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한국 현대 수필문학의 이론과 비평에 대한 역사적 문맥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그 생산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지금까지 이루어진 학술연구의 현황과 전개 양상 등을 고찰하면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505959
201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31-257(27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한국 현대 수필문학의 이론과 비평에 대한 역사적 문맥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그 생산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지금까지 이루어진 학술연구의 현황과 전개 양상 등을 고찰하면서 ...
본고는 한국 현대 수필문학의 이론과 비평에 대한 역사적 문맥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그 생산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지금까지 이루어진 학술연구의 현황과 전개 양상 등을 고찰하면서 그 방향과 문제적 지점을 진단하고자 한다. 창작과 비평과 이론, 그리고 학술연구가 조화로운 상보관계를 유지하는 일은, 그 장르적 특성상 그동안 노골적으로 문학으로서의 정체성을 의심받던 수필에 대한 차별성과 오류를 청산할 수 있는 최량(最良)의 출발점이자 목표점이기 때문이다. 특히 대학의 일방적 구조조정으로 인문학이 점점 위축되고 황폐화되는 학계 상황에서 인간학이라 불리며 인문학적 통찰력을 글쓰기의 궁극적 지향으로 삼는 수필문학에 대한 학술연구의 성과와 축적은 성과주의와 활용가치에 포위된 채 파국으로 치닫는 학문 생태계에 인문학의 건실한 성장 및 진흥을 위한 새로운 실험이 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첫째, 미적 논리와 소통체계를 구비한 새로운 수필이론의 필요성이다. 새로운 수필이론이란 수필의 본질과 정체성을 확대하고 심화시키는 것은 물론, 새로운 시대와 당대인들의 문학적 욕구를 담아낼 수 있는 창작원리와 비평원리를 내포해야 한다. 그것이 실험적이건, 전통의 재생산 방식이건 새로운 시대철학과 새로운 예술정신을 바람직하게 포용할 수 있는 미적 논리와 소통 체계를 구비해야 한다. .
둘째, 수필문학의 비평가 양성과 학문적 연구 토대의 활성화다. 이는 창작 쪽에 편중되어 있는 수필문학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문학으로서의 수필의 위상을 귀납적으로 실증하는 비평과 학술연구 등의 생산으로 이행된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미가 있다. 특히 학술연구는 수필문학 발전을 위한 전문가 양성 과정에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셋째, 새로운 작가 발굴 및 조명이다. 수필하면 피천득과 이양하의 글을 떠올리고, 교과서적 수필의 범주를 벗어나는 것을 죄악시하는 문화적 풍토가 수필문학계에 계속되는 한, 한국 수필의 혁신적 진전은 기대할 수 없다. 최근 몇몇 작가와 작품에만 국한되었던 연구 경향에서 벗어나 새로운 작가와 작품에 대한 조명이 시도되고 있지만, 대체로 이전의 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소재와 내용, 그리고 형식의 자유로운 변혁과 무한한 발전을 기할 수 있는 장르가 수필이라는 점을 생각할 때 수필계의 자기반성과 심기일전이 요청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ortance of essay literature theory and criticism, an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academic research. Creativity, criticism, and theory should form a desirable tense relationship while maintaining harmonious compl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ortance of essay literature theory and criticism, an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academic research. Creativity, criticism, and theory should form a desirable tense relationship while maintaining harmonious complementarity. This is because a healthy essay can open the way for literary development. Essay literature lacks significant theory and research compared to other genres. Research on it constitutes a framework of the theoretical system of essays and involves the establishment of the internal principle of essay as literature. Therefore, what we most desperately need in our essay paragraphs is the direction in which to develop.
First, there is the necessity of the new essay theory with aesthetic logic and communication system. The new essay should contain the principle of creation and criticism that can not only enlarge and deepen the essence and identity of the essay, but also embody the literary desires of the new era and contemporary people.
Second, it involves the promotion of successive generations, experts in essay literature, and the development of a robust academic research foundation. Academic research is necessary for the qualitative development of essay literature lacking theory and research as compared to other genres, to discover, interpret, and correct truths by studying and thinking deeply about scholarship. In order to develop essay literature, it is necessary to train specialists. Academic research is the place to develop the competence of these experts.
Third, it is a new artist discovery and illumination. It is necessary to have the illumination of the new writer and the work from the research of the limited writer and the work. Considering that the genre that can freely and infinitely change and develop the material, content, and form is an essay, it is entreated that self-reflection and ingraining of the essay system should be done. Presently, it is necessary to study new writers and works away from the existing limited studi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아영, "협동학습을 활용한 수필 교육 연구 : 제 7차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의 수필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 정목일, "한국수필잡지의 현황과 과제" 한국수필학회 17 : 2009
3 정목일, "한국 수필문학 번영기의 현황과 과제" 한국수필학회 16 : 2008
4 "학위논문, 일반학술지, 등재(후보) 학술지 목록"
5 에드워드 윌슨, "통섭" 사이언스북스 2008
6 폴 발레리, "작품 전집 1권" 갈리마르 1441-, 1957
7 윤재천, "윤재천 수필문학 전집 1" 문학관 410-411, 2008
8 이상섭,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연구" 문학과지성사 2002
9 다비드 퐁텐, "시학-문학 형식 일반론 입문" 동문선 2001
10 이원동, "수필의 형상성과 모럴-임화의 ‘수필론’에 대하여" 수필미학사 2013
1 임아영, "협동학습을 활용한 수필 교육 연구 : 제 7차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의 수필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 정목일, "한국수필잡지의 현황과 과제" 한국수필학회 17 : 2009
3 정목일, "한국 수필문학 번영기의 현황과 과제" 한국수필학회 16 : 2008
4 "학위논문, 일반학술지, 등재(후보) 학술지 목록"
5 에드워드 윌슨, "통섭" 사이언스북스 2008
6 폴 발레리, "작품 전집 1권" 갈리마르 1441-, 1957
7 윤재천, "윤재천 수필문학 전집 1" 문학관 410-411, 2008
8 이상섭,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연구" 문학과지성사 2002
9 다비드 퐁텐, "시학-문학 형식 일반론 입문" 동문선 2001
10 이원동, "수필의 형상성과 모럴-임화의 ‘수필론’에 대하여" 수필미학사 2013
11 신재기, "수필의 자폐성을 넘어서" 소소담담 62-, 2016
12 안성수, "수필오디세이 2권" 수필과비평사 148-151, 2015
13 박양근, "수필미학의 정립을 위하여" 한국수필학회 19 : 53-, 2011
14 최원현, "수필 전문지를 통해 본 한국 현대수필 발달사" 수필미학사 2015
15 박진, "서사학과 텍스트 이론" 소명출판 23-, 2014
16 제라르 즈네트, "서사담론" 교보문고 1992
17 유종호, "사회역사적 상상력" 민음사 30-, 1987
18 허만욱, "변해명 수필의 미적 특성 연구" 국제한인문학회 1 (1): 145-180, 2016
19 허만욱, "다매체 융합시대, 수필문학의 발전 전략 연구" 중앙어문학회 (48) : 383-399, 2011
20 한상렬, "고민하는 문학을 위한, 수필비평의 바라기" 수필미학사 21-22, 2014
21 "<수필미학> 1호(2013)~16호(2017)" 수필미학사 2013
22 문혜윤, "1930년대 수필의 장과 장르의 역학" 반교어문학회 (29) : 33-63, 2010
대학 신입생의 글쓰기에 나타난 대학의 장소성과 대학 적응 과정 고찰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4 | 0.74 | 0.6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2 | 0.6 | 1.173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