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광주·전남 체육고 학생들의 운동만족도와 일탈행동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Degree of Athletic Satisfaction and Deviant Behavior in Gwangju and Chonnam Athletics High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659027

      • 저자
      • 발행사항

        무안군 :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2006. 2

      • 발행연도

        2006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692.3 판사항(4)

      • DDC

        796.01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전라남도

      • 형태사항

        vi, 50p. : 삽도 ; 26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39-44

      • 소장기관
        • 국립목포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체육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운동만족도와 일탈행동의 차이를 분석하여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지도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성별에 따른 운동만족도 결과는 남자가 여자보다 운동만족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운동경력에 따른 운동만족도 결과는 운동경험이 3년 미만인 학생이 3년 이상인 학생보다 운동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입상경험에 따른 운동만족도 결과는 입상경험이 없는 학생이 입상경험이 있는 학생보다 운동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경기종목에 따른 운동만족도는 신체적 접촉이 없는 비접촉 경기종목 학생이 접촉경기종목 학생보다 운동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성별에 따른 일탈행동 결과는 남자가 여자보다 일탈행동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일탈행동중 반사회적 일탈행동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운동경력에 따른 일탈행동 결과는 운동경험이 3년이상인 학생이 3년미만인 학생보다 일탈행동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일탈행동중 반사회적 일탈행동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입상경험에 따른 일탈행동 결과는 입상경험이 있는 학생이 없는 학생보다 일탈행동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8) 경기종목 유형에 따른 일탈행동 결과는 신체적 접촉이 있는 접촉선수가 비접촉선수보다 일탈행동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일탈행동중 반사회적 일탈행동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체육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운동만족도와 일탈행동의 차이를 분석하여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지도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

      본 연구는 체육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운동만족도와 일탈행동의 차이를 분석하여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지도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성별에 따른 운동만족도 결과는 남자가 여자보다 운동만족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운동경력에 따른 운동만족도 결과는 운동경험이 3년 미만인 학생이 3년 이상인 학생보다 운동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입상경험에 따른 운동만족도 결과는 입상경험이 없는 학생이 입상경험이 있는 학생보다 운동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경기종목에 따른 운동만족도는 신체적 접촉이 없는 비접촉 경기종목 학생이 접촉경기종목 학생보다 운동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성별에 따른 일탈행동 결과는 남자가 여자보다 일탈행동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일탈행동중 반사회적 일탈행동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운동경력에 따른 일탈행동 결과는 운동경험이 3년이상인 학생이 3년미만인 학생보다 일탈행동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일탈행동중 반사회적 일탈행동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입상경험에 따른 일탈행동 결과는 입상경험이 있는 학생이 없는 학생보다 일탈행동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8) 경기종목 유형에 따른 일탈행동 결과는 신체적 접촉이 있는 접촉선수가 비접촉선수보다 일탈행동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일탈행동중 반사회적 일탈행동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degree of athletic satisfaction and deviant behavior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 in athletics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 the students well, and collect data for their instruction.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361 Gwangju and Chonnam Athletics High School Students selected at rando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program SPSS/PC and T-test.
      The results and conclusions were as follows.
      1) In the degree of athletic satisfaction by sex, male athletes are higher than female athletes, which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
      2) In the degree of athletic satisfaction by athletic career, athletes who have more than 3 years' athletic career are higher than ones who have not, which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
      3) In the degree of athletic satisfaction by prize career, athletes who have not won are higher than ones who have won, which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
      4) In the degree of athletic satisfaction by sports event, athletes in noncontact game are higher than ones in contact game, which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5) In the deviant behavior by sex, male athletes are higher than female athletes, which shows significant relationship.
      6) In the deviant behavior by athletic career, athletes who have more than 3 years' athletic career are higher than athletes who have not, which has significant relationship in the point of unsocial and antisocial behavior level.
      7) In the deviant behavior by prize career, athletes who have won prize are higher than ones who have not, which shows significant relationship.
      8) In the deviant behavior by sports event, athletes in contact game are higher than ones in noncontact game, which has significant relationship.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degree of athletic satisfaction and deviant behavior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 in athletics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 the students well, and collect data for their instruction. 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degree of athletic satisfaction and deviant behavior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 in athletics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 the students well, and collect data for their instruction.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361 Gwangju and Chonnam Athletics High School Students selected at rando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program SPSS/PC and T-test.
      The results and conclusions were as follows.
      1) In the degree of athletic satisfaction by sex, male athletes are higher than female athletes, which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
      2) In the degree of athletic satisfaction by athletic career, athletes who have more than 3 years' athletic career are higher than ones who have not, which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
      3) In the degree of athletic satisfaction by prize career, athletes who have not won are higher than ones who have won, which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
      4) In the degree of athletic satisfaction by sports event, athletes in noncontact game are higher than ones in contact game, which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5) In the deviant behavior by sex, male athletes are higher than female athletes, which shows significant relationship.
      6) In the deviant behavior by athletic career, athletes who have more than 3 years' athletic career are higher than athletes who have not, which has significant relationship in the point of unsocial and antisocial behavior level.
      7) In the deviant behavior by prize career, athletes who have won prize are higher than ones who have not, which shows significant relationship.
      8) In the deviant behavior by sports event, athletes in contact game are higher than ones in noncontact game, which has significant relationship.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 <Abstract> = ⅴ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 = 3
      • 목차 = ⅰ
      • <Abstract> = ⅴ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 = 3
      • 3. 연구의 가설 = 3
      • 4. 연구의 제한점 = 4
      • 5. 용어의 정의 = 5
      • Ⅱ. 이론적 배경 = 7
      • 1. 운동 만족도의 개념 = 7
      • 2. 일탈의 개념 = 9
      • 1) 일탈의 정의 = 9
      • 2) 일탈행동의 사회학적 이론 = 11
      • 3. 선행연구 = 17
      • Ⅲ. 연구 방법 = 18
      • 1. 연구대상 = 18
      • 2. 연구절차 내용 및 조사방법 = 19
      • 3. 조사 도구 = 20
      • 4. 자료처리 = 24
      • Ⅳ. 결과 및 논의= 25
      • 1. 연구 결과 = 25
      • 1) 가설Ⅰ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운동만족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25
      • 2) 가설Ⅱ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일탈행동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28
      • 3. 논의 = 32
      • Ⅴ. 결론 및 제언 = 36
      • 1. 결론 = 36
      • 2. 제언 = 38
      • 참고문헌 = 39
      • <국문초록> = 45
      • 설문지 = 4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