 전수 배포하였다. 최종 분석에 사용된 사례수는 1,499부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립변수들의 직무만족도, 직장애착도에 대한 인과모형 추정 결과 직무만족도에는 업무의 다양성, 업무의 명확성, 업무의 양, 업무의 중요도, 직업안정성, 분배공정성, 승진기회, 상사의 지원, 동료의 지원, 자아효능감, 긍정적 심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외부취업기회, 부정적 심성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애착도에는 업무의 중요도, 직업안정성, 분배공정성, 승진기회, 절차공정성, 상사의 지원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외부취업기회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사용된 인과모형의 설명력을 살펴보면 독립변수와 매개변수인 직무만족도가 직장애착도의 변이를 59.1%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모형에서 설정된 구조적 변수, 환경적 변수, 심리적 변수 중에서 직장애착도에 미치는 총효과 측면에서 업무의 다양성, 업무의 명확성, 업무의 일관성, 자아효능감, 긍정적 심성, 절차의 공정성, 일의 중요도, 직업안정성, 분배공정성, 승진기회는 직장애착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지며, 외부취업기회, 부정적 심성은 직장애착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국립대 병원 직원들의 직장애착도에는 구조적변수, 환경적 변수, 심리적 변수들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중에서 경영진의 노력으로 개선이 가능한 변수들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관리가 요망되며, 특히 직장애착도는 직무만족도를 통한 간접효과의 영향이 크므로 국립대 병원 직원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들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