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랑선비·청정각시>에서 청정각시의 감정을 통해 본 신성의 의미 = A sacred meaning focusing on the emotions of Cheongjeonggaksi in <Dorangseonbi and Cheongjeonggaks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110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함경도 무속신화 <도랑선비·청정각시>에서 서사를 지배하는 청정각시의 감정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서사의 논리를 새롭게 살펴보았다. 그동안 <도랑선비·청정각시> 연구는 청정각시의 과제 수행과 죽음의 의미를 두고 다양한 각도에서 논의되어왔다. 본고는 선행 연구에서 해명하려고 했던 고난과 죽음에 대한 의미를 청정각시의 감정에 주목하여 심층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청정각시에게서 새로운 신의 자질과 면모를 읽어보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서사 전반을 지배하는 청정각시의 감정은 ‘슬픔’과 ‘기쁨’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감정 표출은 남성 인물로부터 통제와 억압의 대상이 되어 청정각시를 조종하고자 한다. 청정각시가 자발적으로 수행한 과제와 자결(自決)의 의미를 도랑선비와의 만남을 위한 방편으로 이해한다면 일부종사(一夫從事)를 실천하는 열녀의 이미지를 쉽게 떠올릴 수 있다. 청정각시가 수행하는 고난이 남성 권력의 상징으로 작용할 때, 청정각시의 감정은 통제되고 순종적인 여성으로 이미지가 왜곡된다. 하지만 이는 남성 주체의 관점에서 조작된 것이며, 이러한 이데올로기의 모순을 청정각시의 감정이 함의하는 바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청정각시가 겪는 고난의 본질적인 원인은 도랑선비의 죽음에 있는 것이 아니라, 만남에 집착하는 애착심에 있다. 이로부터 고난의 여정이 시작되어, 슬픔과 괴로움을 일으키는 사건의 발단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에 청정각시가 죽음을 선택하면서 기뻐할 수 있었던 것은 고통의 집착에서 벗어나 청정심(淸淨心)을 찾았다는 깨달음의 감정 표시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리하여 바람직한 여성상, 헌신적 사랑과 희생 프레임에 가리어진 청정각시는 주체적인 인물로 재해석된다. 나아가 신화적 인물의 신성성은 감정의 논리에 따라 새로운 의미를 획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함경도 무속신화 <도랑선비·청정각시>에서 서사를 지배하는 청정각시의 감정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서사의 논리를 새롭게 살펴보았다. 그동안 <도랑선비·청정각시> 연�...

