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사성 의존명사가 분포한 ‘하다’ 구문의 구조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442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한국어의 부사성 의존명사가 분포한 ‘하다’ 구문의 구조와 구성요소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부사성 의존명사가 분포한 ‘하다’ 구문은 ‘척하다, 체하다, 듯하다, 양하다,···�...

      이 글은 한국어의 부사성 의존명사가 분포한 ‘하다’ 구문의 구조와 구성요소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부사성 의존명사가 분포한 ‘하다’ 구문은 ‘척하다, 체하다, 듯하다, 양하다,···’ 등의 형식을 지닌 구문으로 이전에는 일괄적으로 의존용언 구문이나 자립용언 구문으로 다루어져 왔다. 하지만 이 글에서는 동사 구문과 형용사 구문이 각각 다른 것으로 보고 내부 구성요소를 살펴보았다. 먼저 동사 구문은 의존동사 ‘하다’가 ‘자립화’를 거쳐 자립동사가 된 것으로 보았는데, 비전형적인 대격조사 ‘을/를’의 분포로 그것이 가속화되었을 것이라 추측하였다. 그리고 형용사 구문은 전형적인 의존형용사 구문으로 부사성 의존명사에 의존하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또 두 구문 모두 부사성 의존명사는 보문절에 의존하는 것으로 해석하여, 두 서술어가 동일한 주어를 공유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ㄱ. 철수가 [<SUB>NP</SUB> [<SUB>CP</SUB> 철수가 아픈] 척]한다.
      ㄴ. 영이가 [<SUB>NP</SUB> [<SUB>CP</SUB> 영이가 아픈] 듯]하다.

      그리고 부사성 의존명사와 ‘하다’가 하나의 언어형식으로 해석되는 이유에 대하여 그것이 접어적 구성이기 때문이라고 보았는데, 특히 ‘척하다’ 등은 자립용언임에도 접어적 구성을 형성하여 그것이 의존동사에서 기원되었음을 주장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discusses the structure and its compositional factors of the ‘hada’ sentence’ where adverbial dependent nouns are distributed. Previously, the ‘hada’ sentence’s distribution of the adverbial dependent nouns has been wholly refer...

      This paper discusses the structure and its compositional factors of the ‘hada’ sentence’ where adverbial dependent nouns are distributed. Previously, the ‘hada’ sentence’s distribution of the adverbial dependent nouns has been wholly referred to as either a dependent verb sentence or an independent verb sentence. However, this paper now sees the verbal sentence and adjectival sentence as two separate entities and analysed its compositional factors separately. In a verbal sentence, the dependent verb ‘hada’ goes through a process called ‘to make independent’ and becomes an independent verb. It is assumed that the use of the typical accusative marker ‘eul/reul’ accelerated this process. On the other hand, an adjectival sentence follows the typical dependent verbal sentence and is dependent on the adverbial dependent noun. All adverbial dependent nouns in both sentences are interpreted to be dependent on complement clauses and both predicates are therefore considered to share the same subject as well.

      ㄱ. 철수가 [<SUB>NP</SUB> [<SUB>CP</SUB> 철수는 아픈] 척]한다.
      ㄴ. 영이가 [<SUB>NP</SUB> [<SUB>CP</SUB> 영이는 아픈] 듯]하다.

      In addition, the clitic composition is perceived to be the reason for considering the adverbial dependent noun and ‘hada’ as one word. In particular, ‘cŭkhada and others formed the clitic compositions even though it was independent verbs, claiming that it originated from dependent verb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초록
      • 1. 서론
      • 2. 선행연구
      • 3. 구문의 상세 분석
      • 4. 접어적 구성
      • 국문 초록
      • 1. 서론
      • 2. 선행연구
      • 3. 구문의 상세 분석
      • 4. 접어적 구성
      • 5.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