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니 체,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책세상 2000
2 한스게오르크 가다머, "진리와 방법 I‧II" 문학동네 2000
3 니 체, "즐거운 학문‧메시나에서의 전원시‧유고(1881년 봄∼1882년 여름)" 책세상 2005
4 니 체, "유고(1887년 가을~1888년 3월" 책세상 2000
5 니 체, "유고(1885년 가을~1887년 가을)" 책세상 2005
6 이선, "예술적 힘으로서의 정동 - 니체 철학을 중심으로" 한국동서철학회 (98) : 465-492, 2020
7 마르틴 하이데거, "숲길" 나남 2007
8 니 체, "바그너의 경우‧우상의 황혼‧안티크리스티‧이 사람을 보라‧디오니소스송가‧니체 대 바그너" 책세상 2005
9 크리스토프 멘케, "미학적 힘 : 미학적 인간학의 근본개념" 그린비 2013
10 권의섭, "니체의 심미주의 - 학문과 예술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니체학회 (23) : 103-130, 2013
1 니 체,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책세상 2000
2 한스게오르크 가다머, "진리와 방법 I‧II" 문학동네 2000
3 니 체, "즐거운 학문‧메시나에서의 전원시‧유고(1881년 봄∼1882년 여름)" 책세상 2005
4 니 체, "유고(1887년 가을~1888년 3월" 책세상 2000
5 니 체, "유고(1885년 가을~1887년 가을)" 책세상 2005
6 이선, "예술적 힘으로서의 정동 - 니체 철학을 중심으로" 한국동서철학회 (98) : 465-492, 2020
7 마르틴 하이데거, "숲길" 나남 2007
8 니 체, "바그너의 경우‧우상의 황혼‧안티크리스티‧이 사람을 보라‧디오니소스송가‧니체 대 바그너" 책세상 2005
9 크리스토프 멘케, "미학적 힘 : 미학적 인간학의 근본개념" 그린비 2013
10 권의섭, "니체의 심미주의 - 학문과 예술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니체학회 (23) : 103-130, 2013
11 이상엽, "니체의 삶의 예술철학 - 탈근대 시대의 새로운 윤리학의 시도" 한국니체학회 (17) : 87-113, 2010
12 김선희, "니체에 있어서 디오니소스적 예술가와 삶의 실천 -현실, 꿈, 도취와의 유희-" 한국니체학회 (13) : 171-196, 2008
13 이선, "니체 철학에서의 쾌와 불쾌" 한국니체학회 (36) : 185-208, 2019
14 마르틴 하이데거, "니체 I‧II" 길 2007
15 Gadamer, Hans-Georg, "Wahrheit und Method Grundzüge einer"
16 von Günter Figal, "Philosophischen Hermeneutik" Akademie Verl
17 마르틴 하이데거, "Nietzsche" Klett-Cotta 1998
18 Nietzsche, F., "Kritische Gesamtausgabe in 15 Bänden"
19 Menke, Christoph, "Kraft: Ein Grundbegriffästhetischer Anthrophologie" Suhrkamp 2013
20 Heidegger, Martin, "Holzwege" Klostermann Verl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