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니체의 미적 취향 = Aesthetic Taste in Nietzsche’s Philosoph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970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aims to reveal what aesthetic taste is in Nietzsche’s philosophy. Nietzsche’s philosophy treats the emotional states of pleasure and displeasure as tates formed from impulses. So what Nietzsche calls aesthetic taste suggests how an individual’s emotional state can ba altered for the better.
      This aesthetic taste suggests a way to change emotional impulses in a better direction rather than critically approach the problem of emotionally discordant social conflict by introducing other measures such as rationality. Thus, Nietzsche's aesthetic taste is an inner ascent of emotional impuls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Nietzsche's aesthetic taste in the difference between aesthetic taste and aesthetic judgment in modern aesthetics. Furthermore, it is to determine what Nietzsche's aesthetic taste is and whether it can be interpreted as a taste of life and a Symptom of Will to Power.
      번역하기

      This thesis aims to reveal what aesthetic taste is in Nietzsche’s philosophy. Nietzsche’s philosophy treats the emotional states of pleasure and displeasure as tates formed from impulses. So what Nietzsche calls aesthetic taste suggests how an ind...

      This thesis aims to reveal what aesthetic taste is in Nietzsche’s philosophy. Nietzsche’s philosophy treats the emotional states of pleasure and displeasure as tates formed from impulses. So what Nietzsche calls aesthetic taste suggests how an individual’s emotional state can ba altered for the better.
      This aesthetic taste suggests a way to change emotional impulses in a better direction rather than critically approach the problem of emotionally discordant social conflict by introducing other measures such as rationality. Thus, Nietzsche's aesthetic taste is an inner ascent of emotional impuls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Nietzsche's aesthetic taste in the difference between aesthetic taste and aesthetic judgment in modern aesthetics. Furthermore, it is to determine what Nietzsche's aesthetic taste is and whether it can be interpreted as a taste of life and a Symptom of Will to Pow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니체 철학에서 미적 취향이란 무엇인지 밝히고자 한다. 니체 철학은 쾌와 불쾌라는 감정 상태를 충동으로부터 형성되는 취향으로 다룬다. 그래서 니체의 미적 취향은 개별적 인간 안에서 감정적 상태가 어떻게 더 나은 상태로 변화할 수 있는지를 제시한다. 이 미적 취향은 감정적 불화 상태로 남아 있는 사회적 갈등의 문제를 합리성과 같은 다른 척도를 도입하여 비판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감정적 충동 안에서 더 나은 방식으로 변화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그래서 니체의 미적 취향은 감정적 충동의 내적인 상승이다. 이 글은 니체의 미적 취향의 특징을 근대 미학의 취미와 미적 판단력과의 차이 속에서 드러내고, 니체의 미적 취향이 무엇인지를 밝히고, 더 나아가 니체의 미적 취향이 어떻게 삶의 취향과 힘에의 의지의 삶의 징후로 해석될 수 있는지 밝히고자 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니체 철학에서 미적 취향이란 무엇인지 밝히고자 한다. 니체 철학은 쾌와 불쾌라는 감정 상태를 충동으로부터 형성되는 취향으로 다룬다. 그래서 니체의 미적 취향은 개별적 인간...

      본 논문은 니체 철학에서 미적 취향이란 무엇인지 밝히고자 한다. 니체 철학은 쾌와 불쾌라는 감정 상태를 충동으로부터 형성되는 취향으로 다룬다. 그래서 니체의 미적 취향은 개별적 인간 안에서 감정적 상태가 어떻게 더 나은 상태로 변화할 수 있는지를 제시한다. 이 미적 취향은 감정적 불화 상태로 남아 있는 사회적 갈등의 문제를 합리성과 같은 다른 척도를 도입하여 비판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감정적 충동 안에서 더 나은 방식으로 변화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그래서 니체의 미적 취향은 감정적 충동의 내적인 상승이다. 이 글은 니체의 미적 취향의 특징을 근대 미학의 취미와 미적 판단력과의 차이 속에서 드러내고, 니체의 미적 취향이 무엇인지를 밝히고, 더 나아가 니체의 미적 취향이 어떻게 삶의 취향과 힘에의 의지의 삶의 징후로 해석될 수 있는지 밝히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니 체,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책세상 2000

      2 한스게오르크 가다머, "진리와 방법 I‧II" 문학동네 2000

      3 니 체, "즐거운 학문‧메시나에서의 전원시‧유고(1881년 봄∼1882년 여름)" 책세상 2005

      4 니 체, "유고(1887년 가을~1888년 3월" 책세상 2000

      5 니 체, "유고(1885년 가을~1887년 가을)" 책세상 2005

      6 이선, "예술적 힘으로서의 정동 - 니체 철학을 중심으로" 한국동서철학회 (98) : 465-492, 2020

      7 마르틴 하이데거, "숲길" 나남 2007

      8 니 체, "바그너의 경우‧우상의 황혼‧안티크리스티‧이 사람을 보라‧디오니소스송가‧니체 대 바그너" 책세상 2005

      9 크리스토프 멘케, "미학적 힘 : 미학적 인간학의 근본개념" 그린비 2013

      10 권의섭, "니체의 심미주의 - 학문과 예술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니체학회 (23) : 103-130, 2013

      1 니 체,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책세상 2000

      2 한스게오르크 가다머, "진리와 방법 I‧II" 문학동네 2000

      3 니 체, "즐거운 학문‧메시나에서의 전원시‧유고(1881년 봄∼1882년 여름)" 책세상 2005

      4 니 체, "유고(1887년 가을~1888년 3월" 책세상 2000

      5 니 체, "유고(1885년 가을~1887년 가을)" 책세상 2005

      6 이선, "예술적 힘으로서의 정동 - 니체 철학을 중심으로" 한국동서철학회 (98) : 465-492, 2020

      7 마르틴 하이데거, "숲길" 나남 2007

      8 니 체, "바그너의 경우‧우상의 황혼‧안티크리스티‧이 사람을 보라‧디오니소스송가‧니체 대 바그너" 책세상 2005

      9 크리스토프 멘케, "미학적 힘 : 미학적 인간학의 근본개념" 그린비 2013

      10 권의섭, "니체의 심미주의 - 학문과 예술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니체학회 (23) : 103-130, 2013

      11 이상엽, "니체의 삶의 예술철학 - 탈근대 시대의 새로운 윤리학의 시도" 한국니체학회 (17) : 87-113, 2010

      12 김선희, "니체에 있어서 디오니소스적 예술가와 삶의 실천 -현실, 꿈, 도취와의 유희-" 한국니체학회 (13) : 171-196, 2008

      13 이선, "니체 철학에서의 쾌와 불쾌" 한국니체학회 (36) : 185-208, 2019

      14 마르틴 하이데거, "니체 I‧II" 길 2007

      15 Gadamer, Hans-Georg, "Wahrheit und Method Grundzüge einer"

      16 von Günter Figal, "Philosophischen Hermeneutik" Akademie Verl

      17 마르틴 하이데거, "Nietzsche" Klett-Cotta 1998

      18 Nietzsche, F., "Kritische Gesamtausgabe in 15 Bänden"

      19 Menke, Christoph, "Kraft: Ein Grundbegriffästhetischer Anthrophologie" Suhrkamp 2013

      20 Heidegger, Martin, "Holzwege" Klostermann Verl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10 학회명변경 한글명 : 인문예술연구소 -> 인문예술학회
      영문명 : institute of Humanities and Art -> Humanities and Art Society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