      이 논문은 함경도 무속신화 <도랑선비·청정각시>에서 서사를 지배하는 청정각시의 감정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서사의 논리를 새롭게 살펴보았다. 그동안 <도랑선비·청정각시> 연구는 청정각시의 과제 수행과 죽음의 의미를 두고 다양한 각도에서 논의되어왔다. 본고는 선행 연구에서 해명하려고 했던 고난과 죽음에 대한 의미를 청정각시의 감정에 주목하여 심층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청정각시에게서 새로운 신의 자질과 면모를 읽어보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서사 전반을 지배하는 청정각시의 감정은 ‘슬픔’과 ‘기쁨’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감정 표출은 남성 인물로부터 통제와 억압의 대상이 되어 청정각시를 조종하고자 한다. 청정각시가 자발적으로 수행한 과제와 자결(自決)의 의미를 도랑선비와의 만남을 위한 방편으로 이해한다면 일부종사(一夫從事)를 실천하는 열녀의 이미지를 쉽게 떠올릴 수 있다. 청정각시가 수행하는 고난이 남성 권력의 상징으로 작용할 때, 청정각시의 감정은 통제되고 순종적인 여성으로 이미지가 왜곡된다. 하지만 이는 남성 주체의 관점에서 조작된 것이며, 이러한 이데올로기의 모순을 청정각시의 감정이 함의하는 바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청정각시가 겪는 고난의 본질적인 원인은 도랑선비의 죽음에 있는 것이 아니라, 만남에 집착하는 애착심에 있다. 이로부터 고난의 여정이 시작되어, 슬픔과 괴로움을 일으키는 사건의 발단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에 청정각시가 죽음을 선택하면서 기뻐할 수 있었던 것은 고통의 집착에서 벗어나 청정심(淸淨心)을 찾았다는 깨달음의 감정 표시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리하여 바람직한 여성상, 헌신적 사랑과 희생 프레임에 가리어진 청정각시는 주체적인 인물로 재해석된다. 나아가 신화적 인물의 신성성은 감정의 논리에 따라 새로운 의미를 획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article, Hamgyeong-do shamanistic myths <Dorangseonbi and Cheongjeonggaksi>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emotions of Cheongjeonggaksi, who dominates the narrative, and the logic of the narrative is examined anew. To date, the research on “Dorang Seonbi and Cheongjeonggaksi” has largely been devoted to explaining the meaning of the task and death in the context of the ritual. This article focuses on the feelings of Cheongjeonggaksi regarding the meaning of suffering and death that previous research tried to clarify and attempts to determine the deep meaning of this myth. The feelings of Cheongjeonggaksi, which can be found throughout the narrative, can be summed up as “sadness” and “delight.” However, this expression of emotion is subject to control and oppression from the male characters and is intended to manipulate Cheongjeonggaksi. If one understands the tasks that Cheongjeonggaksi carried out voluntarily and the meaning of killing oneself to meet Dorang Seonbi, one can easily imagine the image of a virtuous woman. However, this was created from a male-dominated perspective, and such ideological contradictions can be confirmed from the perspective of Cheongjeonggaks’s emotions. Nevertheless, the origin of the grief and suffering of Cheongjeonggaksi is not Dorangseonbi’s death. Internal factors caused by obsession are more problematic. It was confirmed that the journey of hardship was started and that it would be the beginning of an incident that caused sadness and suffering. In the end, Cheongjeonggaksi’s delight in choosing death is the realization that the agony is over, free from obsession. This suggests that the death of Cheongjeonggaksi was a release from the bondage of life and a liberation from pain. A female image, devoted love, and sacrifice are reinterpreted as a self-reliant person. The sacredness of mythical characters suggests that emotional logic can gain new meanings.
      번역하기

      In this article, Hamgyeong-do shamanistic myths <Dorangseonbi and Cheongjeonggaksi>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emotions of Cheongjeonggaksi, who dominates the narrative, and the logic of the narrative is examined anew. To date, the research o...

      In this article, Hamgyeong-do shamanistic myths <Dorangseonbi and Cheongjeonggaksi>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emotions of Cheongjeonggaksi, who dominates the narrative, and the logic of the narrative is examined anew. To date, the research on “Dorang Seonbi and Cheongjeonggaksi” has largely been devoted to explaining the meaning of the task and death in the context of the ritual. This article focuses on the feelings of Cheongjeonggaksi regarding the meaning of suffering and death that previous research tried to clarify and attempts to determine the deep meaning of this myth. The feelings of Cheongjeonggaksi, which can be found throughout the narrative, can be summed up as “sadness” and “delight.” However, this expression of emotion is subject to control and oppression from the male characters and is intended to manipulate Cheongjeonggaksi. If one understands the tasks that Cheongjeonggaksi carried out voluntarily and the meaning of killing oneself to meet Dorang Seonbi, one can easily imagine the image of a virtuous woman. However, this was created from a male-dominated perspective, and such ideological contradictions can be confirmed from the perspective of Cheongjeonggaks’s emotions. Nevertheless, the origin of the grief and suffering of Cheongjeonggaksi is not Dorangseonbi’s death. Internal factors caused by obsession are more problematic. It was confirmed that the journey of hardship was started and that it would be the beginning of an incident that caused sadness and suffering. In the end, Cheongjeonggaksi’s delight in choosing death is the realization that the agony is over, free from obsession. This suggests that the death of Cheongjeonggaksi was a release from the bondage of life and a liberation from pain. A female image, devoted love, and sacrifice are reinterpreted as a self-reliant person. The sacredness of mythical characters suggests that emotional logic can gain new meaning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2. 남성 주체로부터 감정 통제와 억압의 방식 3. 청정각시의 감정 표출과 신성의 의미 3.1. 슬픔: 신성과 주술의 상징 3.2. 기쁨: 청정심(淸淨心)의 회복 4. 맺음말
      • 1. 머리말 2. 남성 주체로부터 감정 통제와 억압의 방식 3. 청정각시의 감정 표출과 신성의 의미 3.1. 슬픔: 신성과 주술의 상징 3.2. 기쁨: 청정심(淸淨心)의 회복 4.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헌선, "함경도 무속서사시연구-도랑선배‧청정각시노래를 중심으로" 8 : 219-256, 1999

