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총정맥영양에 의한 미숙아 담즙정체증에서혈청 담즙산의 진단적 의의 = The diagnostic significance of serum bile acid ontotal parenteral nutrition induced cholestasis in premature infa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491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agnostic significance of serum bile acid on total parenteral nutrition induced cholestasis in premature infants. Methods:Infants without cholestasis were classified into postnatal days and each ch...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agnostic significance of serum bile acid on total parenteral nutrition induced cholestasis in premature infants.
      Methods:Infants without cholestasis were classified into postnatal days and each change of serum bile acid was measured and analyzed. Also, the serum direct bilirubin, serum bile acid, γ-glutamic acid transferase, and alkaline phosphatase of premature infants with total parenteral nutrition induced cholestasis were measured for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ir correlation.
      Results:Changes of serum bile acid analysis after birth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between premature infants and term infants without cholestasis. Serum bile acid levels are constant after two weeks after birth in neonates without cholestasis. In premature infants with total parenteral nutrition induced cholestasis, the increase of serum direct bilirubin over 2 mg/ dL was 34.9±18.3 days after birth, and the increase of serum bile acid was 28.1±18.3 days. Its increase was about 1 week faster than serum direct bilirubin,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P=0.114). Comparing analysis of serum bile acid, γ-glutamic acid transferase, and alkaline phosphatase, serum bile acid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to serum direct bilirubin(r=0.487, P= 0.000).
      Conclusion:Serum bile acid is an important parameter of total parenteral nutrition induced cholestasis in premature infants and will be useful for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 적 : 담즙 흐름의 결정적인 인자는 담즙산의 장간순환이며, 담즙 흐름이 저하되면 직접 빌리루빈 분비 장애가 오고 혈청 직접 빌리루빈과 혈청 담즙산이 증가한다. 담즙산은 연장아나 성...

      목 적 : 담즙 흐름의 결정적인 인자는 담즙산의 장간순환이며, 담즙 흐름이 저하되면 직접 빌리루빈 분비 장애가 오고 혈청 직접 빌리루빈과 혈청 담즙산이 증가한다. 담즙산은 연장아나 성인에서 급만성 간염, 간경화, 담즙정체증 등의 진단에 도움이 되는 지표이다. 신생아의 간은 담즙산 저장이 저하되어 있고 담즙산의 흡수와 분비가 미성숙하며 장간순환이 감소되어 있다. 저자들은 총정맥영양에 의한 미숙아 담즙정체증에서 혈청 담즙산의 진단적 의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방 법 : 2004년 1월부터 2005년 7월까지 충남대학교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하였던 신생아들 중 선천성 감염, 패혈증, 간외담도폐쇄증, 해부학적 소화기계 이상이 배제되고 담즙정체가 없었던 신생아들을 선별하여 생후 1일부터 60일까지 혈청 담즙산을 측정하고 그 변화를 분석하였다. 총정맥영양에 의한 담즙정체증으로 진단되었던 미숙아들에서 혈청 직접 빌리루빈, 혈청 담즙산, 감마글루탐산전이효소, 알칼리인산분해효소를 측정하고 상호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결 과 : 담즙정체증이 없는 신생아는 292명으로 남아 156명(53.4%), 여아 136명(46.6%)이었고 만삭아 199명(68.2%), 미숙아 93명(31.8%)이었다. 담즙정체증이 없는 신생아에서 출생 당시 혈청 담즙산은 15.03±7.43 mol/L이었으며, 점차 상승하여 생후 2주 이후에는 20-25 mol/L으로 비교적 일정하였다. 총정맥영양에 의한 담즙정체증이 있었던 미숙아는 34명으로 남아 13명(38.2%), 여아 21명(61.8%)이었으며 재태연령과 출생체중은 각각 30+2±2+3주, 1,381.1±403.6 g이었다. 총정맥영양에 의한 미숙아 담즙정체증이 있었던 미숙아에서 혈청 담즙산이 95% 신뢰구간의 상한값인 40.78 mol/L을 넘는 시기는 28.1±18.3일이었고 혈청 직접 빌리루빈이 2.0 mg/dL 이상으로 상승된 시기는 34.9±18.3일로 혈청 담즙산 농도의 상승이 혈청 직접 빌리루빈의 상승보다 약 7일 먼저 선행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혈청 담즙산, 감마글루탐산전이효소, 알칼리인산분해효소를 비교 분석하였을 때, 혈청 직접 빌리루빈과 가장 상관성이 높은 지표는 혈청 담즙산이었다(r=0.487, P=0.000).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bile flow and biliary lipid secretion in humans" hepatology1990

      2 "Update on the etiologies and management of neonatal cholestasis" 29 : 159-180, 2002

      3 "Total parenteral nutrition-associated intrahepatic cholestasis in infants:25 years' experience" 35 : 1049-1051, 2000

      4 "The pathology of cholestasis" 24 : 21-42, 2004

      5 "The changing pattern of diagnosis of infantile cholestasis" 37 : 47-50, 2001

      6 "Parenteral nutrition associated liver disease" 8 : 375-381, 2003

      7 "New approaches to understanding the etiology and treatment of total parenteral nutrition-associated cholestasis" 8 : 140-147, 1999

      8 "Neonatal cholestasis" 7 : 153-165, 2002

      9 "Neonatal cholestasis" 73 (73): 187-197, 2000

      10 "Hyperammonemia accompanying parenteral nutrition in newborn infants" 81 : 154-61, 1972

      1 "bile flow and biliary lipid secretion in humans" hepatology1990

      2 "Update on the etiologies and management of neonatal cholestasis" 29 : 159-180, 2002

      3 "Total parenteral nutrition-associated intrahepatic cholestasis in infants:25 years' experience" 35 : 1049-1051, 2000

      4 "The pathology of cholestasis" 24 : 21-42, 2004

      5 "The changing pattern of diagnosis of infantile cholestasis" 37 : 47-50, 2001

      6 "Parenteral nutrition associated liver disease" 8 : 375-381, 2003

      7 "New approaches to understanding the etiology and treatment of total parenteral nutrition-associated cholestasis" 8 : 140-147, 1999

      8 "Neonatal cholestasis" 7 : 153-165, 2002

      9 "Neonatal cholestasis" 73 (73): 187-197, 2000

      10 "Hyperammonemia accompanying parenteral nutrition in newborn infants" 81 : 154-61, 1972

      11 "Hyperalimentation associated hepatotoxicity in the newborn" 22 : 79-84, 1992

      12 "Hepatic injury induced by bile salts:correlation between biochemical and morphological events" 12 : 1216-21, 1990

      13 "Gamma-glutamyltransferase:value of its measurement in paediatrics" 39 : 22-25, 2002

      14 "Early cholestasis in premature infants receiving total parenteral nutrition:a possible consequence of shock and hypoxia" 5 : 259-261, 1995

      15 "Clinical pathology file" Euihak Publishing & Printing Co 2000

      16 "Cholestasis in infancy:1" 50 : 674-7, 1993

      17 "Cholestasis associated with long-term parenteral hyperalimentation" 106 : 58-62, 1973

      18 "Bacterial infection:the main cause of acute cholestasis in newborn infants receiving short-term parenteral nutrition" 8 : 297-303,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