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관거는 강우 발생 시 우수를 원활히 배제하여 도심지에서의 침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하지만 기후변화에 따른 평균 해수면의 상승이 방류토구를 잠식시킬 경우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045787
대전 : 한밭대학교 대학원, 2022
2022
한국어
우수관망 ; 해수면 상승 ; 내수침수 ; 신뢰도 ; 방재성능목표 강우량 ; Flood Nomograph
대전
78 ; 26 cm
지도교수: 李 政 浩 (이정호)
I804:25001-20000060184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우수관거는 강우 발생 시 우수를 원활히 배제하여 도심지에서의 침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하지만 기후변화에 따른 평균 해수면의 상승이 방류토구를 잠식시킬 경우 ...
우수관거는 강우 발생 시 우수를 원활히 배제하여 도심지에서의 침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하지만 기후변화에 따른 평균 해수면의 상승이 방류토구를 잠식시킬 경우 우수관거의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한다. 또한 해수면의 상승은 그 영향 범위 내의 하천 수위의 상승으로 이어지며, 이는 해안 및 하천으로 방류되는 토구의 잠식에 따른 내수침수 발생 가능성을 증대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해수면 상승을 고려한 해안 방류 도시의 내수침수 피해 저감 및 홍수방어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해수면 상승 영향에 의해 가중되는 내수침수 발생 위험을 사전에 인지하고, 이에 따른 도시침수 예측을 위한 새로운 경계조건의 구성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수관망 신뢰도 이론을 바탕으로 EPA-SWMM 강우-유출 모델을 이용하여 지속시간· Case ·강우량 별 우수관거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기존의 신뢰도 인자인 월류량 발생 비율과 월류 지점 발생 개수의 인자에서 월류 발생 시간 인자를 추가하여 신뢰도를 산출하였다. 산출된 지역 별 신뢰도를 바탕으로 해수면 상승에 따른 Flood Nomograph와 방재성능목표 조정 강우량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해안지역의 지역적 특성과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고려한 Flood Nomograph 및 방재성능목표 조정 강우량을 선정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해안에 위치하고 있는 중·소 도시들에 대한 홍수 예·경보 자료로써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기후변화를 고려하여 연안 도시들에 대한 내수침수 위험도 평가 및 방재성능목표 개선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