      2 신연우, "함경도 무가 <도랑선비 청정각시>의 원형성과 역사성" 한국고전여성문학회 (38) : 5-31, 2019

      3 임석재, "함경도 망묵굿" 열화당 1985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5 김태곤, "한국무가집, 3권" 집문당 1978

      6 손진태, "조선신가유편" 박이정 2012

      7 조현설, "여신의 서사와 주체의 생산" 민족문학사학회 18 : 219-242, 2001

      8 Anonymous, "숭고와 아름다움의 관념에 기원에 대한 철학적 탐구" 마티 13-313, 2019

      9 서영숙, "서사무가 <도랑선비 청정각시>와 혼사장애형 민요 비교" 8 : 125-157,

      10 안옥선, "불교에서 본 진리 : 고통, 진리, 진리의 방편성" 범한철학회 44 (44): 1-24, 2007

      1 김헌선, "함경도 무속서사시연구-도랑선배‧청정각시노래를 중심으로" 8 : 219-256, 1999

      2 신연우, "함경도 무가 <도랑선비 청정각시>의 원형성과 역사성" 한국고전여성문학회 (38) : 5-31, 2019

      3 임석재, "함경도 망묵굿" 열화당 1985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5 김태곤, "한국무가집, 3권" 집문당 1978

      6 손진태, "조선신가유편" 박이정 2012

      7 조현설, "여신의 서사와 주체의 생산" 민족문학사학회 18 : 219-242, 2001

      8 Anonymous, "숭고와 아름다움의 관념에 기원에 대한 철학적 탐구" 마티 13-313, 2019

      9 서영숙, "서사무가 <도랑선비 청정각시>와 혼사장애형 민요 비교" 8 : 125-157,

      10 안옥선, "불교에서 본 진리 : 고통, 진리, 진리의 방편성" 범한철학회 44 (44): 1-24, 2007

      11 강새미, "무속신화 속 ‘감당할 수 없는 불행’의 맥락과 의미 연구-<도랑선비 청정각시>와 <지장본풀이>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9

      12 윤준섭, "<도랑선비․청정각시>에 나타난 청정각시 죽음의 의미 -희생제의의 전통과 관련하여-" 한국고전문학회 (53) : 233-270, 2018

      13 한양하, "<도랑선비 청정각시>에 나타난 혼사장애와 시련의 의미" 한국구비문학회 (30) : 67-99, 2010

      14 이은희, "<도랑선비 청정각시>에 나타난 부부서사의 특성과 문학치료적 가치 - 부부서사의 ‘지속’을 위한 청정각시의 과제 수행을 중심으로 -" 한국문학치료학회 29 : 105-137, 2013

      15 정제호, "<도랑선비 청정각시>에 나타난 고난의 의미와 제의적 기능"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3 : 65-88, 2017

      16 김선현, "<도랑선비 청정각시>에 나타난 경계 공간의 서사적 함의" 한국구비문학회 (44) : 5-34, 2017

      17 이복규, "(원문대조) 한국신화" 민속원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64 1.574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